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五祖演和尙 依舒州白雲海會端和尙 咨決大事深徹骨髓 端令山前作*磨頭 演逐年磨下收糠麩錢*解典出息 雇*人工及*開供 外剩錢入*常住 每被人於端處*鬪諜是非云 演逐日磨下飲酒食肉 及養*莊客婦女 一院紛紜 演聞之故意買肉沽酒 懸于磨院 及買*坯粉 與莊客婦女*搽畫 每有禪和來遊磨院 演以手與婦女*椰榆語笑 全無忌憚 端一日喚至方丈問其故 演喏喏無他語 端*劈面掌之 演顏色不動 遂作禮而去 端咄云 急退却 演云 俟某算計了請人*交割 一日白端曰 某在磨下除沽酒買肉之餘 剩錢三百千入常住 端大驚駭 方知小人嫉妬 時秀圓通爲座元 受四面請 卽請祖爲第一座
●磨頭; 管掌磨院之僧職 負責碾磨穀麥等糧穀 又作磨主 [禪苑淸規四 象器箋職位類]
●解典出息; 解抵押之物而出生利息 典 抵押之物
●人工; 僕人傭工
●開供; 開供養
●常住; 此指寺院 寺廟
●鬪諜; 制造讒言
●莊客; 寺院裏管理莊舍之莊佃
●坯粉; 裝飾用的鉛粉之類
●搽畫; 塗抹
●椰榆; 同椰揄 指嘲笑 戲弄
●劈面; 對著面 劈 冲著 正對著
●交割; 更換新舊職務時 新舊執事相互査點公私器物 竝將之分割處理 稱爲交割
【94】 오조연(五祖演; 法演) 화상이 서주(舒州) 백운(白雲; 백운산) 해회(海會; 해회선원) 단화상(端和尙; 守端)에게 의지해 대사(大事; 일대사)를 물어 결단하고 골수에 깊이 사무쳤다. 수단(守端)이 산 앞의 마두(*磨頭)가 되게 하였다. 법연(法演)이 해마다(逐年) 마방(磨坊) 아래에서 강부전(糠麩錢)을 거두고 해전출식(*解典出息)하여 인공(*人工)을 고용하거나 및 개공(*開供)하는 이외의 남는 돈을 상주(*常住)에 납입했다. 매번 단처(端處)에서 투첩(*鬪諜)과 시비를 타인에게 입었다. 법연이 날마다(逐日) 마하(磨下)에서 술 마시고 고기 먹었으며 그리고 장객(*莊客)의 부녀를 양육했다. 한 사원이 분운(紛紜; 이러니 저러니 하여 시끄럽고 떠들썩함)했다. 법연이 이를 듣고 고의로 고기를 사고 술을 사서(買肉沽酒) 마원(磨院)에 매달았고(懸) 및 배분(*坯粉)을 사서 장객(莊客)의 부녀(婦女)에게 주어 차화(*搽畫)하게 했다. 매번 선화(禪和)가 마원(磨院)에 내유(來遊)함이 있으면 법연이 손으로써 부녀들과 더불어 야유(*椰榆)하며 어소(語笑)했는데 전혀 기탄(忌憚)이 없었다. 수단이 어느 날 불러 방장에 이르게 하고 그 연고를 묻자 법연이 낙낙(喏喏; 예, 예)하며 다른 말이 없었다. 수단이 얼굴에다(*劈面) 손바닥으로 쳤다(掌之). 법연이 안색이 동(動)하지 않고 드디어 작례(作禮)하고 가자 수단이 돌운(咄云) 급히 퇴각(退却)하라. 법연이 이르되 모(某)가 산계(算計)하여 마침을 기다렸다가(俟) 사람을 청해 교할(*交割)하십시오. 어느 날 수단에게 알려 가로되 모(某)가 마하(磨下)에 있으면서 술을 사고 고기를 산(沽酒買肉) 것을 제한 나머지의 잉전(剩錢)이 3백천(三百千; 30만)인데 상주(常住)에 납입했습니다. 수단이 크게 경해(驚駭)하면서 바야흐로 소인(小人)들의 질투였음을 알았다. 때에 수원통(秀圓通; 法秀)이 좌원(座元)이 되었는데 사면(四面; 淮西 四面山)의 청을 받자 곧 오조(五祖)를 청해 제1좌로 삼았다.
●磨頭; 마원(磨院)을 관장하는 승직(僧職). 곡식ㆍ보리 등의 양곡의 연마(碾磨; 갈다. 碾은 갈 년. 맷돌 년)를 부책(負責; 책임을 짐)함. 또 마주(磨主)로 지음 [선원청규4. 상기전직위류].
●解典出息; 저압(抵押; 저당잡히다)한 물건을 풀어(解) 이식(利息; 利子)을 출생함. 전(典)은 저압(抵押)한 물건.
●人工; 복인(僕人)과 용공(傭工; 고용되어 남을 위해 做工하는 사람).
●開供; 공양을 열다.
●常住; 여기에선 사원(寺院), 사묘(寺廟)를 가리킴.
●鬪諜; 참언(讒言)을 제조함.
●莊客; 사원 속에서 장사(莊舍)를 관리하는 장전(莊佃. 莊田의 소작인).
●坯粉; 장식용의 연분(鉛粉; 얼굴빛을 곱게 하기 위하여 바르는 화장품)의 종류.
●搽畫; 도말(塗抹; 칠함. 바름).
●椰榆; 야유(椰揄)와 같음. 조소(嘲笑)ㆍ희롱을 가리킴.
●劈面; 얼굴에 대착(對著). 벽(劈)은 충착(冲著; 찌르다). 정대착(正對著).
●交割; 신구(新舊)의 직무를 바꿀 때 신구의 집사가 상호 공사(公私)의 기물을 검사 점검하고 아울러 이를 가지고 분할하고 처리함을 일컬어 교할이라 함.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96 (0) | 2022.08.29 |
---|---|
종문무고(宗門武庫) 095 (0) | 2022.08.28 |
종문무고(宗門武庫) 093 (0) | 2022.08.28 |
종문무고(宗門武庫) 092 (0) | 2022.08.27 |
종문무고(宗門武庫) 091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