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三一四】襄州*淸溪*洪進禪師 問修山主 *明知生是不生之法 爲什麽 被生死之所流 脩云 筍畢竟成竹去 如今作篾使得麽 師云 汝向後自悟去在 脩云 某甲所見秪如此 上座意旨如何 師云 這箇是監院房 那箇是典座房 脩乃禮謝 〈菴婆提女經云 菴婆提女問文殊云 明知生是不生之法 爲什麽 卻被生死之所流 文殊云 其力未充〉
薦福逸頌 進老分眀到五臺 脩師眞箇入閩來 維那院主房相對 說着令人雙眼開
天童覺頌 *豁落亡依高閑不羈 家邦平貼到人稀 些些力量分階級 蕩蕩身心絶是非 是非絶 *介立大方無軌轍
悅齋居士頌 無情說法法中王 一捏攤開滿十方 露柱燈籠齊皷舞 寒山拾得轉風狂
●第一三一四則; 此話出五燈會元八
●淸溪; 湖北襄州淸溪山
●洪進; 五代後唐僧 亦作洪璡 師事羅漢桂琛得法 桂琛居地藏時居第一座 輔弼久之 後出居襄州(今湖北襄樊)淸溪山 禪侶跟踪而至 繞座千指 一日端坐說法而寂 [傳燈錄二十四]
●明知生是不生之法; 佛說長者女菴提遮師子吼了義經(一卷 失譯人名) 爾時文殊師利又問曰 頗有明知生而不生相 爲生所留者不 答曰 有 雖自明見 其力未充 而爲生所留者是也 ▲從容錄五第七十則 菴提遮女 婆羅門種 舍衛城西二十餘里 長提村婆私膩長者女也 因家作大會 命佛及僧 提遮故得振其嘉聲焉 文殊大士問 頗有明知生不生相 爲生所留者否 女曰 有之 雖自明見 其力未充 而爲生所留者是也 脩山主答 筍畢竟成竹去 而今作篾使得麼 篾 竹皮 束物竹索也 筍嫰無力 蒼竹有力 筍力未充 不堪作蔑 覺範觀音贊 憫我心明力不迨 時時種子發現行 如人因酒而發狂 戒飮輒復逢嘉醞 此亦言其力未充也
●豁落; 顯豁 豁達大方
●介立; 獨立 形容孤傲
【一三一四】 양주 청계(*淸溪) 홍진선사(*洪進禪師)가 수산주(修山主)에게 묻되 생이 이 불생의 법임을 환히 알았거늘(*明知生是不生之法) 무엇 때문에 생사의 소류(所流)를 입는가. 수(脩)가 이르되 죽순(筍)은 필경 대가 되어 간다. 여금에 대껍질을 이루려면 얻게 하겠는가. 스님이 이르되 네가 향후에 스스로 오거(悟去)하리라. 수가 이르되 모갑의 소견(所見)은 다만 이와 같거니와 상좌의 의지(意旨)는 어떠한가. 스님이 이르되 이것은 이 감원(監院)의 방이며 저것은 이 전좌(典座)의 방이다. 수가 이에 예사(禮謝)했다. 〈암바제녀경(菴婆提女經)에 이르되 암바제녀가 문수에게 물어 이르되 생이 이 불생의 법임을 환히 알았거늘 무엇 때문에 도리어 생사의 소류(所流)를 입는가. 문수가 이르되 그 힘이 충분하지 않아서이다〉.
천복일(薦福逸)이 송하되 진로(進老)는 분명히 오대(五臺)에 이르렀고/ 수사(脩師)는 진개(眞箇; 箇는 조사)로 입민(入閩)하여 왔다/ 유나와 원주의 방(房)이 상대하나니/ 설착(說着)하여 사람의 쌍안(雙眼)이 열리게 하네.
천동각(天童覺)이 송하되 활락(*豁落)이라 망의(亡依; 의지할 데가 없음)하고 고한(高閑)하여 얽매지 않나니/ 가방(家邦)이 평첩(平貼; 평안. 평온)하나 이르는 사람이 드물다/ 사사(些些)한 역량으로 계급을 나누지만/ 탕탕(蕩蕩)한 신심(身心)이라 시비가 끊어졌다/ 시비가 끊어졌으니/ 대방(大方)에 개립( *介立)하여 궤철(軌轍)이 없다.
열재거사(悅齋居士)가 송하되 무정(無情)의 설법은 법중(法中)의 왕이니/ 한 번 잡아(一捏) 펼쳐 열매 시방에 가득하다/ 노주(露柱)와 등롱()燈籠이 일제히 고무(皷舞)하고/ 한산과 습득이 더욱 풍광(風狂; 瘋狂이니 지랄하며 미침)이다.
●第一三一四則; 차화는 오등회원8에 나옴.
●淸溪; 호북 양주(襄州) 청계산(淸溪山).
●洪進; 오대 후당승. 또 홍진(洪璡)으로 지음. 라한계침(羅漢桂琛)을 사사(師事)하여 득법했고 계침이 지장에 거주할 때 제1좌에 거처하며 보필함이 오래였음. 후에 출세해 양주(지금의 호북 양번) 청계산(淸溪山)에 거주했음. 선려(禪侶)가 근종(跟踪; 뒤를 따르다)하여 이르렀고 요좌(繞座; 법좌를 에워 쌈)가 천지(千指)였음. 어느 날 단좌(端坐)하여 설법하고 적(寂)했음 [전등록24].
●明知生是不生之法; 불설장자녀암제차사자후요의경(佛說長者女菴提遮師子吼了義經; 一卷 失譯人名) 이때 문수사리가 또 물어 가로되 자못 생(生)이 불생(不生)의 모양임을 밝게 알았더라도 생(生)에 소류(所留)하는 것이 있는가. 답해 가로되 있다. 비록 스스로 밝게 보았더라도 그 힘이 충분하지 못해서 생에 소류(所留)하는 것이 이것이다. ▲종용록5 제70칙. 암제차녀(菴提遮女) 바라문종(婆羅門種)이다. 사위성 서쪽 20여 리 장제촌 바사니장자(婆私膩長者)의 딸이다. 집에서 대회(大會)를 함으로 인해 불타와 승인을 불렀다(命; 召임). 제차(提遮)가 고로 그 가성(嘉聲)을 진작함을 얻었다. 문수대사가 묻되 자못 생(生)이 불생(不生)의 모양임을 밝게 알았더라도 생(生)에 소류(所留)하는 게 있는가. 여자가 가로되 그것이 있다. 비록 스스로 밝게 보았더라도 그 힘이 충분하지 못해서 생에 소류(所留)하는 게 이것이다. 수산주(脩山主)가 답하되 죽순(筍)은 필경 대가 되어 간다. 이금(而今)에 대껍질을 이루려면 얻게 하겠는가. 멸(篾)은 대껍질(竹皮)이니 물건을 묶는 죽삭(竹索; 대나무 끈)이다. 죽순은 연약(嫰)하여 힘이 없고 창죽(蒼竹; 푸른 대)은 힘이 있다. 죽순은 힘이 충분치 못해 대껍질이 됨을 감당하지 못한다. 각범(覺範)의 관음찬(觀音贊) 내가 마음은 밝지만 힘이 미치지 못함을 불쌍히 여겨/ 때때로 종자(種子)가 현행(現行)을 발생하게 한다/ 마치 사람이 술로 인해 발광(發狂)하매/ 음주를 경계(警戒; 戒)하다가 번번이 다시 가온(嘉醞; 醞은 술밑)을 만남과 같다. 이것 또한 그 힘이 충분치 못함을 말한 것이다.
●豁落; 현활(顯豁; 현저히 명백함). 활달한 대방(大方).
●介立; 독립. 고오(孤傲)를 형용.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8 제1316칙 (0) | 2022.03.31 |
---|---|
선문염송집 권28 제1315칙 (0) | 2022.03.31 |
선문염송집 권28 제1313칙 (0) | 2022.03.31 |
선문염송집 권28 제1312칙 (0) | 2022.03.31 |
선문염송집 권28 제1311칙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