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호몽(無事好夢)
동초상소야적정(冬初霜宵也寂靜)
담무월화엽무성(潭無月華葉無聲)
장서양각무사와(長舒兩脚無事臥)
구리송게청호몽(口裏誦偈請好夢)
겨울 초 서리 오는 밤이 또한 적정한데
못엔 월화(月華)가 없고 이파리엔 소리가 없구나
길게 양다리 뻗고 일 없이 누워서
입속에 게를 외우며 아름다운 꿈을 청하노라.
제목 해석 일 없음이 아름다운 꿈. 호(好)는 좋을 호. 아름다울 호.
1~3행 소(宵)는 밤 소. 월화(月華)는 월광. 월채(月彩). 서(舒)는 펼 서.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풍류설(風流雪)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적조(寂照)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1년 체로진상( 體露眞常)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1년 무주구천동( 戊州九千洞)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1년 만도백련사(晩到白蓮寺)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