禪門拈頌集註卷第二十七
禪門拈頌 高麗 慧諶 彙集
平心寺主 淨圓 讐校 註解
達磨第十三世鳳翔府靑峯傳楚禪師嗣法
益州淨衆寺歸信禪師
達磨第十三世襄州石門山獻蘊禪師嗣法
襄州石門山慧徹禪師
達磨第十三世鳳翔府紫陵匡一定覺大師嗣法
并州廣福道隱禪師
達磨第十三世福州長慶慧稜禪師嗣法
泉州招慶院道匡禪師 福州報慈光雲慧覺禪師
泉州大傅王延彬
達磨第十三世韶州雲門山文偃禪師嗣法
岳州巴陵新開顥鑒禪師 西川香林院澄遠禪師
鼎州德山緣密圓明禪師 襄州洞山守初禪師
金陵奉先深禪師 金陵淸凉明禪師〈合一則〉
韶州白雲山子祥實性大師
饒州薦福承古禪師 蘄州北禪寂悟空大師
郢州趙橫山柔和尙 隨州智門師寬明敎大師
達磨第十三世泉州睡龍山道溥禪師嗣法
漳州保福淸豁禪師
達磨第十三世汝州寶應慧顒禪師嗣法
汝州風穴延昭禪師 頴橋安鐵胡
達磨第十三世郢州芭蕉山慧情禪師嗣法
芭蕉山繼徹禪師
【一二一二】益州淨衆寺*歸信禪師 因僧問 蓮花未出水時如何 師云 *菡萏滿池流 僧云 出水後如何 師云 葉落不知秋
丹霞淳頌 白藕未萌非隱的 紅花出水不當陽 遊人莫用傳消息 自有淸風遆遠香
天童覺拈 李陵持漢節 潘閬倒騎驢
●第一二一二則; 此話出傳燈錄二十三
●歸信; 五代後唐僧 嗣法靑峰傳楚(嗣洛浦元安) 靑原下七世 住益州淨衆寺 初習儒 後薙染入道 戒行貞明 徒衆逾千 [傳燈錄二十三 五燈會元六]
●菡萏; 祖庭事苑四 菡萏 爾雅 荷 芙蕖 別名芙蓉 江東呼荷 其莖茄 其葉蕸 其木蔤 其花菡萏 其實蓮 其根藕 其中的 的中薏 薏 音憶 蕸 音遐
【一二一二】 익주 정중사 귀신선사(*歸信禪師)가, 중이 묻되 연화가 물에서 나오지 않은 때는 어떻습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함담(*菡萏)이 못에 가득 흐른다. 중이 이르되 물에서 나온 후엔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잎이 떨어져도 가을인 줄 알지 못한다.
단하순(丹霞淳)이 송하되 백우(白藕)가 싹트지 않아도 숨은 것이 아니며/ 홍화(紅花)가 출수(出水)해도 당양(當陽)하지 않는다/ 유인(遊人)은 소식 전함을 쓰지 말지니/ 저절로 청풍이 있어 멀리 향기를 전한다(遆).
천동각(天童覺)이 염하되 이릉(李陵)이 한(漢)의 절개를 가졌고 반랑(潘閬)이 나귀를 거꾸로 탔다.
●第一二一二則; 차화는 전등록23에 나옴.
●歸信; 오대 후당승. 청봉전초(靑峰傳楚; 洛浦元安을 이었음)의 법을 이었으니 청원하 7세. 익주 정중사에 주(住)했음. 처음엔 유학(儒學)을 학습했고 후에 치염(薙染)하여 입도했는데 계행이 정명(貞明)했으며 도중이 천을 넘었음 [전등록23. 오등회원6].
●菡萏; 조정사원4. 함담(菡萏) 이아(爾雅) 하(荷; 연꽃 하)는 부거(芙蕖; 芙는 연꽃 부. 蕖는 연꽃 거)니 별명이 부용(芙蓉)이며 강동(江東)에서 하(荷)라고 부른다. 그 줄기는 가(茄; 연줄기)며 그 잎은 하(蕸; 연잎새)며 그 나무는 밀(蔤; 연밑둥)이며 그 꽃은 함담(菡萏)이며 그 열매는 련(蓮; 연밥)이며 그 뿌리는 우(藕; 연뿌리)며 그 가운데는 적(的; 菂과 같음. 蓮子; 연밥)이며 적(的) 가운데 억(薏; 연밥알)이다. 억(薏)은 음이 억이며 하(蕸)는 음이 하임.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7 제1214칙 (0) | 2022.03.18 |
---|---|
선문염송집 권27 제1213칙 (0) | 2022.03.18 |
선문염송집 권26 제1211칙 (0) | 2022.03.18 |
선문염송집 권26 제1210칙 (0) | 2022.03.18 |
선문염송집 권26 제1209칙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