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奈】 怎奈 可恨 ▲五燈全書六十二湛然圓澄 東風時至解寒襟 滑滑山禽鳴上林 好箇圓通消息子 可奈時人不解聽
가나(可奈) 즘나(어찌할까). 가히 한스럽다. ▲오등전서62 담연원징. 동풍이 때때로 이르매 한금(寒襟)을 풀고/ 짹짹이며(滑滑; 음이 활활이니 象聲詞) 산새가 상림(上林)에 우는구나/ 아름다운 원통의 소식자(消息子)이건만/ 시인(時人)이 들을 줄 알지 못함을 어찌할거나(可奈).
) -->
【迦那提婆】 <梵> Kāṇa-deva 禪宗第十五祖 南天竺國人 姓毘舍羅 博識淵覽 才辯絶倫 嘗挖鑿大自在天金像之眼 後復自挖取隻眼回施大自在天 故遂無一眼 時人號曰迦那提婆 後得法於龍樹 [提婆菩薩傳 佛祖歷代通載五 付法藏傳六 出三藏記集十二]
가나제바(迦那提婆) <범> Kāṇa-d eva. 선종 제15조. 남천축국 사람이며 성은 비사라(毘舍羅)임. 박식하고 깊이 열람했으며 재변(才辯)이 절륜(絶倫)했음. 일찍이 대자재천(大自在天)의 금상(金像)의 눈을 굴착했는데 후에 다시 스스로 한 짝 눈을 굴착해 대자천에게 회시(回施)한지라 고로 드디어 한 눈이 없었으며 시인(時人)이 호해 가로되 가나제바라 했음. 후에 용수에게서 법을 얻었음 [제바보살전. 불조역대통재5. 부법장전6. 출삼장기집12].
) -->
【迦諾迦跋釐墮闍】 <梵> Kanakabh aradvāja 十六大阿羅漢之一 此尊者與六百阿羅漢 多分住於東勝身洲 [大明三藏法數四十五] ▲梵琦語錄十四 十六大阿羅漢贊 第三位 東勝身洲 迦諾迦跋釐墮闍尊者
가낙가발리타사(迦諾迦跋釐墮闍) <범> Kanakabharadvāja. 16대아라한의 하나. 이 존자는 6백 아라한과 함께 다분히 동승신주(東勝身洲)에 거주함 [대명삼장법수45]. ▲범기어록14. 16대아라한찬 제3위 동승신주의 가낙가발리타사존자(迦諾迦跋釐墮闍尊者).
) -->
【迦諾迦伐蹉】 <梵> Kanakabharadv āja 十六大阿羅漢之一 此尊者與五百阿羅漢 多分住於北方迦濕彌羅國 [大明三藏法數四十五] ▲梵琦語錄十四 十六大阿羅漢贊 第二位 迦濕彌羅國 迦諾迦伐蹉迦尊者
가낙가벌차(迦諾迦伐蹉) <범> Kanak abharadvāja. 16대아라한의 하나. 이 존자는 5백 아라한과 함께 다분히 북방의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에 거주함 [대명삼장법수45]. ▲범기어록14. 16대아라한찬 제2위 가습미라국 가낙가벌차가존자(迦諾迦伐蹉迦尊者).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쪽 (0) | 2019.04.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8-19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6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4-15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쪽 (0) | 201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