師住後常以弓箭接機〈如三平和尙章述之〉 師問西堂 汝還解捉得虛空麽 西堂云 捉得 師云 作麽生捉 堂以手撮虛空 師云 作麽生恁麽捉虛空 堂却問 師兄作麽生捉 師把西堂鼻孔拽 西堂作忍痛聲 云大殺拽人鼻孔直得脫去 師云 直須恁麽捉虛空始得 衆僧參次 師云 適來底什麽處去也 有僧云在 師云 在什麽處 其僧彈指一聲 僧到禮拜 師云 還將那箇來否 僧云 將得來 師云 在什麽處 僧彈指三聲 問如何免得生死 師云 用免作什麽 僧云 如何免得 師云 遮底不生死
●接機; 接引來機
●大殺; 猶太殺 副詞 表示程度過分 亦作太煞 忒殺 太 表示程度過分 相當于甚 殺 所八切 所拜切 表示程度深
●始得; 得 適合 適當 正好 可
스님이 주후(住後)에 늘 궁전(弓箭)으로써 접기(接機)했다〈三平和尙章에 그것을 서술함과 같다〉. 스님이 서당(西堂; 智藏)에게 묻되 네가 도리어 허공을 착득(捉得; 得은 조사)할 줄 아느냐. 서당이 이르되 착득(捉得)합니다. 사운(師云) 어떻게 잡느냐(捉). 서당이 손으로써 허공을 거머쥐었다(撮). 사운 어떻게(作麽生) 이렇게(恁麽) 허공을 잡느냐. 서당이 도리어 묻되 사형(師兄)은 어떻게 잡습니까. 스님이 서당의 콧구멍을 잡아 끌었다. 서당이 아픔을 참는 소리를 짓고 이르되 너무 심하게(大殺) 사람의 콧구멍을 끌어 바로 빠져나감(脫去)을 입었습니다(得). 사운 바로 모름지기 이렇게 허공을 잡아야 비로소 옳다(始得). 중승(衆僧)이 참차(參次)에 사운 적래지(適來底; 조금 전의 것)는 어느 곳(什麽處)으로 갔느냐. 어떤 중이 이르되 있습니다(在). 사운 어느 곳에 있느냐. 그 중이 한 소리(一聲) 탄지(彈指)했다. 중이 이르러 예배하자 사운 도리어 나개(那箇; 저것)를 가지고 왔느냐. 승운 가지고(將得) 왔습니다. 사운 어느 곳에 있느냐. 중이 세 소리(三聲) 탄지(彈指)했다. 묻되 어찌해야 생사를 면함을 얻겠습니까. 사운 면함을 써서 무엇하리오. 승운 어떻게 면함을 얻습니까. 사운 저지(遮底; 이것)는 생사가 아니다.
●接機; 내기(來機)를 접인(接引)함.
●大殺; 태쇄(太殺)와 같음. 부사니 정도가 과분함을 표시함. 또 태쇄(太煞)ㆍ특쇄(忒殺)로 지음. 태(太)는 정도가 과분함을 표시하며 심(甚)에 상당함. 살(殺; 쇄)은 소팔절(所八切; 살)ㆍ소배절(所拜切; 쇄)이니 정도의 깊이를 표시함.
●始得; 득(得)은 적합. 적당. 정호(正好). 가(可).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6 도통선사(道通禪師) 02 (0) | 2023.02.27 |
---|---|
전등록 권6 도통선사(道通禪師) 01 (0) | 2023.02.27 |
전등록 권6 석공혜장(石鞏慧藏) 01 (0) | 2023.02.27 |
전등록 권6 명계도행(茗谿道行) (0) | 2023.02.27 |
전등록 권6 유건선사(惟建禪師) (0)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