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91

태화당 2022. 8. 27. 09:20

91*王荊公 一日訪*蔣山元禪師 坐間談論*品藻古今 山曰 相公口氣逼人 恐著述搜索勞役 心氣不正 何不坐禪體此大事 公從之 一日謂山曰 坐禪實不虧人 余數年要作*胡笳十八拍不成 夜坐間已就 山呵呵大笑

王荊公; 王安石(1021-1086) 世稱王荊公 宋代居士 字介甫 臨川(今屬江西)人 皇祐(1049-1053)進士 神宗朝拜相 變法圖强 多所建樹 一日訪蔣山元禪師 坐問談論 品藻古今 後茹素持名 參究心要 讀首楞嚴得旨 居金陵 由蔣山至其故宅 當半道 捨宅爲寺 因號半山 有王文公文集 臨川先生文集等 [名公法喜志三 普燈錄二十三]

蔣山元; 贊元(?-1086) 宋代臨濟宗僧 浙江義烏人 字普宗 號覺海 爲傅大士之後裔 又字萬宗 三歲出家 七歲受菩薩戒 遍歷諸方 參石霜楚圓會下 竝嗣其法 後住持蘇臺 天峰 龍華 白雲等寺 又應府帥之請 住持金陵蔣山寶誌道場(卽太平興國寺) 王安石奏其德 受賜章服 及覺海禪師號 元祐元年示寂 [五燈會元十二 續傳燈錄七 禪林僧寶傳二十七]

品藻; 評論高下優劣 祖庭事苑二 品藻 西漢 注 品其差次 以藻飾(藻亦飾)文質

胡笳十八拍; 是一首漢族古琴名曲 據傳爲蔡文姬作 爲古代十大名曲之一 胡笳十八拍 是古樂府琴曲歌辭 一章爲一拍 共十八章 故有此名 反映的主題是文姬歸漢 [百度百科]

 

91왕형공(*王荊公)이 어느 날 장산원(*蔣山元; 贊元) 선사를 예방(禮訪)했다. 좌간(坐間)에 담론하면서 고금(古今)을 품조(*品藻)했다. 장산(蔣山)이 가로되 상공(相公)은 구기(口氣)가 핍인(逼人)하여 저술(著述)하면서 수색(搜索)하느라 노역(勞役)하니 심기(心氣)가 바르지 않을까 염려스럽습니다. 왜 좌선하여 이 대사(大事)를 체달(體達)하지 않습니까. ()이 이를 좇았다. 어느 날 장산에게 일러 가로되 좌선은 실로 사람을 저버리지() 않습니다. 내가 몇 년 동안 호가십팔박(*胡笳十八拍)을 지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했는데 밤에 앉은 사이에 이미 성취했습니다. 장산이 하하(呵呵; 원음이 하)하며 크게 웃었다.

 

王荊公; 왕안석(王安石; 1021-1086)이니 세칭이 왕형공(王荊公). 송대 거사. 자는 개보(介甫)며 임천(지금 강서에 속함) 사람. 황우(1049-1053)에 진사(進士)였고 신종조(神宗朝)에 배상(拜相)했음. 변법(變法)을 도모함이 강했고 많이 건수(建樹; 세우다)하는 바였음. 어느 날 장산원선사(蔣山元禪師)를 예방하여 좌문(坐問)하며 담론하면서 고금을 품조(品藻; 品評)했음. 후에 여소(茹素; 素食을 먹음)로 지명(持名)했고 심요를 참구했고 수릉엄을 읽고서 득지(得旨)했음. 금릉에 거주했는데 장산(蔣山)으로 말미암아 그의 고택(故宅)에 이르다가 반도(半道)에 당하여 고택(古宅)을 희사해 사원으로 삼은지라 인하여 반산(半山)으로 호했음. 왕문공문집과 임천선생문집 등이 있음 [명공법희지3. 보등록23].

蔣山元; 찬원(贊元; ?-1086)이니 송대 임제종승. 절강 의오 사람이며 자는 보종이며 호는 각해(覺海)니 부대사(傅大士)의 후예가 되며 또 자가 만종(萬宗). 3세에 출가했고 7세에 보살계를 받았음. 제방을 편력(遍歷)하다가 석상초원(石霜楚圓)의 회하에서 참했고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후에 소대ㆍ천봉ㆍ용화ㆍ백운 등의 사원에 주지했음. 또 부수(府帥)의 요청에 응해 금릉 장산(蔣山) 보지도량(寶誌道場; 太平興國寺)에 주지했음. 왕안석이 그의 덕을 상주하여 장복(章服) 및 각해선사(覺海禪師)의 호를 수사(受賜)했음. 원우 원년에 시적했음 [오등회원12. 속전등록7. 선림승보전27].

品藻; 고하와 우열을 평론함. 조정사원2. 품조(品藻) 서한 주() 그 차차(差次)를 품별(品別)해 문질(文質)을 조식(藻飾; 도 또한 )함이다.

胡笳十八拍; 이는 1()의 한족 고금명곡(古琴名曲)이니 거전(據傳)하면 채문희(蔡文姬)가 지었다 함. 고대 10대 명곡의 하나가 됨. 호가십팔박은 이 고악부(古樂府)의 금곡가사(琴曲歌辭)1()1()이 되며 공히 18장이므로 고로 이 이름이 있음. 반영(反映)한 주제는 이 문희(文姬)의 귀한(歸漢)[백도백과].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93  (0) 2022.08.28
종문무고(宗門武庫) 092  (0) 2022.08.27
종문무고(宗門武庫) 090  (0) 2022.08.27
종문무고(宗門武庫) 089  (0) 2022.08.26
종문무고(宗門武庫) 088  (0)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