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서(靑鼠)
) -->
인대백로호도숙(人待白露胡桃熟)
서불상간숙미숙(鼠不相干熟未熟)
담후교거우래탐(啖後咬去又來眈)
불고인정무유락(不顧人情無遺落)
인노격추살무수(人怒擊墜殺無數)
서유생식대악독(鼠唯生殖對惡毒)
사가청서일이원(乍可靑鼠一二願)
난감인간무진욕(難堪人間無盡慾)
) -->
사람은 백로(白露)의 호두 익을 때를 기다리건만
청설모는 익었거나 안 익었거나 상간하지 않네
까먹은 후에 물고 가곤 또 와서 노리나니
인정을 돌아보지 않고 남기거나 떨어뜨림이 없구나.
사람이 성내 격추하여 무수히 죽이지만
청설모는 오직 생식(生殖)으로써 악독함에 대적(對敵)하도다
차라리 청설모의 한 두 소원이야 옳거니와
인간의 다함 없는 욕심은 감내하기 어렵도다.
) -->
제목 청서(靑鼠)는 다람쥐과의 동물. 날다람쥐와는 다름. 일명 청설모.
1~8행 호도(胡桃)는 호두. 호두는 백로전후(白露前後)로 수확함. 담(啖)은 먹을 담. 탐(眈)은 노릴 탐. 유(遺)는 남길 유. 잃어버릴 유. 추(墜)는 떨어질 추. 생식(生殖)은 종족을 불려 퍼뜨리는 것. 사(乍)는 차라리 사. 한 두 소원이란 먹는 일과 생식하는 일. 감(堪)은 견딜 감.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경유하사(竟有何事)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이화(二花)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호천(壺天)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양경(兩鏡)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엄이(掩耳)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