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167

태화당 2022. 11. 2. 10:10

167 死心曰 節儉放下 最爲入道捷徑 多見學者 心*憤憤 *悱悱 孰不欲繼踵古人 及觀其放下節儉 萬中無一 恰似世俗之家子弟 不肯讀書 要做官人 雖三尺孺子 知其必不能爲也廣錄

憤憤; 心欲通而未能通也

悱悱; 口欲言而未能言也

 

167 사심(死心; 悟新)이 가로되 절검(節儉)하고 방하(放下)함은 가장 입도(入道)의 첩경(捷徑)이 된다. 많이 보건대 학자가 마음이 분분(*憤憤)하고 입이 비비(*悱悱)하면서 누군들 고인(古人)을 계종(繼踵)하고 싶지 않으랴만 그 방하하고 절검함을 봄에 이르러선 만() 가운데 하나도 없다. 흡사 세속지가(世俗之家)의 자제(子弟)가 독서를 즐거워() 하지 않으면서 관인(官人)이 되려고 한다면 비록 삼척유자(三尺孺子)라도 그가 반드시 능히 하지 못할 줄 안다. 廣錄.

憤憤; 마음으로 통하려고 하나 능히 통하지 못함이다.

悱悱; 입으로 말하려고 하나 능히 말하지 못함이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과. 가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169  (0) 2022.11.03
선림보훈합주 168  (0) 2022.11.02
선림보훈합주 166  (0) 2022.11.02
선림보훈합주 165  (0) 2022.11.01
선림보훈합주 164  (0) 202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