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중춘예사불여귀(仲春預思不如歸)

태화당 2019. 8. 2. 09:29

중춘예사불여귀(仲春預思不如歸)

) --> 

봉만춘색유미청(峰巒春色猶未靑)

수타정화이형향(數朶庭花已馨香)

추창춘지화개동(惆悵春至花開同)

일도이인무회성(一度離人無回聲)

화락포지삼월리(花落鋪地三月裏)

자규제득혈류시(子規啼得血流時)

일침명월통춘소(一枕明月通春宵)

문래사거불여귀(聞來思去不如歸)


산봉우리의 춘색은 아직 푸르지 않은데

몇 떨기 정화(庭花)는 이미 향기를 뿜는구나

슬프다 봄이 이르매 꽃 핌은 한가지건만

한 번 떠난 사람은 돌아온다는 소리가 없구려.

꽃 떨어져 땅에 깔리는 삼월 속에

자규가 울어 피 흘림을 얻는 때에

한 베개 밝은 달에 봄날 밤을 지새우며

불여귀(不如歸)를 들어 오고 생각해 가리라.

) --> 

   제목 해석 중춘에 미리 불여귀(不如歸)를 생각함. 아직 소쩍새가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한 말. 불여귀는 소쩍새의 다른 이름이니 그 울음을 형용하여 붙여진 이름.

  1~7행 만()은 산봉우리 만. ()는 오히려 유. 아직 유. ()는 떨기 타. ()은 향기 멀리 퍼질 형. ()는 슬플 추. ()은 슬플 창. ()는 차례 도. ()와 같은 뜻. ()는 펼 포. ()는 속 리. 자규(子規)는 소쩍새. ()는 울 제. ()는 밤 소.

   8행 청산이 한없이 좋으나 오히려 돌아감만 같지 못하다고 말하는구나 (靑山無限好 猶道不如歸) [禪門拈頌卷四 一百十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