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枯禪鏡】 宋代楊岐派僧自鏡 字枯禪 詳見自鏡
고선경(枯禪鏡) 송대 양기파승 자경의 자가 고선이니 상세한 것은 자경(自鏡)을 보라.
) -->
【古先印元】 (1295-1374) 日本臨濟宗僧 又稱古先印原 薩摩(鹿兒島縣)人 出家於圓覺寺 文保二年(1318)渡海入中國 參天目山之中峰明本 而爲其法嗣 嘉曆元年(1326)隨淸拙正澄歸返日本 住惠林寺 又歷住淨智圓覺建長等寺 應安七年示寂 壽八十 敕諡正宗廣智禪師 其門派稱爲古先派 爲日本禪宗二十四流之一 [五燈嚴統二十三 本朝高僧傳三十二]
고선인원(古先印元) (1295-1374) 일본 임제종승. 또 명칭이 고선인원(古先印原)이니 살마(녹아도현) 사람. 원각사에서 출가했고 문보 2년(13 18) 바다를 건너 중국에 들어가 천목산의 중봉명본(中峰明本)을 참하고 그의 법사가 뙤었음. 가력 원년(13 26) 청졸원징(淸拙正澄)을 따라 일본으로 돌아갔으며 혜림사에 거주했음. 또 정지ㆍ원각ㆍ건장 등의 사원을 역주(歷住)했음. 응안 7년에 시적했으며 나이는 80. 칙시하여 정종광지선사라 했고 그 문파를 호칭하여 고선파라 하며 일본 선종 24류의 하나가 됨 [오등엄통23. 본조고승전32].
) -->
【古仙眞】 淸代臨濟宗僧 江寧(今屬江蘇)李氏 幼投弘渡律主薙染 十八遊講肆 謁海會受具 參龍淵晦嶽得印可 住嘉善惠民寺 [五燈全書一〇八補遺]
고선진(古仙眞) 청대 임제종승. 강녕(지금 강소에 속함) 이씨. 어릴 적에 홍도율주에게 투신해 치염(薙染)했으며 18에 강사(講肆)에 노닐었고 해회를 알현해 수구하고 용연회악(龍淵晦嶽)을 참해 인가를 얻었으며 가선 혜민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108보유].
) -->
【古先派】 日本禪宗二十四流之一 楊岐宗破菴下 曰中峰門徒 建長古先印元 入宋嗣中峰明本 楊岐十三世 爲日本之一派 [二十四流宗源圖記] 參古先印元
고선파(古先派) 일본 선종 24류의 하나. 양기종 파암하(破菴下)를 가로되 중봉문도임. 건장의 고선인원(古先印元)이 입송하여 중봉명본(中峰明本)을 이었으니 양기 13세며 일본의 1파가 되었음 [이십사류종원도기]. 고선인원을 참조하라.
) -->
【古雪】 淸代臨濟宗僧 閩(福建)人 得法於天童密雲悟 主新建西山翠巖 有語錄四卷 [同治南昌府志六十二]
고설(古雪) 청대 임제종승. 민(복건) 사람. 천동의 밀운오에게서 득법했으며 신건 서산의 취암을 주지(主持)했으며 어록 4권이 있음 [동치남창부지62].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6쪽 (0) | 2019.05.04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5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3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2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1쪽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