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전등록 권4 법융선사(法融禪師) 01

태화당 2023. 1. 30. 08:00

景德傳燈錄卷第四

 

第三十一祖道信大師旁出法嗣九世共七十六人

金陵牛頭山六世祖宗

第一世法融禪師

第二世智巖禪師

第三世慧方禪師

第四世法持禪師

第五世智威禪師

第六世慧忠禪師已上六人見錄

前六世祖宗法嗣共七十人

法融禪師下三世旁出一十二人

金陵鍾山曇璀禪師一人見錄

荊州大素禪師

幽棲月空禪師

白馬道演禪師

新安定莊禪師

彭城智瑳禪師

廣州道樹禪師

湖州智爽禪師

新州杜默禪師

上元智誠禪師

定眞禪師智誠禪師出

如度禪師定眞禪師出已上一十一人無機緣語句不錄

智巖禪師下旁出八人

東都鏡潭禪師

襄州志長禪師

湖州義眞禪師

益州端伏禪師

龍光龜仁禪師

襄陽辯才禪師

漢南法俊禪師

西州敏古禪師已上八人無機緣語句不錄

法持禪師下旁出二人

牛頭山玄素禪師

天柱弘仁禪師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智威禪師下四世旁出一十二人

宣州安國寺玄挺大師智威禪師出三人

潤州鶴林玄素禪師

舒州天柱山崇慧禪師

杭州徑山道欽禪師玄素禪師出

杭州鳥窠道林禪師道欽禪師出

杭州招賢寺會通禪師鳥窠旁出已上六人見錄

靈巖寶觀禪師智威禪師出

金華山曇益禪師玄素禪師旁出二人

吳門圓鏡禪師

木渚山悟禪師徑山欽禪師旁出三人

靑陽廣敷禪師

杭州巾子山崇慧禪師已上六人無機緣語句不錄

已上舊本世次不明今各依本章添注法嗣共成四世也

慧忠禪師下兩世旁出三十六人除天台雲居智及潤州棲霞源二人外餘皆忠禪師出

天台山佛窟巖惟則禪師

天台山雲居智禪師惟則禪師出已上二人見錄

牛頭山道性禪師

江寧智燈禪師

解縣懷信禪師

鶴林全禪師

北山懷古禪師

明州觀宗禪師

牛頭山大智禪師

白馬善道禪師

牛頭山智眞禪師

牛頭山譚顒禪師

牛頭山雲韜禪師

牛頭山凝禪師

牛頭山法梁禪師

江寧行應禪師

牛頭山惠良禪師

興善道融禪師

蔣山照明禪師

牛頭山法燈禪師

牛頭山定空禪師

牛頭山慧涉禪師

幽棲道遇禪師

牛頭山凝空禪師

蔣山道初禪師

幽棲藏禪師

牛頭山靈暉禪師

幽棲道穎禪師

牛頭山巨英禪師

釋山法常禪師

龍門凝寂禪師

莊嚴遠禪師

襄州道堅禪師

尼明悟

居士殷淨己

潤州棲霞寺淸源禪師慧涉出已上三十四人無機緣語句不錄

 

第三十二祖弘忍大師五世旁出一百七人

第一世一十三人

北宗神秀禪師

嵩嶽慧安國師

袁州蒙山道明禪師已上三人見錄

楊州奉法寺曇光禪師

隋州禪慥禪師

金州法持禪師

資州智侁禪師

舒州法照禪師

越州義方禪師

枝江道俊禪師

常州玄賾禪師

越州僧達禪師

白松山劉主簿已上一十人無機緣語句不錄

第二世三十七人

北宗神秀禪師法嗣一十九人

五臺山巨方禪師

河中府中條山智封禪師

兗州降魔藏禪師

壽州道樹禪師

准南都梁山全植禪師已上五人見錄

荊州辭朗禪師

嵩山普寂禪師

大佛山香育禪師

西京義福禪師

忽雷澄禪師

東京日禪師

太原遍淨禪師

南嶽元觀禪師

汝南杜禪師

嵩山敬禪師

京兆小福禪師

晉州霍山觀禪師

潤州茅山崇珪禪師

安陸懷空禪師已上一十四人無機緣語句不錄

前嵩嶽慧安國師等法嗣一十八人

洛京福先寺仁儉禪師慧安國師出六人

嵩嶽破竈墮和尙

嵩嶽元珪禪師已上三人見錄

常山坦然禪師

鄴都圓寂禪師

西京道亮禪師

楊州大總管李孝逸道亮禪師旁出五人

工部尙書張錫

國子祭酒崔融

祕書監賀知章

睦州刺史康詵

正壽禪師隋州神慥禪師出

洪州崇寂禪師蒙山道明禪師出三人

江西瓌禪師 撫州神貞禪師

資州處寂禪師資州智詵禪師出

義興神斐禪師玄賾禪師出二人

湖州暢禪師已上一十五人無機緣語句不錄

第三世四十九人

前荊州辭朗禪師法嗣三人

紫金玄宗禪師

明州大梅山車禪師

塼界愼徽禪師已上三人無機緣語句不錄

前嵩山普寂禪師等法嗣四十六人

終南山惟政禪師普寂禪師出二十四人一人見錄

廣福慧空禪師

常越禪師

襄州夾石山思禪師

明瓚禪師

敬愛寺眞禪師

兗州守賢禪師

定州石藏禪師

南嶽澄心禪師

南嶽日照禪師

洛京同德寺幹禪師

蘇州眞亮禪師

瓦棺寺璿禪師

弋陽法融禪師

廣陵演禪師

[>]州慧空禪師

洛京眞亮禪師

澤州亘月禪師

亳州曇眞禪師

都梁山崇演禪師

京兆章敬寺澄禪師

嵩陽寺一行禪師

京兆山北寺融禪師

曹州定陶丁居士

大雄猛禪師西京義福禪師出八人

西京大震動禪師

神斐禪師

西京大悲光禪師

西京大隱禪師

定境禪師

道播禪師

玄證禪師

西京寂滿禪師降魔藏禪師出三人

西京定莊禪師

南嶽慧隱禪師

神照禪師南嶽元觀禪師出

京兆藍田深寂禪師小福禪師出三人

太白山日沒雲禪師

東白山法超禪師

峴山幽禪師霍山觀禪師出

益州無相禪師資州處寂禪師出四人

益州長松山馬禪師

超禪師 梓州曉了禪師

西京智游禪師義興斐禪師出二人

東都智深禪師已上四十五人無機緣語句不錄

第四世七人

前興善惟政禪師法嗣二人

衡州定心禪師

敬愛寺志眞禪師已上二人無機緣語句不錄

前益州無相禪師等法嗣五人

益州保唐寺無住禪師無相禪師出四人一人見錄

荊州明月山融禪師

漢州雲頂山王頭陀

益州淨衆寺神會禪師

武誡禪師塼界愼徽禪師出已上四人無機緣語句不錄

第五世一人

前敬愛寺志眞禪師法嗣一人

嵩山照禪師一人無機緣語句不錄

 

第三十一祖道信大師下旁出法嗣

金陵牛頭山六世祖宗

第一世法融禪師者 潤州延陵人也 姓韋氏 年十九學通經史 尋閱大部般若曉達眞空 忽一日歎曰 儒道世典非究竟法 般若正觀出世舟航 遂隱茅山投師落髮 後入牛頭山幽棲寺北巖之石室 有百鳥銜華之異 唐貞觀中四祖遙觀氣象 知彼山有奇異之人 乃躬自尋訪問寺僧 此間有道人否 曰出家兒那箇不是道人 祖曰 阿那箇是道人 僧無對 別僧云 此去山中十里許有一懶融 見人不起亦不合掌 莫是道人 祖遂入山見師 端坐自若曾無所顧 祖問曰 在此作什麽 師曰觀心 祖曰 觀是何人心是何物 師無對便起作禮 師曰 大德高棲何所 祖曰 貧道不決所止或東或西 師曰 還識道信禪師否 曰何以問他 師曰 嚮德滋久冀一禮謁 曰道信禪師貧道是也 師曰 因何降此 祖曰 特來相訪 莫更有宴息之處否 師指後面云 別有小庵 遂引祖至庵所 繞庵唯見虎狼之類 祖乃擧兩手作怖勢 師曰 猶有這箇在 祖曰 適來見什麽 師無對 少選祖却於師宴坐石上書一佛字 師覩之竦然 祖曰 猶有這箇在 師未曉乃稽首請說眞要 祖曰 夫百千法門同歸方寸 河沙妙德總在心源 一切戒門定門慧門神通變化 悉自具足不離汝心 一切煩惱業障本來空寂 一切因果皆如夢幻 無三界可出 無菩提可求 人與非人性相平等 大道虛曠絕思絕慮 如是之法汝今已得更無闕少 與佛何殊更無別法 汝但任心自在 莫作觀行 亦莫澄心 莫起貪瞋 莫懷愁慮 蕩蕩無礙任意縱橫 不作諸善不作諸惡 行住坐臥觸目遇緣 總是佛之妙用快樂無憂 故名爲佛 師曰 心旣具足 何者是佛何者是心 祖曰 非心不問佛 問佛非不心 師曰 旣不許作觀行 於境起時心如何對治 祖曰 境緣無好醜 好醜起於心 心若不彊名 妄情從何起 妄情旣不起 眞心任遍知 汝但隨心自在無復對治 卽名常住法身無有變異 吾受璨大師頓敎法門 今付於汝 汝今諦受吾言只住此山 向後當有五人達者紹汝玄化圭峯判爲泯絕無寄宗 破相敎而印之 有僧問南泉 牛頭未見四祖時 爲什麽鳥獸銜華來供養 南泉云 只爲步步蹋佛階梯 洞山云 如掌觀珠意不暫捨 僧云 見後爲什麽不來 南泉云 直饒不來猶較王老師一線道 洞山云 通身去也 又一尊宿答前兩問皆云 賊不打貧兒家 僧問一老宿 牛頭未見四祖時如何 云如條貫葉 僧云 見後如何 云秋夜紛紛 又僧問吳越永明潛禪師 牛頭未見四祖時如何 潛云牛頭 僧云 見後如何 潛云牛頭 諸方擧唱甚多不可備錄祖付法訖 遂返雙峯山終老 師自爾法席大盛

潤州; 今江蘇省鎭江

究竟; 事理道法至極高深之處 終極永恒的眞理 二畢竟 此指一

牛頭山; 位於江蘇江寧府上元縣之南 又作牛首山 天闕 仙窟山 以雙峰對峙 宛如牛角 故有此名 大明三年(459) 建造幽棲()寺 唐貞觀十八年(644) 法融來此 於幽棲寺之北巖下建禪室 隨從者百餘人 自此法融一系 稱爲牛頭禪 此後有法持 慧忠 玄素等 皆學法於幽棲寺 此寺後改稱祖堂寺

阿那箇; 那箇 阿 助詞

或東或西; 搖擺不定

相訪; 相 表示一方對另一方有所動作

少選; 不久 須臾

眞要; 眞諦要義

方寸; 般若心經疏詒謀鈔云 方寸者 俗書說 人之心藏 唯方一寸 正法念經云 心如蓮華開合 提謂經云 心如帝王 皆肉團心也 肇論疏上 方寸者 心也

河沙; 恒河(在印度)之沙 比喩數量極多

業障; 三障(煩惱障 業障 報障)之一 四障(惑障 業障 報障 見障)之一 三藏法數八云 業卽業行 謂由貪瞋癡 起身口意 造作五無間重惡之業 障蔽正道 是名業障

非人; 對於人而謂 天龍八部及夜叉惡鬼之冥衆 總爲非人

虛曠; 空虚 廣大寬闊

觀行; 觀心之行法 卽觀心修行 鑒照自心以明了本性 或指觀法之行相

對治; 原意爲否定 遮遣 於佛敎中 則指以道斷除煩惱等

境緣; 唯識名詞 生識的九緣之一 境 指色聲香味觸五塵之境 若無色等五種塵境作對 則五識無由能發 故境爲五識之緣也

泯絕無寄宗; 宗鏡錄三十四 如宗密禪師 立三宗三敎 和會祖敎 一際融通 禪三宗者 一息妄修心宗 二泯絕無寄宗 三直顯心性宗 敎三種者 一密意依性說相敎 二密意破相顯性敎 三顯示眞心卽性敎

破相敎; 具名大乘破相敎 唐代圭峰宗密所立五敎之一 相當於空始敎 說一切皆空之理 觀無業無報無修無證 以破諸法定相之執

王老師; 池州南泉之普願禪師 姓王氏 承馬祖之法 弘道於南泉 常自稱王老師

一線道; 形容極小的距離或空間

尊宿; 德尊年長者 觀無量壽佛經疏二 德高曰尊 耆年曰宿

貧兒; 貧者 兒 後綴

永明潛; 五代法眼宗僧道潛 住慧日永明寺

擧唱; 擧說 宣示

終老; 指度過晩年 養老爲終老之計

 

1세 법융선사(法融禪師)란 자는 윤주(潤州) 연릉(延陵) 사람이니 성은 위씨(韋氏). 나이 19에 학문이 경사(經史)를 통달했다. 이윽고 대부반야(大部般若; 大般若波羅蜜多經 600)를 열독(閱讀)하고 진공(眞空)을 효달(曉達; 通曉)했다. 홀연히 어느 날 탄식해 가로되 유도(儒道; 유교와 도교)는 세전(世典)이라 구경법(究竟)이 아니다. 반야(般若)는 정관(正觀)이며 출세(出世; 出世間)의 주항(舟航)이다. 드디어 모산(茅山; 江蘇)에 은거하며 스승에게 투신하여 낙발(落髮)했다. 후에 우두산(牛頭山) 유서사(幽棲寺)의 북암(北巖)의 석실(石室)에 들어갔는데 백조함화(百鳥銜華; 온갖 새가 꽃을 물어 오다)의 기이(奇異)함이 있었다. () 정관(貞觀; 627-649) 중에 4조가 멀리서 기상(氣象)을 관찰하고 그 산에 기이한 사람이 있는 줄 알았다. 이에 몸소(躬自) 심방(尋訪)하여 사승(寺僧)에게 묻되 차간(此間)에 도인(道人)이 있는가. 가로되 출가아(出家兒; 出家人)에 어느 것(那箇)이 도인이 아니겠습니까. 조왈(祖曰) 어느 것(阿那箇)이 이 도인인가. 중이 대답이 없었다. 다른 중이 이르되 여기에서 산중(山中)으로 10리 가량 가면 1나융(懶融; 法融을 가리킴)이 있는데 사람을 보아도 일어나지 않고 또한 합장하지 않는데 이 도인이 아닐까요. 4조가 드디어 입산하여 스님을 보았는데 단좌(端坐)하여 자약(自若; 泰然)하며 일찍이 돌아보는 바가 없었다. 4조가 물어 가로되 여기에 있으면서 무엇을 하느냐(作什麽). 사왈(師曰) 관심(觀心)합니다. 조왈(祖曰) ()은 이 어떤 사람이며 심()은 이 어떤 물건인가. 스님이 대답이 없다가 바로 일어나 작례(作禮)했다. 사왈 대덕(大德)은 어느 곳에 고서(高棲; 隱居)합니까. 조왈(祖曰) 빈도(貧道)는 머물 곳을 결정하지 못해 혹동혹서(或東或西)한다. 사왈 도리어 도신선사(道信禪師)를 아십니까. 가로되 무엇 때문에 그를 묻느냐. 사왈 덕을 향(; )한 지 매우 오래되어(滋久; 愈久) 한 번 예알(禮謁)하기를 바랬습니다(). 가로되 도신선사는 빈도(貧道)가 이것이다. 사왈 무엇 때문에(因何) 여기에 강림(降臨; )하셨습니까. 조왈(祖曰) 특별히 와서 상방(相訪)했다. 다시 연식(宴息)할 곳이 있는가. 스님이 후면을 가리키며 이르되 다른 소암(小庵)이 있습니다. 드디어 4조를 인도(引導)하여 암소(庵所)에 이르렀는데 암자 둘레()에 오직 호랑지류(虎狼之類)만 보였다. 4조가 이에 양손을 들며 두려워 하는 자세를 지었다. 사왈 아직() 저개(這箇; 이것)가 있습니까. 조왈(祖曰) 적래(適來; 아까)에 무엇(什麽)을 보았느냐. 스님이 대답이 없었다. 소선(少選)4조가 도리어 스님이 연좌(宴坐)하는 돌 위에 1불자(佛字)를 썼다. 스님이 이를 보고 송연(竦然; 悚然과 같음)했다. 조왈(祖曰) 아직 저개(這箇)가 있느냐. 스님이 깨닫지() 못하고 이에 계수(稽首)하고 진요(眞要)를 설하기를 청했다. 조왈(祖曰) 무릇 백천법문(百千法門)은 한가지로 방촌(方寸)으로 돌아가고 하사(河沙)의 묘덕(妙德)은 모두 심원(心源)에 있다. 일체의 계문(戒門)ㆍ정문(定門)ㆍ혜문(慧門)과 신통(神通)ㆍ변화를 모두 스스로 구족하여 너의 마음을 여의지 않는다. 일체의 번뇌와 업장(業障)이 본래 공적(空寂)했고 일체의 인과가 모두 몽환(夢幻)과 같다. 가히 벗어날 3()가 없고 가히 구할 보리(菩提)가 없다. ()과 비인(非人)의 성상(性相)이 평등하며 대도(大道)가 허광(虛曠; 空虛)하여 절사절려(絕思絕慮)했다. 이와 같은 법을 네가 지금 이미 얻어 다시 궐소(闕少)함이 없거늘 부처와 무엇이 다를 것이며 다시 별법(別法)이 없다. 네가 단지 마음의 자재(自在)에 일임하여 관행(觀行)을 짓지 말고 또한 징심(澄心; 마음을 맑히다)하지 말고 탐진(貪瞋)을 일으키지 말고 수려(愁慮)를 품지 말아라. 탕탕(蕩蕩)하여 무애(無礙)하고 뜻에 맡겨(任意) 종횡(縱橫)하라. 제선(諸善)을 짓지 말고 제악(諸惡)을 짓지 말지니 행주좌와(行住坐臥)하고 촉목우연(觸目遇緣)함이 모두 이 부처의 묘용(妙用)이며 쾌락하고 근심()이 없는지라 고로 이름하여 부처다. 사왈 마음이 이미 구족했다면 무엇이(何者) 이 부처며 무엇이 이 마음입니까. 조왈(祖曰) 마음이 아니면 부처를 묻지 못하고 부처를 물으면 마음이 아님이 없다(). 사왈 이미 관행(觀行)을 지음을 허락하지 않으면 경계가 일어날 때에 마음이 어떻게 대치(對治)해야 합니까. 조왈(祖曰) 경연(境緣)은 호추(好醜)가 없고 호추는 마음에서 일어난다. 마음을 만약 억지로() 이름하지 않으면 망정(妄情)이 어디로 좇아 일어나겠는가. 망정이 이미 일어나지 않으니 진심(眞心)만 마음대로() 두루 안다(遍知). 네가 단지 마음의 자재(自在)를 따른다면 다시 대치(對治)가 없나니 곧 이름이 상주법신(常住法身)이며 변이(變異)가 있지 않다. 내가 승찬대사(僧璨大師)의 돈교법문(頓敎法門)을 받아 이제 너에게 부촉하나니 너는 이제 나의 말을 체수(諦受; 진실하게 받다)하여 다만 이 산에 거주하라. 향후(向後)에 마땅히 5인의 달자(達者)가 있어 너의 현화(玄化)를 이을() 것이다圭峯判釋하여 泯絕無寄宗이라 하고 破相敎를 인용해 이를 인() 쳤다. 어떤 중이 南泉에게 묻되 우두(牛頭; 법융)4조를 보지 않았을 땐 무엇 때문에 鳥獸가 꽃을 물고 와서 공양했습니까. 남천이 이르되 다만 걸음마다 부처의 階梯를 밟았기 때문이다. 洞山이 이르되 손바닥에서 구슬을 보며 뜻을 잠시도 버리지 않음과 같다. 僧云 본 후엔 무엇 때문에 오지 않았습니까. 南泉이 이르되 直饒(가령) 오지 않더라도 오히려 王老師一線道가 차이 난다(). 洞山이 이르되 온몸(通身)이 간다. 1尊宿前 兩問해 다 이르되 도적이라도 貧兒를 털지 않는다. 중이 1老宿에게 묻되 牛頭4조을 보지 않았을 땐 어떻습니까. 이르되 가지()로 잎을 뀀과 같다. 僧云 본 후엔 어떻습니까. 이르되 秋夜紛紛하다. 또 중이 吳越 永明潛 선사에게 묻되 牛頭4조을 보지 않았을 땐 어떻습니까. 潛云 牛頭. 僧云 본 후엔 어떻습니까. 潛云 牛頭. 諸方擧唱이 심히 많아 가히 備錄하지 못한다. 4조가 부법(付法)하여 마치고 드디어 쌍봉산(雙峯山; 破頭山. 四祖山)으로 돌아가 종로(終老)했다. 스님이 이로부터 법석이 대성(大盛)했다.

潤州; 지금의 강소(江蘇) 진강(鎭江).

究竟; 1. 사리(事理)의 도법이 지극하고 고심(高深)한 곳. 종극의 영항(永恒)의 진리. 2. 필경. 여기에선 1을 가리킴.

牛頭山; 강소 강녕부 상원현의 남방에 위치함. 또 우수산(牛首山)ㆍ천궐(天闕)ㆍ선굴산(仙窟山)으로 지음. 쌍봉이 대치하여 완연히 우각(牛角)과 같은지라 고로 이 이름이 있음. 대명 3(459) 유서(幽棲; )사를 건조했고 당 정관 18(644) 법융(法融)이 여기에 와서 유서사의 북암(北巖) 아래 선실(禪室)을 세웠는데 수종자(隨從者)가 백여 인이었고 이로부터 법융의 한 계통을 일컬어 우두선(牛頭禪)이라 했음. 차후로 법지(法持)ㆍ혜충(慧忠)ㆍ현소(玄素) 등이 있어 모두 유서사에서 학법(學法)했음. 이 사원은 후에 조당사(祖堂寺)로 개칭햇음.

阿那箇; 나개(那箇)니 아()는 조사.

或東或西; 요파(搖擺; 搖動)하며 정()하지 못함.

相訪; ()은 일방이 다른 일방에 대해 동작하는 바가 있음을 표시함.

少選; 불구(不久). 수유(須臾).

眞要; 진제(眞諦)의 요의(要義).

方寸; 반야심경소이모초에 이르되 방촌(方寸)이란 것은 속서에 설하기를 사람의 심장이 오직 사방 1촌이다. 정법념경에 이르되 심장이 연꽃처럼 열리고 닫힌다. 제위경에 이르되 심()이 제왕과 같다. 모두 육단심(肉團心). 조론소상. 방촌(方寸)이란 것은 심()이다.

河沙; 항하(인도에 있음)의 모래니 수량이 극다함에 비유함.

業障; 3(번뇌장ㆍ업장ㆍ보장)의 하나. 4(혹장ㆍ업장ㆍ보장ㆍ견장)의 하나. 삼장법수8에 이르되 업은 곧 업행이니 이르자면 탐진치로 말미암아 신구의(身口意)를 일으켜 5무간의 중악(重惡)의 업을 조작하여 정도를 장폐(障蔽)하나니 이 이름이 업장이다.

非人; ()을 상대해 말함이니 천룡팔부 및 야차ㆍ악귀의 명중(冥衆)이 모두 비인(非人)이 됨.

虛曠; 공허(空虚). 광대하고 관활(寬闊).

觀行; 관심의 행법. 곧 관심의 수행이니 자심을 감조(鑒照)하여 본성을 환히 깨침. 혹 관법의 행상(行相)을 가리킴.

對治; 원래의 뜻은 부정(否定)ㆍ차견(遮遣). 불교 중에선 곧 도로써 번뇌 등을 단제(斷除).

境緣; 유식(唯識)의 명사(名詞)니 생식(生識)하는 9()의 하나. ()은 색성향미촉(色聲香味觸) 5()의 경()을 가리킴. 만약 색 등 5종 진경(塵境)의 작대(作對)가 없으면 곧 5()이 능히 발생할 이유가 없는지라 고로 경()5식의 연()이 됨.

泯絕無寄宗; 종경록34 예컨대() 종밀선사(宗密禪師)33(三宗三敎)를 세워 조교(祖敎)를 화회(和會)하고 일제히 융통했다. 3(禪三宗)이란 것은 1은 식망수심종(息妄修心宗)이며 2는 민절무기종(泯絕無寄宗)이며 3은 직현심성종(直顯心性宗)이다. 3(敎三種)이란 것은 1은 밀의의성설상교(密意依性說相敎)2는 밀의파상현성교(密意破相顯性敎)3은 현시진심즉성교(顯示眞心卽性敎).

破相敎; 갖춘 이름은 대승파상교니 당대 규봉종밀(圭峰宗密)이 세운 바 5교의 하나. 공시교(空始敎)에 상당함. 일체가 모두 공한 도리를 설했으며 무업무보(無業無報) 무수무증(無修無證)을 관()하여 제법의 정상(定相)의 집착을 타파했음.

王老師; 지주 남천의 보원선사는 성이 왕씨며 마조의 법을 승계했고 남천에서 홍도(弘道)했는데 늘 자칭이 왕노사였음

一線道; 극소의 거리나 혹은 공간을 형용함.

尊宿; 덕이 높은 연장자. 관무량수불경소2. 덕고(德高)를 가로되 존()이며 기년(耆年)을 가로되 숙(宿)이다.

貧兒; 빈자(貧者)니 아()는 후철(後綴; 접미사).

永明潛; 오대(五代) 법안종승 도잠(道潛)이 혜일(慧日) 영명사(永明寺)에 주()했음.

擧唱; 거설(擧說). 선시(宣示).

終老; 만년을 도과(度過)함을 가리킴. 양로(養老)가 종로지계(終老之計)가 됨.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3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