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4-15쪽

태화당 2019. 4. 28. 09:17

可觀】 ①五代僧 俗姓薛 福唐(今福建福淸)人 師事雪峰義存禪師十二年 嗣其法 出居衡山金輪院 [傳燈錄十九] (1092-1182) 宋代天台宗僧 江蘇華亭人 俗姓戚(一說傅) 字宜翁 號解空 竹庵 十六歲受具足戒 學天台 初依止南屛精微 後聞車溪擇卿禪師聲震江浙 負笈從之 得其法 南宋建炎(1127-1130)初 住持嘉禾壽聖寺 紹興年間(1131-1162) 轉住當湖德藏寺 其後移住祥符寺 因染疾退隱當湖南林之竹庵 乾道七年(1171) 住持北禪天台寺 淳熙七年(1180) 爲南湖延慶寺之主 未久 又歸隱當湖之竹庵 淳熙九年示寂 享年九十一 生前 大慧宗杲曾由徑山前來相與言談終日 譽之以敎海老龍 其法嗣有北峰宗印 智行守旻 神辯淸一等 重要著作有楞伽說題集解補注四卷 蘭盆補注 山家義苑各二卷 金剛通論 金剛事說(或金剛事苑) 圓覺手鑑 竹庵草錄各一卷等 [佛祖統紀十五 同二十五 釋門正統七 釋氏稽古略四 佛祖歷代通載二十一] 百丈淸規證義記七之下附天台敎觀一宗 臻(梵臻)傳從諫慈辯爲十九祖 辯傳車溪擇卿爲二十祖 卿傳竹菴宜翁可觀爲二十一祖

가관(可觀) 오대승(五代僧). 속성은 설()이며 복당(지금의 복건 복청) 사람. 설봉의존선사를 사사(師事)하기 12년이었으며 그의 법을 이었음. 출세해 형산의 금륜원에 거주했음 [전등록19]. (1092-1182) 송대 천태종승. 강소 화정 사람. 속성은 척(; 일설엔 부). 자가 의옹(宜翁)이며 호는 해공ㆍ죽암. 16세에 구족계를 받았으며 천태를 배웠음. 처음 남병정미(南屛精微)에게 의지했고 후에 차계택경선사(車溪擇卿禪師)의 명성이 강절(江浙)을 진동한다 함을 듣고 책 상자를 지고 그를 따랐으며 그의 법을 얻었음. 남송 건염(1127-1130) 초 가화 수성사에 주지했고 소흥년 간(1131-1162) 당호의 덕장사로 이전(移轉)하여 거주했으며 그 후 상부사로 이주했음. 질병에 감염됨으로 인해 당호 남림의 죽암으로 퇴은했다가 건도 7(11 71) 북선의 천태사에 주지했음. 순희 7(1180) 남호 연경사의 주()가 되었다가 오래지 않아 또 당호의 죽암으로 귀은(歸隱)했으며 순희9년에 시적했음. 향년 91. 생전에 대혜종고가 일찍이 경산으로부터 전진하여 와서 서로 더불어 언담(言談)하기가 하루 종일이었으며 그를 기려 교해의 노룡(老龍)이라 했음. 그의 법사에 북봉종인ㆍ지행수민ㆍ신변청일 등이 있음. 중요한 저작으로는 릉가설제집해보주 4권ㆍ란분보주 산가의원 각 2권ㆍ금강통론 금강사설(혹 금강사원) 원각수감 죽암초록 각 1권 등이 있음 [불조통기15, 25. 석문정통7. 석씨계고략4. 불조역대통재21]. 백장청규증의기7지하 부천태교관일종(附天台敎觀一宗). (; 梵臻)이 종간자변에게 전하니 19조가 되며 변()이 차계택경에게 전하니 20조가 되며 경()이 죽암의옹가관(竹菴宜翁可觀)에게 전하니 21조가 된다.

) --> 

歌管謂唱歌奏樂 頌古聯珠通集三十九 歌管未闌愁未歇 忽然天曉一時休

가관(歌管) 이르자면 노래를 부르고 음악을 연주함. 송고연주통집39. 가관(歌管)을 다하지 않았고 수심도 쉬지 못했거늘 홀연히 날이 새니 일시에 그쳤다.

) --> 

葭管裝有葭莩灰的玉管 五燈全書一百六西來禪 長至上堂 葭管灰飛 陰陽消長

가관(葭管) 갈대의 회를 장치해 있는 옥관(玉管). 오등전서106 서래선. 장지에 상당하다. 가관(葭管)의 회는 날아가고 음양이 소장한다.

) --> 

假觀天台宗三觀之一 爲空觀中觀之對稱 卽觀照諸法依假名而存在 註心賦二 若智者意 一切法趣色 假觀 色尙不可得 空觀 云何當有趣非趣 卽中道觀

가관(假觀) 천태종 3()의 하나. 공관(空觀)과 중관(中觀)의 대칭이 됨. 곧 제법을 관조하매 가명에 의해 존재함. 주심부2. 지자(智者; 智顗)의 뜻으론 일체의 법취색(法趣色)은 가관(假觀)이며 색도 오히려 불가득은 공관이며 어떻게 마땅히 취()가 있고 비취(非趣)가 있으리오는 곧 중도관이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