蹣菴成禪師 世姓劉 宜春人 裂儒衣冠 著僧伽梨於仰山 已而 從普融平公得出世法 宣和初 住東京淨因 太尉陳良弼建大會 禪講畢集 有善法師 賢首宗之雄者 致問諸禪曰 吾佛設敎 自小乘至于圓頓 掃除空有 獨證眞常 然後萬德莊嚴 方名爲佛 而禪宗以一喝轉凡成聖 攷諸經論 似相違背 今一喝若能入五敎 是爲正說 若不能入五敎 是爲邪說 是時諸禪列坐 法眞禪師一公以目眴慈受禪師深公 深復肘師 使對之 師乃召善而謂之曰 承法師所問 不足勞諸大禪師之醻 只淨因小長老可解法師之惑 其五敎者 如愚法小乘敎 乃有義也 如大乘始敎 乃空義也 如大乘終敎 乃不有不空義也 所謂大乘頓敎 乃卽有卽空義也 所謂一乘圓敎 乃空而不有 有而不空義也 我此一喝 非唯能入五敎 至於世間諸子百家 一切技藝 悉能相入 乃喝曰 還聞麽 善曰 聞 成曰 汝旣聞 則此一喝是有 是能入小乘敎 又召善曰 汝今還聞麽 善曰 不聞 成曰 汝旣不聞 則適來一喝是無 是能入大乘始敎 我初一喝 汝旣道有 喝久聲銷 汝復道無 道無 則元初實有 道有 則卽今實無 旣乃不有不無 是能入終敎 我有喝之時 有非是有 因無故有 無喝之時 無非是無 因有故無 卽有卽無 能入頓敎 我此一喝不作一喝用 有無不及 情解俱忘 道有之時 纖毫不立 道無之時 橫徧虛空 卽此一喝入百千萬億喝 百千萬億喝入此一喝 是能入圓敎 善遂稽首謝師 復召善曰 乃至一語一默 一動一靜 從古至今 十方虛空 萬像森羅 六趣四生 三世諸佛 一切聖賢 八萬四千法門 百千三昧 無量妙義 契理契機 與天地萬物一體 謂之法身 三界唯心 萬法唯識 四時八節 陰陽一致 謂之法性 是故華嚴經云 法性徧在一切處 有相無相 一聲一色 全在一塵 中含四義 事理無邊 周徧無餘 參而不雜 混而不一 於此一喝中皆悉具足 猶是建化門庭 隨機方便 謂之小歇場 未至寶所 殊不知吾祖師門下 以心傳心 以法印法 不立文字 見性成佛 有千聖不傳底向上一路在 善又問曰 如何是向上一路 成曰 汝且向下會取 善曰 如何是寶所 成曰 非汝境界 善曰 望禪師慈悲 成曰 任從滄海變 終不爲君通 善於是膠其口 褫其氣 愀然變容 媿怍而退 噫 成之學贍道明 左右逢原 乘機挫銳於人天衆前 借使先德扶宗 亦蔑以加於此矣
●蹣菴成; 繼成 宋代臨濟宗僧 江西宜春人 俗姓劉 字蹣菴 崇寧年間(1102-1106) 參仰山普得度 嗣開封智海禪院普融道平(臨濟下九世)之法 宣和六年(1124)春 奉詔住右街顯忠寺 移東京淨因寺 建炎初年(1127) 入天台山華頂峰 紹興年間(1131-1162) 入福建秀峰 師嘗受徽宗之歸依 賜號佛慈禪師 [普燈錄十二 五燈會元十二 釋氏稽古略四]
●僧伽梨; <梵> saṃghāṭī 又作僧伽黎 僧伽胝 僧伽致 三衣之一 卽九條以上之衣 又因必須割截後始製成 故稱重衣 複衣 重復衣 因其條數多 故稱雜碎衣 爲外出及其他莊嚴儀式時著之 如入王宮 聚落 乞食 及陞座說法 降伏外道等諸時所著用 故稱入王宮聚落衣 又以其爲諸衣中最大者 故稱大衣 共有下中上三位九品之不同 而有九品大衣之稱 一般就其下下品而通稱爲九條衣 然四分律僅擧下中六品而已 其中 下下品九條 下中品十一條 下上品十三條 皆二長一短 中下品十五條 中中品十七條 中上品十九條 皆三長一短 上下品二十一條 上中品二十三條 上上品二十五條 皆四長一短 長多短少 乃表聖增凡減之意 [四分律四十 四十一 四十八 薩五分律二十 二十一 二十九 摩訶僧祇律九 三十八 十誦律二十七 二十八 南海寄歸內法傳二 玄應音義十四]
●仰山; ①位於江西宜春縣之南 山勢絶高 須仰視方得見 故稱仰山 又稱大仰山 唐僖宗時 潙山靈祐之弟子慧寂 曾於此地 開創禪院 發揚潙山靈祐之宗風 此卽禪宗之潙仰宗 仰山亦因此而聞名 慧寂滅後 經智齊擇和等 至慧南之弟子行偉時 大振法道 興盛一時 山中共有三塔 卽西塔南塔東塔 此外山下有棲隱寺 宋代更名爲太平興國禪寺 ②指唐代僧仰山慧寂
●普融平; 道平(?-1127) 宋代臨濟宗僧 仙都(廣東)人 俗姓許 號普融 參大潙慕喆(臨濟下八世) 徹悟得旨 後住東京智海等六座道場 四度受詔 靖康元年(1126) 歸隱黃州(湖北)柏子山 建炎元年示寂 [普燈錄八 五燈會元十二]
●出世; 出世間之略稱 卽超越世俗 出離世塵之意 又作出塵
●太尉; 古代執掌軍事的最高官職 秦始置 漢初沿用 漢武帝以後或廢或置 後也用來尊稱一般武官 ▲權書九 漢高曰 周勃重厚少文 然安劉氏必勃也 可令爲太尉 ▲宋史一六八 以太尉爲武選一品 位節度使上
●賢首宗; 華嚴宗也 唐代華嚴宗第三祖法藏 字賢首 至賢首而此宗大成 故名
●小乘; 對於大乘之稱 求佛果爲大乘 求阿羅漢果辟支佛果爲小乘 佛果者 謂開一切種智 爲盡未來際衆生化益之悟 阿羅漢果與辟支佛果 雖有淺深之別 然皆爲灰身滅智 歸於空寂涅槃之悟 乘者 運載之義 指使人乘之至其悟岸之敎 以四諦爲至阿羅漢果之敎體 以十二因緣爲至辟支佛果之敎體 如此小乘有二道 故亦謂之二乘 [法華經玄贊一本 華嚴五敎章一 華嚴經探玄記一 大乘起信論義記上]
●圓頓; 圓滿頓足之意 卽一切圓滿無缺 以圓滿具足之心 立地可達悟界 卽可頓速成佛 故有圓頓一乘 圓頓止觀等名稱出現 此爲天台敎義所言 又其圓頓之觀法則稱圓觀 此外 諸宗派中 究極之敎或修行 亦稱爲圓頓
●莊嚴; 嚴飾布列之意
●禪宗; 又稱佛心宗 達磨宗 指以菩提達磨爲初祖 探究心性本源 以期見性成佛之大乘宗派 兼含天台三論二系 而不限於達磨宗 唐中葉以降 達磨宗興盛 禪宗遂專指達磨宗而言
●喝; 許葛切 ①叱咤之聲音 唐代以後 禪師常以大喝破除學人之謬見邪執 或發於言語思慮所不及之際 按古尊宿語錄一 百丈曾受馬祖大寂禪師一喝 或卽爲用喝之起源 按臨濟錄 臨濟之喝有四種作用 有時一喝如金剛王寶劍(截破名相言句之執著拘礙) 有時一喝如踞地金毛獅子(破小機小見) 有時一喝如探竿影草(驗定學人或勘辨師家) 有時一喝則不作一喝用(指收歸一切 具有各種作用而未作用之向上一喝) 此卽所謂臨濟四喝 但若不知其用而喝 則稱爲胡喝亂喝 此種應機接物之法 其後成爲臨濟宗風 [宗門統要續集九臨濟條 人天眼目三] ②卽唱之意 禪林中用之 喝參卽告知自己已來到 喝散卽宣告解散大衆 喝火指就寢前點檢各寮 以防火災
●五敎; 敎判之名 卽詮判如來一代聖敎爲五類敎旨 (一)華嚴三祖賢首所立 稱爲賢首五敎 一小乘敎(愚法聲聞敎) 二大乘始敎(權敎) 三大乘終敎(實敎) 四頓敎 五圓敎 [華嚴五敎章一 華嚴經探玄記一] (二)唐代圭峰宗密所立 一人天敎 二小乘敎 三大乘法相敎 四大乘破相敎 五一乘顯性敎 [華嚴原人論發微錄中 禪源諸詮集都序上之二] 此指(1)
●法眞; 守一 宋代雲門宗僧 江蘇江陰人 俗姓沈 號法眞禪師 幼慕佛門 歸依慧林宗本(雲門下五世) 竝嗣其法 後住持秀州(浙江嘉興)本覺寺 [五燈會元十六 嘉泰普燈錄五]
●慈受; 懷深(1077-1132) 宋代雲門宗僧 壽春府(安徽)六安人 俗姓夏 字慈受 世稱慈受禪師 十四歲剃髮 崇寧(1102-1106)初 謁長蘆崇信(雲門文偃下六世)於嘉禾(浙江嘉興)資聖寺 竝嗣其法 後崇信移住江蘇長蘆寺 命師爲首座 政和三年(1113) 應儀眞郡守之請 住資福寺 後朝廷改資福寺爲神霄宮 遂往蔣山 住於西庵 其後奉敕住於江蘇焦山 洛陽慧林寺 高宗紹興二年示寂 壽五十六 臘三十六 有慈受深和尙廣錄四卷行世 [嘉泰普燈錄九 五燈會元十六 續傳燈錄十八]
●肘; 用肘觸動
●長老; 指年齡長而法臘高 智德俱優之大比丘 又稱上座 上首 耆宿 耆舊 老宿 具壽 長阿含八衆集經 列擧三種長老 一年耆長老 指入佛道經年之僧 二法長老 指精通敎法之高僧 三作長老 爲世俗假名之長老 長老雖對年臘高者之敬稱 然未必爲年老者 增一阿含經二十二 我今謂長老 未必先出家 修其善本業 分別於正行 設有年幼少 諸根無漏缺 正謂名長老 分別正法行 此外 禪林中 多稱接引學人之師家爲長老 又禪宗稱寺院住持僧人爲長老
●諸子百家; 前漢書三十藝文志曰 凡諸子百八十九家四千三百二十四篇 前漢書三十藝文志曰 諸子十家 其可觀者九家而已
●世間; 世爲遷流之義 破壞之義 覆眞之義 間爲中之義 墮於世中之事物 謂之世間 又間隔之義 世之事物 個個間隔而爲界畔 謂之世間 卽與所謂世界相同 大要有二種 一有情世間 謂有生者 二器世間 國土也 [楞嚴經四 唯識述記一本]
●稽首; 爲佛敎禮法之一 卽以頭著地之禮 周禮所載之九拜中 稽首爲最恭敬之行禮法 佛敎之稽首 彎背曲躬 頭面著地 以兩掌伸向被禮拜者之雙足 故又稱接足禮(接著對方之足) 爲印度之最高禮節 所謂接足作禮 頭面禮足 五體投地等 卽指此而言 [四分律含注戒本疏一 大乘義章四 釋門歸敬儀下 釋氏要覽中]
●六趣; 祖庭事苑七 六趣 一地獄趣 梵云泥黎 此飜苦具 言地獄者 此趣在地之下 故言地獄 有八寒八熱等 有眷屬 其類無數 㝡重者 一日有八萬四千生死 二畜生趣 亦云旁生 披毛戴角 鱗甲羽翮 四足多足 有足無足 互相呑啖 受苦無窮 三餓鬼趣 有福德者 作山林塚廟神 無福德者 居不淨處 不得飮食 常受鞭打 被苦無量 四阿修羅趣 此飜無酒 又無端正 又無天 或在海岸海底 宮殿嚴飾 常好鬪戰 怕怖無極 五人趣 四洲不同 皆苦樂相間 六天趣 有二十八天不同 欲界六 色界十八 無色界四 此六趣也
●四生; 卵生 胎生 濕生 化生 人趣與畜生趣 各具四生 鬼趣通胎化二生 一切地獄諸天及中有 唯爲化生 [俱舍論八]
●三世; 又云三際 過去現在未來 又前世現世來世 世者遷流之義 有爲之事物 一刹那之間亦不止 生了直滅 因之謂來生爲未來世 生了爲現在世 滅了爲過去世 此於事物遷流上 假立三種之世 離事物別無世之實體 [寶積經九十四]
●聖賢; 靈明洞鑑曰聖 又聖猶正也 以正敎誨人也 超凡亞聖曰賢 [禪林寶訓音義]
●八萬四千; 乃數量極多之形容詞 略作八萬 煩惱種類極多 喩稱八萬四千煩惱 八萬四千塵勞 佛所說之敎法及其意義至爲繁複 故亦總稱八萬四千法門(八萬法門) 八萬四千法藏(八萬法藏) 八萬四千法蘊(八萬法蘊) [往生要集上]
●法門; 門者差別之義 所說之法義有種種差別 故云法門 ▲起信論疏上 軌生眞解 故名爲法 通入涅槃 故名爲門
●三昧; 玄應音義六 三昧 正言三摩地 此云等持 持諸功德也 或云正定 謂住緣一境 離諸邪亂也 舊云三摩提者訛也 ▲翻譯名義集四 三昧 此云調直定 又云正定 亦云正受 圭峰疏云 不受諸受 名爲正受
●三界; 三藏法數七 三界[出華嚴孔目] 一欲界 欲有四種 一者情欲 二者色欲 三者食欲 四者婬欲 下極阿鼻地獄 上至第六他化天 男女相參 多諸染欲 故名欲界 二色界 色卽色質 謂雖離欲界穢惡之色 而有淸淨之色 始從初禪梵天 終至阿迦膩吒天 凡有一十八天 竝無女形 亦無欲染 皆是化生 尙有色質 故名色界 三無色界 謂但有心識 而無色質也 始從空處 終至非非想處 凡有四天 但有受想行識四心 而無形質 故名無色界
●四時八節; 一年中的四季(春夏秋冬)和八個主要節氣(立春 春分 立夏 夏至 立秋 秋分 立冬 冬至)
●華嚴經; 大方廣佛華嚴經 又稱雜華經 有三種 (一)六十華嚴 凡六十卷 東晉佛馱跋陀羅譯 又稱舊華嚴 晉經 總成七處八會三十四品 據出三藏記集九 華嚴經探玄記一等所擧 華嚴經之梵本 原有十萬偈 由東晉支法領從于闐國攜入三萬六千偈 自安帝義熙十四年(418)三月 由佛馱跋陀羅譯成六十卷 稱爲六十華嚴 此卽第一譯 然六十華嚴中之入法界品尙有缺文 直至唐永隆元年(680) 始補譯之 (二)八十華嚴 凡八十卷 唐代實叉難陀譯 又稱新華嚴 唐經 總成七處九會三十九品 爲六十華嚴之異譯 八十華嚴之梵本 乃實叉難陀應武則天之請 從于闐國攜入中華 自唐武則天證聖元年(695)三月 於遍空寺內始譯 武后親臨譯場 揮毫首題品名 至聖曆二年(699)十月功畢 此卽第二譯 本經之西藏譯本 總成四十五品 其中 前四十四品相當於本經之前三十八品 第四十五品相當於本經第三十九入法界品 (三)四十華嚴 凡四十卷 唐代般若譯 全稱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略稱普賢行願品 又稱貞元經 爲新舊兩譯華嚴經入法界品之別譯 唐德宗貞元十一年(795)十一月 由南天竺烏荼國師子王派使者進貢其所親寫華嚴經之梵本 翌年六月 於長安崇福寺 由罽賓般若三藏譯之 澄觀及圓照鑑虛等諸師詳定 至貞元十四年二月譯畢 共四十卷 此卽四十華嚴 ▲宗統編年五 祖(十四祖龍樹) 入龍宮看藏見華嚴經有三本 上本 十三世界微塵數偈 一四天下微塵數品 中本四十九萬八千八百偈 一千二百品 下本十萬偈 四十八品 上本非佛不能知 中本惟住地菩薩乃能知之 遂記下本回歸西土 傳至東震 僅八十卷三十九品 乃前分三萬六千偈 尙有六萬四千偈九品在西土
●建化門; 佛祖建立的敎化法門 禪家認爲建化門幷非頓悟妙法 只是適宜于多數中下根器的方便法門
●祖師; 祖者始也 開創一宗一派之人 謂之開祖 或傳承其敎法之人 謂之列祖 開祖有宗祖派祖之別 例如一般尊稱菩提達摩爲禪宗之宗祖 義玄良价則分別爲臨濟宗曹洞宗之派祖 佛敎各宗派 皆重視其列祖之相承 例如禪宗有西天二十八祖東土六祖 天台宗有東土九祖十七祖 華嚴宗有五祖七祖十祖 眞言宗有八祖 淨土宗有五祖十六祖等 ▲春秋正義 啖助曰 三傳(左傳 公羊傳 穀梁傳)之義 本皆口傳 後之學者 乃著竹帛 而以祖師之目題之 ▲漢書外戚傳 定陶丁姬 哀帝母也 易祖師丁將軍之玄孫 師古注曰 祖 始也 丁寬易之始師 故釋老二氏 稱其創立宗派之人曰祖師 ▲釋氏要覽上 此士自達磨西來 距曹溪能大師 六人得稱祖師
●以心傳心; 離言說文字而以心傳於心也 禪宗不立文字 不依經論 唯師徒直接面授 以心鏡相照 傳佛法大義 稱爲以心傳心 ▲達磨血脈論 三界興起 同歸一心 前佛後佛 以心傳心 不立文字
●向上一路; 無上至眞之禪道 與向上一著 向上一竅同義 是千聖不傳之妙道
●慈悲; 慈愛衆生竝給與快樂(與樂) 稱爲慈 同感其苦 憐憫衆生 竝拔除其苦(拔苦) 稱爲悲 二者合稱爲慈悲 佛陀之悲 乃是以衆生苦爲己苦之同心同感狀態 故稱同體大悲 又其悲心廣大無盡 故稱無蓋大悲(無有更廣更大更上於此悲者) ▲禪林寶訓音義 慈悲 慈能與樂 悲能拔苦
●人天; 一人趣與天趣 此是六道十界中之二界 皆爲迷妄之界 又指人與天神 二禪家常將法堂上聽法大衆稱作人天
●先德; 一對已逝高僧的尊稱 二先參宿德 卽先輩之有德者 此指一
만암성(蹣菴成; 繼成) 선사는 세성(世姓)이 유(劉)며 의춘(宜春) 사람이다. 유생(儒生; 儒)의 의관(衣冠)을 찢고(裂) 앙산(仰山)에서 승가리(僧伽梨)를 입었다(著). 이이(已而; 不久. 後來) 보융평공(普融平公; 道平)을 좇아 출세법(出世法)을 얻었다. 선화(宣和; 1119-1125) 초 동경(東京) 정인(淨因)에 주(住)했다. 태위(太尉) 진량필(陳良弼)이 대회(大會)를 건립하자(建) 선강(禪講)이 다 모였다(畢集) 선법사(善法師)가 있었는데 현수종(賢首宗)의 우두머리(雄)였다. 제선(諸禪)에게 치문(致問; 詢問)해 가로되 오불(吾佛)이 설교(設敎)하시매 소승(小乘)으로부터 원돈(圓頓)에 이르기까지 공유(空有)를 소제(掃除)하고 진상(眞常)을 독증(獨證)한 연후에 만덕(萬德)을 장엄(莊嚴)해야 바야흐로 이름하여 불(佛)이라 합니다. 선종(禪宗)에선 1할(喝)로써 전범성성(轉凡成聖)한다 하니 여러 경론(經論)을 고찰(考察; 攷는 考와 같음)하건대 서로 위배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1할(喝)이 만약 능히 오교(五敎)에 들어간다면 이 정설(正說)이 되려니와 만약 능히 오교(五敎)에 들어가지 못한다면 이 사설(邪說)이 될 것입니다. 이때 제선(諸禪; 여러 선사)이 열좌(列坐)했다. 법진선사일공(法眞禪師一公; 守一)이 눈으로써 자수선사심공(慈受禪師深公; 懷深)에게 깜작였다(眴). 심(深)이 다시 스님에게 팔꿈치로 찔러(肘) 대답하게 했다. 스님이 이에 선(善)을 부르고 일러 가로되 법사의 물은 바를 받들건대(承) 족히 여러 대선사(大禪師)의 응대(應對; 醻는 酬와 같음)를 노고롭게 하지 않으리니 다만 정인(淨因; 繼成) 소장로(小長老)가 가히 법사의 의혹을 풀이하겠다(解). 그 오교(五敎)란 것은 여(如; 例擧를 표시) 우법소승교(愚法小乘敎)는 곧(乃) 유(有)의 뜻이며 여(如) 대승시교(大乘始敎)는 곧 공(空)의 뜻이며 여(如) 대승종교(大乘終敎)는 곧 불유불공(不有不空)의 뜻이며 소위(所謂) 대승돈교(大乘頓敎)는 곧 즉유즉공(卽有卽空)의 뜻이며 소위 일승원교(一乘圓敎)는 곧 공(空)이라서 유(有)가 아니며 유(有)라서 불공(不空)의 뜻이다. 나의 이 1할(喝)은 능히 오교(五敎)에 들어갈 뿐만 아니라 세간(世間)의 제자백가(諸子百家)와 일체의 기예(技藝)에 이르기까지 모두(悉) 능히 상입(相入)한다. 이에 할(喝)하고 가로되 도리어 듣느냐. 선왈(善曰) 듣습니다. 성왈(成曰) 네가 이미 들으니 곧 이 1할(喝)이 이 유(有)라서 이는 능히 소승교(小乘敎)에 들어갔다. 또 선(善)을 부르고 가로되 네가 지금 도리어 듣느냐. 선왈(善曰) 듣지 못합니다. 성왈(成曰) 네가 이미 듣지 못하니 곧 적래(適來; 조금 전)의 1할이 이 무(無)라서 이는 능히 대승시교(大乘始敎)에 들어갔다. 나의 처음 1할을 네가 이미 유(有)라고 말했다가 할(喝)한 지 오래되어 소리가 사라지자 네가 다시 무(無; 저본에 能으로 지었음)라고 말했다. 무(無)라고 말했지만 곧 원초(元初)엔 실로 유(有)였고 유(有)라고 말했지만 곧 즉금(卽今)엔 실로 무(無)니 이미 곧(乃) 불유불무(不有不無)인지라 이는 능히 종교(終敎)에 들어갔다. 내가 할(喝)이 있을 때엔 유(有)가 이 유가 아니라 무(無)를 인한 고로 유(有)며 할(喝)이 없을 때엔 무(無)가 이 무가 아니라 유(有)를 인한 고로 무(無)니 즉유즉무(卽有卽無)이므로 능히 돈교(頓敎)에 들어갔다. 나의 이 1할은 1할의 용(用)을 짓지 않나니 유무(有無)가 미치지 못하고 정해(情解)를 모두(俱) 잊는다(忘). 유(有)를 말할 때 섬호(纖毫)도 세우지 않고 무(無)를 말할 때 허공에 횡편(橫徧)하다. 곧 이 1할이 백천만억 할에 들어가고 백천만억 할이 이 1할에 들어가니 이는 능히 원교(圓敎)에 들어갔다. 선(善)이 드디어 계수(稽首)하며 스님에게 감사(感謝; 謝)했다. 다시 선을 부르고 가로되 내지 일어일묵(一語一默)ㆍ일동일정(一動一靜)과 옛으로 좇아 지금에 이르도록 시방허공(十方虛空)ㆍ만상삼라(萬像森羅)ㆍ육취사생(六趣四生)ㆍ삼세제불(三世諸佛)ㆍ일체성현(一切聖賢)ㆍ팔만사천법문(八萬四千法門)ㆍ백천삼매(百千三昧)ㆍ무량묘의(無量妙義)가 계리계기(契理契機)하여 천지만물과 더불어 일체(一體)니 이를 일러 법신(法身)이라 하며 삼계유심(三界唯心)ㆍ만법유식(萬法唯識)ㆍ사시팔절(四時八節)ㆍ음양일치(陰陽一致) 이를 일러 법성(法性)이라 한다. 이런 고로 화엄경(華嚴經)에 이르되 법성이 일체처(一切處)에 편재(徧在)하여 유상무상(有相無相)ㆍ일성일색(一聲一色)이 전부 일진(一塵)에 있고 가운데 사의(四義)를 머금어 사리(事理)가 무변(無邊)하고 주편(周徧)하여 나머지가 없다. 섞이되 섞이지 않고(參而不雜) 합해도 하나가 아니니(混而不一) 이 1할 중에 모두 다 구족했거니와 오히려 이는 건화문정(建化門庭)의 수기방편(隨機方便)이며 이를 일러 소헐장(小歇場)이라 하고 보소(寶所)에 이르지 못했다 한다. 우리의 조사문하(祖師門下)에선 이심전심(以心傳心)하고 이법인법(以法印法)하여 불립문자(不立文字)하고 견성성불하는 천성(千聖)일지라도 전하지 못하는 향상일로(向上一路)가 있는 줄 너무 알지 못한다. 선(善)이 또 문왈(問曰) 무엇이 이 향상일로(向上一路; 저본에 向下一路로 지었음)입니까. 성왈(成曰) 너는 다만(且) 향하(向下)하여 회취(會取)하라. 선왈(善曰) 무엇이 이 보소(寶所)입니까. 성왈(成曰) 너의 경계가 아니다. 선왈 선사의 자비(慈悲)를 바랍니다. 성왈 창해가 변하는 대로 맡기고 좇지만 마침내 그대를 위해 통지(通知)하지 못한다. 선(善)이 이에 그 입을 다물고(膠其口) 그 기를 빼앗기고(褫其氣) 초연(愀然)히 변용(變容)하고 괴작(媿怍; 부끄러워하다)하며 물러났다. 희(噫)라, 성(成; 繼成)의 학이 넉넉하고 도가 밝으며(學贍道明) 좌우에서 근원(根源; 原)을 만나 승기(乘機)하여 인천(人天)의 무리 앞에서 좌예(挫銳)하니 선덕(先德)을 차사(借使; 빌려서 사용함)하여 부종(扶宗; 禪宗을 扶持)하고 또한 여기에 업신여김(蔑)을 가하였다.
●蹣菴成; 계성(繼成)이니 송대 임제종승. 강서 의춘 사람. 속성은 유며 자는 만암(蹣菴). 숭녕년 간(1102-1106) 앙산보를 참해 득도하고 개봉 지해선원 보융도평(普融道平; 임제하 9세)의 법을 이었음. 선화 6년(1124) 봄 조칙을 받들어 우가(右街) 현충사에 주(住)했다가 동경 정인사(淨因寺)로 옮겼음. 건염 초년(1127) 천태산 화정봉에 들어갔고 소흥년 간(1131-1162) 복건 수봉에 들어갔음. 스님은 일찍이 휘종의 귀의를 받았으며 사호가 불자선사 [보등록12. 오등회원12. 석씨계고략4].
●僧伽梨; <범> saṃghāṭī. 또 승가리(僧伽黎)ㆍ승가지(僧伽胝)ㆍ승가치(僧伽致)로 지음. 3의(衣)의 하나니 곧 9조(條) 이상의 옷임. 또 반드시 꼭 할절(割截)한 후에 비로소 제성(製成)함으로 인해 고로 명칭이 중의(重衣)ㆍ복의(複衣)ㆍ중복의(重復衣)임. 그 조수(條數)가 많음으로 인해 고로 명칭이 잡쇄의(雜碎衣)임. 외출 및 기타의 장엄한 의식(儀式)을 지을 때 그것을 착용(著用)함. 예컨대(如) 왕궁이나 취락(聚落)에 들어가거나 걸식하거나 및 승좌(陞座)하여 설법하거나 외도(外道)를 항복시키는 등 여러 때에 착용하는 것임. 고로 명칭이 입왕궁취락의(入王宮聚落衣)임. 또 그것이 모든 옷 중에 가장 큰 것이 되기 때문에 고로 명칭이 대의(大衣)임. 공(共)히 하중상(下中上) 3위(位) 9품(品)의 부동(不同)함이 있는지라 구품대의(九品大衣)의 명칭이 있음. 일반으로 그 하하품(下下品)으로 나아가 통칭하여 9조의(九條衣)라 함. 그러나 사분율에선 겨우 하ㆍ중 6품만 들(擧) 따름임. 그 중에 하하품 9조ㆍ하중품 11조ㆍ하상품 13조는 모두 2장1단(二長一短)이며 중하품 15조ㆍ중중품 17조ㆍ중상품 19조는 모두 3장1단(三長一短)이며 상하품 21조ㆍ상중품 23조ㆍ상상품 25조는 모두 4장1단(四長一短)임. 장다단소(長多短少)는 곧 성증범감(聖增凡減)의 뜻을 표시함 [사분율40, 41, 48. 살오분율20, 21, 29. 마하승기율9, 38. 십송율27, 28. 남해기귀내법전2. 현응음의14].
●仰山; ①강서 의춘현(宜春縣)의 남쪽에 위치함. 산세가 몹시 높아 반드시 우러러 보아야 비로소 얻어 보는지라 고로 명칭이 앙산(仰山)임. 또 명칭이 대앙산(大仰山)임. 당(唐) 희종(僖宗) 때 위산영우(潙山靈祐)의 제자 혜적(慧寂)이 일찍이 이 땅에 선원(禪院)을 개창(開創)하여 위산영우의 종풍을 발양(發揚)하였으니 이것이 곧 선종의 위앙종(潙仰宗)임. 앙산도 또한 이로 인해 이름이 알려졌음. 혜적이 입멸한 후 지제(智齊)ㆍ택화(擇和) 등을 경유해 혜남(慧南)의 제자 행위(行偉)에 이르렀을 때 법도(法道)를 크게 떨쳤으며 일시(一時)에 흥성했음. 산중에 모두 세 탑이 있는데 곧 서탑(西塔)ㆍ남탑(南塔)ㆍ동탑(東塔)임. 이 밖에 산 아래 서은사(棲隱寺)가 있는데 송대(宋代)에 이름을 바꿔 태평흥국선사(太平興國禪寺)라 했음. ②당대승 앙산혜적을 가리킴.
●普融平; 도평(道平; ?-1127)이니 송대 임제종승. 선도(광동) 사람. 속성은 허며 호는 보융(普融). 대위모철(大潙慕喆; 임제하 8세)을 참하여 철저히 깨치고 지취를 얻었음. 후에 동경의 지해 등 6좌(座; 量詞)의 도량에 거주했고 네 차례 조칙을 받았음. 정강 원년(1126) 황주(호북) 백자산에 귀은(歸隱)했고 건염 원년 시적했음 [보등록8. 오등회원12].
●出世; 출세간(出世間)의 약칭이니 곧 세속을 초월하여 세진(世塵)을 출리(出離)함의 뜻. 또 출진(出塵)으로 지음.
●太尉; 고대에 군사(軍事)를 집장(執掌)하는 최고의 관직이었음. 진(秦)에서 처음 설치했고 한초(漢初)에는 따라서 썼으나 한무제 이후 혹은 폐하기도 하고 혹은 두기도 했음. 후에는 일반의 무관의 존칭으로 쓰였음. ▲권서9(權書九) 한고조가 가로되 주발(周勃)은 중후하지만 문장이 적다. 그러나 유씨(劉氏)를 안정하는 것은 반드시 주발이니 가히 태위(太尉)로 삼게 하라. ▲송사168(宋史一六八) 태위로써 무선(武選)의 일품(一品)으로 삼아 절도사의 위에 위치케 했다.
●賢首宗; 화엄종임. 당대 화엄종 제3조 법장의 자가 현수며 현수에 이르러 이 종이 대성(大成)한지라 고로 이름함.
●小乘; 대승(大乘)에 상대한 칭호임. 불과(佛果)를 구함이 대승이 되고 아라한과(阿羅漢果)나 벽지불과(辟支佛果)를 구함이 소승이 됨. 불과란 것은 이르자면 일체종지(一切種智)를 열어 미래제(未來際)가 다하도록 중생을 화익(化益)하는 깨침이 되며 아라한과와 벽지불과는 비록 천심(淺深)의 다름이 있지만 그러나 다 회신멸지(灰身滅智)하여 공적열반(空寂涅槃)으로 돌아가는 깨침임. 승(乘)이란 것은 운재(運載)의 뜻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이를 타고(乘) 그 오안(悟岸)에 이르게 하는 교(敎)를 가리킴. 4제(諦)로써 아라한과에 이르는 교체(敎體)로 삼고 12인연으로써 벽지불과에 이르는 교체로 삼음. 이와 같이 소승에 2도(道)가 있는지라 고로 또한 이를 일러 2승(乘)이라 함 [법화경현찬1본. 화엄오교장1. 화엄경탐현기1. 대승기신론의기상].
●圓頓; 원만하고 돈족(頓足)함의 뜻이니 곧 일체가 원만무결함. 원만히 구족한 마음으로 입지(立地; 즉시. 바로)에 가히 도달하는 오계(悟界)니 곧 가히 돈속(頓速)히 성불하는지라 고로 원돈일승(圓頓一乘), 원돈지관(圓頓止觀) 등의 명칭이 출현했음. 이것은 천태교의(天台敎義)에서 말하는 바가 되며 또 그 원돈의 관법을 곧 일컬어 원관(圓觀)이라 함. 이 밖에 여러 종파 중에 구극(究極)의 교나 혹 수행을 또한 일컬어 원돈이라 함.
●莊嚴; 엄식(嚴飾)하여 포열(布列)함의 뜻.
●禪宗; 또 불심종ㆍ달마종이라 일컬음. 보리달마를 초조(初祖)로 삼아 심성(心性)의 본원(本源)을 탐구(探究)하여 견성성불을 기약하는 대승종파를 가리킴. 겸하여 천태(天台) 삼론종(三論宗) 두 계통을 포함하므로 달마종에 국한되지 않음. 당나라 중엽 이강(以降; 이후)으로 달마종이 흥성하였으므로 선종이라 하면 드디어 오로지 달마종을 가리켜 말함.
●喝; 허갈절(許葛切; 할). ①질타(叱咤)의 성음(聲音)이니 당대 이후 선사들이 늘 대할(大喝)로 학인의 유견사집(謬見邪執)을 파제(破除)하거나 혹 언어와 사려가 미치지 않는 바의 제애(際涯)를 계발(啓發)했음. 고존숙어록1을 안험컨대 백장이 일찍이 마조대적선사(馬祖大寂禪師)의 1할(喝)을 받았는데 혹 곧 용할(用喝)의 기원(起源)이 됨. 임제록을 안험컨대 임제의 할(喝)에 4종의 작용이 있으니 어떤 때의 1할(喝)은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劍)과 같고(名相言句의 집착과 拘礙를 截破함) 어떤 때의 1할은 거지금모사자(踞地金毛獅子)와 같고(小機小見을 타파함) 어떤 때의 1할은 탐간영초(探竿影草)와 같고(학인을 驗定하거나 혹 師家를 勘辨함) 어떤 때의 1할은 곧 부작일할용(不作一喝用; 1할의 용을 짓지 않음)이다(일체를 收歸함이니 각종 작용을 갖추고 있으되 작용하지 않는 향상의 1할을 가리킴). 이것이 소위 임제의 4할임. 다만 그 용을 알지 못하고 할하면 곧 일컬어 호할난할(胡喝亂喝)이라 함. 이런 종류의 응기접물(應機接物)의 법은 그 후에 임제종풍을 이루었음 [종문통요속집9임제조. 인천안목3]. ②곧 창(唱)의 뜻이니 선림 중에서 이를 씀. 할참(喝參)은 자기가 이미 내도(來到)했음을 고지함이며 할산(喝散)은 곧 대중을 해산함을 선고함이며 할화(喝火)는 취침 전 각료(各寮)를 점검하며 화재를 방지함을 가리킴.
●五敎; 교판(敎判)의 이름이니 곧 여래의 일대성교(一代聖敎)를 전판(詮判)하여 5류(類)의 교지(敎旨)로 삼았음. (1). 화엄 3조 현수(賢首)가 세운 바를 호칭하여 현수오교(賢首五敎)라 함. 1. 소승교(小乘敎; 愚法聲聞敎). 2. 대승시교(大乘始敎; 權敎). 3. 대승종교(大乘終敎; 實敎). 4. 돈교(頓敎). 5 원교(圓敎) [화엄오교장1. 화엄경탐현기1]. (2). 당대 규봉종밀이 세운 것이니 1은 인천교며 2는 소승교며 3은 대승법상교며 4는 대승파상교(大乘破相敎)며 5는 일승현성교(一乘顯性敎)임 [화엄원인론발미록중. 선원제전집도서상지2]. 여기에선 (1)을 가리킴.
●法眞; 수일(守一)이니 송대 운문종승. 강소 강음 사람이며 속성은 심이며 호는 법진선사(法眞禪師). 어릴 적에 불문을 흠모했음. 혜림종본(慧林宗本; 운문하 5세)에게 귀의했고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후에 수주(절강 가흥) 본각사(本覺寺)에 주지했음 [오등회원16. 가태보등록5].
●慈受; 회심(懷深; 1077-1132)이니 송대 운문종승. 수춘부(안휘) 육안 사람이며 속성은 하며 자는 자수니 세칭이 자수선사(慈受禪師). 14세에 머리를 깎았고 숭녕(1102-1106) 초 장로숭신(長蘆崇信; 운문문언하 6세)을 가화(절강 가흥) 자성사에서 참알하고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후에 숭신이 강소 장로사(長蘆寺)로 이주하여 스님에게 명해 수좌가 되었음. 정화 3년(1113) 의진군수(儀眞郡守)의 요청에 응해 자복사에 주(住)했고 후에 조정에서 자복사를 고쳐 신소궁(神霄宮)으로 만들자 드디어 장산(蔣山)으로 가서 서암에 거주했음. 그 후 봉칙(奉敕)하여 강소 초산ㆍ낙양 혜림사(慧林寺)에 주(住)했고 고종 소흥 2년 시적했음. 나이는 56, 납은 36. 자수심화상광록 4권이 있어 행세함 [가태보등록9. 오등회원16. 속전등록18].
●肘; 팔꿈치를 써서 접촉해 움직임.
●長老; 연령이 어른이면서 법랍이 높으며 지덕(智德)이 모두 우수한 대비구를 가리킴. 또 명칭이 상좌(上座)ㆍ상수(上首)ㆍ기숙(耆宿)ㆍ기구(耆舊)ㆍ노숙(老宿)ㆍ구수(具壽)임. 장아함8 중집경에 3종 장로를 열거했음. 1. 연기장로(年耆長老) 불도에 들어와 경년(經年)한 승인을 가리킴. 2. 법장로(法長老) 교법에 정통한 고승을 가리킴. 3. 작장로(作長老) 세속의 가명(假名)의 장로가 됨. 장로는 비록 연랍(年臘)이 높은 자에 대한 경칭이지만 그러나 꼭 연로자가 됨은 아님. 증일아함경22 내가 이제 장로를 말함음/ 꼭 먼저 출가함은 아니다/ 그 선(善)의 본업을 닦고/ 정행(正行)을 분별해야 한다/ 설사 나이가 유소(幼少)함이 있더라도/ 제근(諸根)에 누결(漏缺)이 없으면/ 바로 이르되 이름이 장로니/ 바른 정법의 행을 분별한다. 이 밖에 선림 중에선 다분히 학인을 접인하는 사가를 일컬어 장로라 함. 또 선종은 사원의 주지승인(住持僧人)을 일컬어 장로라 함.
●諸子百家; 전한서30 예문지에 가로되 무릇 제자(諸子) 189가(家) 4,324편(篇)이다. 전한서30 예문지에 가로되 제자(諸子) 10가에 그 가관(可觀)인 자는 9가일 따름이다.
●世間; 세(世)는 천류(遷流)의 뜻이며 파괴의 뜻이며 부진(覆眞)의 뜻이며 간(間)은 중(中)의 뜻이 됨. 세중(世中)의 사물(事物)에 떨어짐을 이를 일러 세간이라 함. 또 간격(間隔)의 뜻이니 세(世)의 사물은 개개(個個)가 간격하여 계반(界畔)이 되며 이를 일러 세간이라 함. 곧 이른 바 세계(世界)와 서로 같나니 대요(大要)에 2종이 있음. 1은 유정세간(有情世間)이니 이르자면 생자(生者)가 있음이며 2는 기세간(器世間)이니 국토임 [릉엄경4. 유식술기1본].
●稽首; 불교 예법의 하나가 됨. 곧 머리를 땅에 붙이는 예. 주례에 실린 바 9배(拜) 중 계수는 가장 공경의 행례법(行禮法)이 됨. 불교의 계수는 등을 구부리고 몸을 굽혀 머리와 얼굴을 땅에 붙이고 양 손바닥을 펴서 예배를 받는 자의 두 발로 향하는지라 고로 또 명칭이 접족례(接足禮; 상대방의 발에 접촉함)임. 인도의 최고의 예절이 됨. 이른 바 접족하여 작례하다ㆍ머리와 얼굴로 발에 절하다ㆍ오체투지 등은 곧 이것을 가리켜 말함임 [사분율함주계본소1. 대승의장4. 석문귀경의하. 석씨요람중].
●六趣; 조정사원7. 육취(六趣) 1. 지옥취(地獄趣) 범어로 이르되 니리(泥黎; 梵 niraya)는 여기에선 고구(苦具)로 번역함. 지옥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취(趣)가 땅의 아래에 있으므로 고로 말하되 지옥임. 8한8열(八寒八熱) 등이 있으며 권속(眷屬; 8한8열지옥에 딸린 권속지옥)이 있어 그 종류가 무수함. 가장(㝡는 最와 같음) 무거운 자는 하루에 팔만사천 생사가 있음. 2. 축생취(畜生趣) 또한 이르되 방생(旁生)임. 피모대각(披毛戴角; 털을 입고 뿔을 임)과 인갑우핵(鱗甲羽翮; 鱗은 비늘 린. 甲은 껍질 갑. 翮은 깃촉 핵)과 사족다족(四足多足)과 유족무족(有足無足)이니 호상 삼키고 씹어 수고가 무궁함. 3. 아귀취(餓鬼趣) 복덕이 있는 자는 산림이나 총묘(塚廟)의 신(神)을 지으며 복덕이 없는 자는 부정한 처소에 거주하면서 음식을 얻지 못하고 늘 채찍으로 때림을 받으며 고통을 입음이 무량함. 4. 아수라취(阿修羅趣) 여기에선 무주(無酒)로 번역하며 또 무단정(無端正)이며 또 무천(無天)임. 혹은 해안과 해저에 있으면서 궁전을 엄식(嚴飾)하고 늘 투전(鬪戰)을 좋아하며 두려움이 다함이 없음. 5. 인취(人趣) 사주(四洲)가 부동(不同)이며 다 고락이 상간(相間)함. 6. 천취(天趣) 28천이 있어 부동함. 욕계는 6이며 색계는 18이며 무색계는 4임. 이것이 육취임.
●四生; 난생ㆍ태생ㆍ습생ㆍ화생이니 인취와 축생취는 각기 4생을 갖췄고 귀취는 태ㆍ화 2생에 통하고 일체의 지옥ㆍ제천 및 중유(中有)는 오직 화생함 [구사론8].
●三世; 또 이르되 3제(際)니 과거ㆍ현재ㆍ미래임. 또 전세ㆍ현세ㆍ내세임. 세(世)란 것은 천류(遷流)의 뜻. 유위의 사물은 1찰나의 사이에도 또한 멈추지 않고 생하면 바로 멸하나니 이로 인해 이르기를 내생은 미래세가 되고 생료(生了)하면 현재세가 되고 멸료(滅了)하면 과거세가 됨. 이것은 사물의 천류상(遷流上)에서 3종의 세(世)를 가립(假立)했음. 사물을 여의면 달리 세의 실체가 없음 [보적경94].
●聖賢; 영명(靈明)히 통감(洞鑑; 환히 살핌)함을 가로되 성(聖)임. 또 성(聖)은 정(正)과 같나니 정교로 사람을 가르침임. 범부를 초월한 아성(亞聖; 성인의 버금)을 가로되 현(賢)임 [선림보훈음의].
●八萬四千; 곧 수량의 극다(極多)의 형용사(形容詞)임. 간략히 팔만(八萬)으로 지음. 번뇌의 종류가 극다하여 비유로 일컬어 팔만사천번뇌ㆍ팔만사천진로(八萬四千塵勞)라 하고 부처가 설한 바의 교법(敎法) 및 그 의의(意義)가 지극히 번복(繁複)한지라 고로 또한 총칭(總稱)하여 팔만사천법문(八萬四千法門; 八萬法門)ㆍ팔반사천법장(八萬四千法藏; 八萬法藏)ㆍ팔만사천법온(八萬四千法蘊; 八萬法蘊)이라 함 [왕생요집상].
●法門; 문이란 것은 차별의 뜻이니 설하는 바 법의(法義)에 갖가지 차별이 있는지라 고로 이르되 법문임. ▲기신론소상. 궤칙(軌則; 규범으로 삼고 배움. 본받다)하여 진해(眞解)를 내는지라 고로 이름해 법이며 통하여 열반에 드는지라 고로 이름해 문이다.
●三昧; 현응음의6. 삼매(三昧) 바른 말로는 삼마지(三摩地; 梵 samā dhi)니 여기에선 이르되 등지(等持)임. 모든 공덕을 등지함임. 혹은 이르되 정정(正定)이니 이르자면 한 경계에 인연을 머물러 모든 사란(邪亂)을 여읨임. 예전에 이른 삼마제(三摩提)는 그름. ▲번역명의집4. 삼매(三昧) 여기에선 이르되 조직정(調直定)이며 또 이르되 정정(正定)이며 또는 이르되 정수(正受)다. 규봉소(圭峯疏)에 이르되 모든 수(受)를 받지 않으므로 정수(正受)라고 이름한다.
●三界; 삼장법수7. 삼계(三界) [출화엄공목] 1은 욕계(欲界)니 욕(欲)에 4종이 있음. 1자는 정욕(情欲)이며 2자는 색욕이며 3자는 식욕이며 4자는 음욕(婬欲)임. 아래로 아비지옥에 이르고 위로 제6 타화천(他化天)에 이르기까지 남녀가 서로 섞여 여러 염욕(染欲)이 많으므로 고로 이름이 욕계임. 2는 색계(色界)니 색은 곧 색질(色質)임. 이르자면 비록 욕계의 더러운(穢惡) 색을 여의었으나 청정한 색이 있음. 처음인 초선범천(初禪梵天)으로부터 마침인 아가니타천(阿迦膩吒天)에 이르기까지 무릇 18천이 있음. 모두 여형(女形)이 없고 또한 욕염(欲染)도 없으며 다 이는 화생(化生)임. 아직 색질이 있으므로 고로 이름이 색계임. 3은 무색계(無色界)니 이르자면 다만 심식(心識)만 있고 색질이 없음. 처음인 공처(空處)로부터 마침인 비비상처(非非想處)에 이르기까지 무릇 4천이 있음. 다만 수상행식(受想行識)의 4심(心)만 있고 형질이 없으므로 고로 이름이 무색계임.
●四時八節; 1년 중의 사계(四季; 春夏秋冬)와 8개의 주요한 절기(節氣; 立春 春分 立夏 夏至 立秋 秋分 立冬 冬至).
●華嚴經; 대방광불화엄경이니 또 명칭이 잡화경(雜華經)임. 3종이 있음. (1). 육십화엄(六十華嚴) 무릇 60권이며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번역했음. 또 명칭이 구화엄(舊華嚴)ㆍ진경(晉經)이니 총(總) 7처8회(七處八會) 34품(品)으로 이루어졌음. 출삼장기집9ㆍ화엄경탐현기1 등에서 든 바에 의거하면 화엄경의 범본(梵本)은 원래 10만 게가 있고 동진 지법령(支法領)이 우전국(于闐國)으로부터 3만6천 게를 휴입(攜入)함으로 말미암아 안제(安帝) 의희(義熙) 14년(418) 3월로부터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가 60권을 역성(譯成)했기 때문에 일컬어 60화엄(華嚴)이라 했으니 이것이 곧 제1역(譯)임. 그러나 60화엄 중의 입법계품(入法界品)에 오히려 결문(缺文)이 있었고 바로 당 영륭(永隆) 원년(680)에 이르러 비로소 보역(補譯)했음. (2). 팔십화엄(八十華嚴) 무릇 80권이며 당대(唐代)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했음. 또 명칭이 신화엄(新華嚴)ㆍ당경(唐經)이며 총(總) 7처9회(七處九會) 39품(品)으로 이루어졌으니 60화엄의 이역(異譯)이 됨. 80화엄의 범본은 곧 실타난타가 무측천(武則天)의 요청에 응해 우전국(于闐國)으로부터 중화로 휴입(攜入)했음. 당 무측천 증성(證聖) 원년(695) 3월로부터 편공사(遍空寺) 안에서 처음 번역했고 무후(武后)가 역장(譯場)에 친림해 수제(首題)의 품명(品名)을 휘호(揮毫)했음. 성력 2년(699) 10월에 이르러 공(功)을 마쳤으니 이것이 곧 제2역(譯)임. 본경의 서장역본(西藏譯本)은 총(總) 45품으로 이루어졌고 그 중 전(前) 44품은 본경의 전 38품에 상당하고 제45품은 본경의 제39 입법계품에 상당함. (3). 사십화엄(四十華嚴) 무릇 40권이며 당대(唐代) 반야(般若)가 번역했음. 전칭(全稱)이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이며 약칭이 보현행원품이며 또 명칭이 정원경(貞元經)임. 신구(新舊) 양역(兩譯) 화엄경의 입법계품의 별역(別譯)임. 당 덕종(德宗) 정원(貞元) 11년(795) 11월 남천축 오다국(烏荼國) 사자왕(師子王)이 사자를 파견해 그가 친사(親寫)한 바 화엄경의 범본을 진공(進貢)했기 때문에 다음해 6월 장안 숭복사(崇福寺)에서 계빈(罽賓; 계빈국) 반야삼장(般若三藏)이 그것을 번역함으로 말미암아 징관(澄觀) 및 원조감허(圓照鑑虛) 등 여러 스님이 상정(詳定)했고 정원(貞元) 14년 2월에 번역을 마쳤음. 공히 40권이며 이것이 곧 40화엄임. ▲종통편년5. 조(14조 龍樹)가 용궁에 들어가 장경을 보는데 화엄경(華嚴經)이 3본(本)이 있음을 보았다. 상본(上本)은 십삼세계(十三世界; 10삼천대천세계)의 미진수게(微塵數偈)며 1사천하(四天下)의 미진수품(微塵數品)이었고 중본(中本)은 49만8천8백 게며 1천2백 품(品)이었고 하본(下本)은 10만 게며 48품이었다. 상본은 부처가 아니면 능히 알지 못하고 중본은 오직 주지보살(住地菩薩; 10地의 位에 住하는 보살)이라야 이에 능히 그것을 알겠는지라 드디어 하본을 기(記)하여 서토(西土)로 회귀했다. 전(傳)하여 동진(東震)에 이른 것은 겨우 80권 39품이니 곧 전분(前分)의 3만6천 게라, 오히려 6만4천 게 9품이 있어 서토에 있다.
●建化門; 불조가 건립한 교화법문임. 선가에서 인식하기를 건화문은 모두 돈오의 묘법이 아니라고 함. 다만 이것은 다수의 중하근기에 적의(適宜; 적합)한 방편법문임.
●祖師; 조(祖)란 것은 시(始)니 1종1파(一宗一派)를 개창(開創)한 사람을 개조(開祖)라고 이르고 혹 그 교법(敎法)을 전승(傳承)한 사람을 열조(列祖)라고 이름. 개조에 종조(宗祖)와 파조(派祖)의 분별이 있으니 예여(例如; 예를 들어 말함) 일반적으로 보리달마(菩提達摩)를 존칭하여 선종의 종조(宗祖)로 삼고 의현(義玄)과 양개(良价)는 곧 분별하여 임제종과 조동종의 파조(派祖)로 삼음. 불교의 각 종파(宗派)에서 다 그 열조(列祖)의 상승(相承)을 중시하나니 예여(例如) 선종은 서천의 28조와 동토의 6조가 있고 천태종은 동토의 9조ㆍ17조가 있고 화엄종은 5조ㆍ7조ㆍ10조가 있고 진언종은 8조가 있고 정토종은 5조ㆍ13조 등이 있음. ▲춘추정의(春秋正義) 담조(啖助)가 가로되 3전(三傳; 左傳ㆍ公羊傳ㆍ穀梁傳)의 뜻은 본래 다 구전(口傳)했으나 뒤의 학자들이 이에 죽백(竹帛)에 붙여 조사(祖師)의 명목(名目)으로써 이를 제목했다. ▲한서 외척전. 정도정희(定陶丁姬)는 애제(哀帝)의 모친이다. 역조사정장군(易祖師丁將軍)의 현손(玄孫)이다. 사고(師古)의 주(注)에 가로되 조(祖)는 시(始)다. 정관역(丁寬易)의 시사(始師)다. 고로 석로(釋老) 2씨가 그 종파를 창립한 사람을 일컬어 가로되 조사(祖師)라 한다. ▲석씨요람상(釋氏要覽上) 이 국토에선 달마의 서래(西來)로부터 조계능대사(曹溪能大師)에 이르기까지(距) 6인만이 조사(祖師)라는 명칭을 얻는다.
●以心傳心; 언설문자를 여의고 마음을 마음에 전함임. 선종은 문자를 세우지 않고 경론에 의하지 않고 오직 사도(師徒)가 직접 면수(面授; 대면하여 전수)하여 심경(心鏡)을 서로 비추어 불법의 대의를 전함을 일컬어 이심전심이라 함. ▲달마혈맥론. 삼계가 흥기(興起)하여 모두 일심으로 돌아가나니 전불과 후불이 마음으로 마음에 전하고(以心傳心)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
●向上一路; 위없는 지진(至眞)의 선도(禪道)니 향상일착ㆍ향상일규와 같은 뜻. 이는 천성(千聖)이라도 전하지 못하는 묘도임.
●慈悲; 중생을 자애하면서 아울러 쾌락을 급여(給與)함을(與樂) 일컬어 자(慈)라 하고 그 고통에 동감(同感)하여 중생을 연민하고 아울러 그 고통을 발제(拔除)함을(拔苦) 일컬어 비(悲)라 함. 2자의 합칭이 자비가 됨. 불타의 비(悲)는 곧 이 중생의 고(苦)를 자기의 고로 삼는 동심동감(同心同感)의 상태인지라 고로 명칭이 동체대비(同體大悲)임. 또 그 비심(悲心)이 광대무진한지라 고로 명칭이 무개대비(無蓋大悲; 이 悲보다 更廣更大更上할 게 있지 않는 것)임. ▲선림보훈음의. 자비(慈悲) 자는 능히 낙을 주고 비는 능히 고를 뽑는다.
●人天; 1. 인취(人趣)와 천취(天趣)니 이것은 이 6도(道)와 10계(界) 중의 2계며 다 미망(迷妄)의 경계가 됨. 또 사람과 천신(天神)을 가리킴. 2. 선가에서 늘 법당상(法堂上)의 청법대중(聽法大衆)을 가지고 인천(人天)이라 호칭함.
●先德; 1. 이미 서거한 고승에 대한 존칭. 2. 선참(先參)의 숙덕(宿德)이니 곧 선배의 유덕(有德)한 자. 여기에선 1을 가리킴.
나호야록 주문제본
2025년 仲秋 번역필. 합 660쪽. 本註補註 合計 1,320 目. 미출간. 원문과 출처가 분명한 한문 주석을 넣고 다시 전체를 한글 번역. 주문 요청이 있을 시 인쇄소 에 부탁해 5일 내에 복사 제본해 발송합
pyungsimsa.tistory.com
'나호야록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호야록상 황룡충(黃龍忠; 法忠) 도자(道者) (0) | 2025.10.19 |
---|---|
나호야록상 옥천호(玉泉皓; 承皓) 선사 (0) | 2025.10.18 |
나호야록상 황공노직(黃公魯直; 黃庭堅) (0) | 2025.10.16 |
나호야록상 공실도인(空室道人; 智通) (0) | 2025.10.15 |
나호야록상 서여(西余) 정단선사(淨端禪師)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