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25권)

선문염송집 권21 제885칙

태화당 2022. 2. 7. 08:22

八八五曺山因僧問 端坐團圓時如何 師云 望不見身 進云 還假用也無 師云 纔說坐時 便是用也 不可移山塞海 說禪說道 方爲用也

 

法眞一頌 團圓莫謂淸虛理 若謂淸虛摠喪身 却是眉毛曾問眼 *烏睛那自見瞳人

 

第八八五則; 此話出禪宗頌古聯珠通集二十九

烏睛; 黑睛

 

八八五조산이, 중이 묻되 단좌(端坐)하여 단원(團圓; 둥긂)할 때 어떻습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바라보아도 몸을 보지 못한다. 진운(進云)하되 도리어 용()을 빌립니까 또는 아닙니까. 스님이 이르되 겨우 좌()를 말할 때 곧 이 용()이니 이산색해(移山塞海)하며 설선설도(說禪說道)하고서야 비로소 용이라 함은 옳지 못하다.

 

법진일(法眞一)이 송하되 단원(團圓)을 청허(淸虛)의 이치라고 이르지 말지니/ 만약 청허를 일컬으면 모두 상신(喪身)한다/ 도리어 이 눈썹이 일찍이 눈에게 물었나니/ 오정(*烏睛)이 어찌 스스로 동인(瞳人)을 보겠는가.

 

第八八五則; 차화는 선종송고연주통집29에 나옴.

烏睛; 검은 눈동자.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2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1 제887칙  (0) 2022.02.07
선문염송집 권21 제886칙  (0) 2022.02.07
선문염송집 권21 제884칙  (0) 2022.02.07
선문염송집 권21 제883칙  (0) 2022.02.07
선문염송집 권21 제882칙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