善知識 旣懺悔已 與善知識發四弘誓願 各須用心正聽 自心衆生無邊誓願度 自心煩惱無邊誓願斷 自性法門無盡誓願學 自性無上佛道誓願成 善知識 大家豈不道 衆生無邊誓願度 恁麽道 且不是惠能度 善知識 心中衆生 所謂邪迷心 誑妄心 不善心 嫉妬心 惡毒心 如是等心 盡是衆生 各須自性自度 是名眞度 何名自性自度 卽自心中邪見煩惱愚癡衆生 將正見度 旣有正見 使般若智 打破愚癡迷妄衆生 各各自度 邪來正度 迷來悟度 愚來智度 惡來善度 如是度者 名爲眞度 又煩惱無邊誓願斷 將自性般若智 除却虛妄思想心是也 又法門無盡誓願學 須自見性 常行正法 是名眞學 又無上佛道誓願成 旣常能下心 行於眞正 離迷離覺 常生般若 除眞除妄 卽見佛性 卽言下佛道成 常念修行 是願力法
선지식이여, 이미 참회해 마쳤으니 선지식과 더불어 사홍서원(四弘誓願)을 발(發)하겠다. 각자 모름지기 용심(用心)하여 정청(正聽)하라. 자심(自心)의 중생(衆生)이 무변(無邊)하나 서원(誓願)코 제도(濟度; 度)하겠다. 자심의 번뇌가 무변하나 서원코 끊겠다. 자성(自性)의 법문이 무진(無盡)이나 서원코 배우겠다. 자성의 위 없는 불도(佛道)를 서원코 이루겠다. 선지식이여, 대가(大家; 대중)가, 어찌 중생이 무변하나 서원코 제도하겠다고 말하지 않느냐, 이렇게(恁麽) 말함은 또(且) 이 혜능이 능히 제도함이 아니다. 선지식이여, 심중의 중생은 이른 바 사미심(邪迷心)ㆍ광망심(誑妄心)ㆍ불선심(不善心)ㆍ질투심(嫉妬心)ㆍ악독심(惡毒心)이니 이와 같은 등의 마음이 다(盡) 이 중생이다. 각자 모름지기 자성(自性)으로 자도(自度; 스스로 제도)하라, 이 이름이 진도(眞度)다. 무엇을 이름해 자성으로 자도함인가. 곧 자심(自心) 중의 사견(邪見)ㆍ번뇌ㆍ우치(愚癡) 중생을 정견(正見)을 가지고 제도함이다. 이미 정견(正見)이 있으니 반야지(般若智)를 사용하여 우치와 미망(迷妄)의 중생을 타파함이 각각 자도(自度)함이다. 사(邪)가 오면 정(正)으로 제도하고 미(迷)가 오면 오(悟)로 제도하고 우(愚)가 오면 지(智)로 제도하고 악(惡)이 오면 선(善)으로 제도한다. 이와 같이 제도하는 것을 이름하여 진도(眞度)다. 또 번뇌가 무변하나 서원코 끊음이란, 자성의 반야지(般若智)를 가지고 허망한 사상심(思想心)을 제각(除却)함이 이것이다. 또 법문이 무진(無盡)이나 서원코 배움이란, 모름지기 자기의 견성(見性)으로 늘 정법(正法)을 행함이니 이 이름이 진학(眞學)이다. 또 위 없는 불도를 서원코 이룸이란, 이미 늘 능히 하심(下心)하고 진정(眞正)을 행하여 이미이각(離迷離覺)하고 늘 반야를 내어 제진제망(除眞除妄)하면 곧 불성을 보고 곧 언하에 불도를 이루고 늘 수행을 사념하리니 이것이 원력법(願力法)이다.
衆生; <梵> bahu-jana jantu jagat 或 sattva 梵語僕呼繕那 禪頭 社伽 薩埵 華言有情 含識(卽含有心識者) 含生 含情 含靈 群生 群萌 群類 ▲長阿含經二十二世本緣品 無有男女尊卑上下 亦無異名 衆共生世 故名衆生 ▲俱舍論記一 受衆多生死 故名衆生 ▲大乘同性經上 衆緣和合 名曰衆生 所謂地水火風空識名色六入因緣生
<범> bahu-jana. jantu. jagat. 혹 sattva. 범어 복호선나(僕呼繕那)ㆍ선두(禪頭)ㆍ사가(社伽)ㆍ살타(薩埵)는 화언(華言)으로 유정ㆍ함식(含識; 곧 心識을 함유한 자)ㆍ함생ㆍ함정ㆍ함령ㆍ군생ㆍ군맹ㆍ군류임. ▲장아함경22 세본연품. 남녀ㆍ존비ㆍ상하가 있지 않으며 또한 이명(異名)이 없이 무리가 함께 세상에 사는(衆共生世) 고로 이름이 중생이다. ▲구사론기1. 중다(衆多)한 생사를 받는지라 고로 이름이 중생이다. ▲대승동성경상. 중연(衆緣)이 화합함을 이름하여 가로되 중생이다. 이른 바 지ㆍ수ㆍ화ㆍ풍ㆍ공ㆍ식ㆍ명색(名色)ㆍ6입(入)이 인연(因緣)하여 생(生)함이다.
大家; 一大衆 二大方家 此指一
1. 대중. 2. 대방가(大方家; 禪家의 高手). 여기에선 1을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과. 가
pyungsimsa.tistory.com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 懺悔第六 05 (0) | 2022.12.23 |
---|---|
단경 懺悔第六 04 (0) | 2022.12.22 |
단경 懺悔第六 02 (0) | 2022.12.22 |
단경 懺悔第六 01 (0) | 2022.12.21 |
단경 坐禪第五 02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