【講禮】 一習禮 二敘禮 敘尊卑長幼賓主之禮 ▲幻住庵淸規月進 其冬夜土地堂念誦 及冬朝講禮
강례(講禮) 1. 습례(習禮). 2. 서례(敘禮)니 존비ㆍ장유ㆍ빈주의 예의를 폄. ▲환주암청규 월진. 그 동야(冬夜)에 토지당에서 염송하며 그리고 동조(冬朝)에 강례(講禮)한다.
【江陵】 今湖北省江陵縣 ▲圓悟語錄十 定光金地遙招手 智者江陵暗點頭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강릉현. ▲원오어록10. 정광(定光)이 금지(金地)에서 멀리 손짓하여 부르매 지자(智者)가 강릉(江陵)에서 몰래 머리를 끄덕이다.
【江陵府】 唐上元元年(760) 設置南都 以荊州爲江陵府 治所在江陵 南宋建炎四年(1131) 改江陵府爲荊南府 淳熙中(1174-1189) 復改江陵府 [百度百科]
강릉부(江陵府) 당 상원 원년(760) 남도를 설치하며 형주를 강릉부로 삼았음. 치소는 강릉에 있었음. 남송 건염 4년(1130) 강릉부를 개칭하여 형남부라 했음. 순희 중(1174-118 9) 다시 개칭해 강릉부라 했음 [백도백과].
【强萬丈】 萬丈强的倒置語 强 餘也 ▲虛堂語錄五 融峰强萬丈 未話足先酸
강만장(强萬丈) 만장강의 도치어. 강(强)은 여(餘)임. ▲허당어록5. 융봉은 강만장(强萬丈)이니 얘기하기도 전에 발이 먼저 시린다.
【康孟詳】 東漢譯經家 其祖先爲康居國人 以慧學稱名洛陽 獻帝興平元年至建安四年間(194-199) 於洛陽譯舍利弗摩訶目犍連四衢經一卷 興起行經二卷 梵網經二卷 四諦經一卷 竝與竺大力共譯修行本起經二卷 與曇果共譯中本起經二卷 生卒年不詳 [歷代三寶紀四 開元釋敎錄一] ▲傳法正宗記九 月支國沙門竺大力者 蓋第二十三祖鶴勒那之弟子也 性素聰晤 能通大小乘學 其國號爲三藏 以漢獻帝之世至乎雒邑 嘗與沙門康孟詳 譯正二本起經
강맹상(康孟詳) 동한의 역경가. 그 조선(祖先; 선조)은 강거국 사람이 됨. 혜학(慧學)으로써 낙양에 이름이 일컬어졌음. 헌제 흥평 원년에서 건안 4년 간(194-199)에 이르기까지 낙양에서 사리불마하목건련사구경 1권ㆍ흥기행경 2권ㆍ범망경 2권ㆍ사제경 1권을 번역했음. 아울러 축대력과 함께 수행본기경 2권을 공역했고 담과와 함께 중본기경 2권을 공역했음. 생졸한 해는 상세하지 않음 [역대삼보기4. 개원석교록1]. ▲전법정종기9. 월지국 사문 축대력(竺大力)이란 자는 대개 제23조 학륵나의 제자다. 성품이 본디 총오(聰晤)했고 대소승학에 능통했으며 그 나라에서 호하기를 삼장이라 했다. 한 헌제의 시기에 낙읍에 이르렀으며 사문 강맹상(康孟詳)과 함께 두 본기경(本起經)을 역정(譯正)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70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9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7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7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6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