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25권)

선문염송집 권25 제1086칙

태화당 2022. 3. 5. 08:37

八六雲門因僧問 達磨面壁 意旨如何 師云 念七

 

慈受頌 一人會上竿 一人會穿井 伎倆雖不同 摠是一般病 若人識得者般病 衲僧鼻孔都穿盡 此錄 連擧僧問老宿 達磨面壁意旨如何 老宿云 天寒無*被蓋

大慧杲示衆擧此話云 念七念七 全無消息 背看分明 正觀難識 旣是正觀 爲什麽難識 可知禮也

 

第一八六則; 雲門錄上 問 古人面壁意旨如何 師云 念七 又云 定 禪宗頌古聯珠通集三十四 雲門因僧問 達磨面壁 意旨如何 師曰 念七 又僧問南泉 達磨面壁 意旨如何 泉曰 天寒無被蓋

被蓋; 被子

 

八六운문이, 중이 묻되 달마의 면벽은 의지(意旨)가 무엇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염칠(念七)이다.

자수(慈受)가 송하되 한 사람은 장대에 오를 줄 알고/ 한 사람은 우물을 뚫을 줄 안다/ 기량(伎倆)이 비록 부동(不同)하지만/ 모두 이 일반(一般)의 병통(病痛)이다/ 어떤 사람이 이런 종류의 병통을 안다면/ 납승의 비공(鼻孔)을 모두 뚫어 없애리라. 차록(此錄)은 이어서 들되 중이 노숙에게 묻되 달마의 면벽은 의지가 무엇입니까. 노숙이 이르되 날씨가 추운데 피개(*被蓋; 이불)가 없다.

 

대혜고(大慧杲)가 시중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염칠(念七), 염칠은 전혀 소식이 없다. 등 뒤에서 보면 분명하지만 정면에서 보면 알기 어렵다. 이미 이 정면에서 보거늘 무엇 때문에 알기 어려운가. 가히 예를 안다(可知禮也).

 

第一八六則; 운문록상. 묻되 고인이 면벽한 의지가 무엇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염칠(念七)이다. 또 이르되 정()이다. 선종송고연주통집34. 운문이, 중이 묻되 달마의 면벽은 의지(意旨)가 무엇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가로되 염칠(念七)이다. 또 중이 남천(南泉)에게 묻되 달마의 면벽은 의지(意旨)가 무엇입니까. 남천이 가로되 날씨가 추운데 피개(被蓋; 이불)가 없다.

被蓋; 피자(被子; 이불).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2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5 제1088칙  (0) 2022.03.05
선문염송집 권25 제1087칙  (0) 2022.03.05
선문염송집 권25 제1085칙  (0) 2022.03.05
선문염송집 권25 제1084칙  (0) 2022.03.05
선문염송집 권25 제1083칙  (0) 202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