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泰華堂)
) -->
태화산하태화당(泰華山下泰華堂)
사벽유호무차란(四壁有戶無遮闌)
설월풍화이목객(雪月風花耳目客)
요주향묵비구반(醪酒香墨鼻口伴)
송수시서이전뇌(送受詩書以電腦)
전뇌즉시당중당(電腦卽是堂中堂)
당주불호인내왕(堂主不好人來往)
도두불사대매상(到頭不似大梅常)
일좌곡록기탁신(一座曲錄寄託身)
각억유마활방장(却憶維摩闊方丈)
상비백탕갈음다(常備白湯渴飮茶)
끽다조주장불망(喫茶趙州長不忘)
불개초지입성상(不改初志卄星霜)
나유이심간여생(那有異心間餘生)
망자불회회불망(忙者不會會不忘)
망지무망회망망(忙至無忙會忘忙)
) -->
태화산 아래의 태화당이여
사벽(四壁)에 지게문이 있어 가리거나 막힘이 없나니
눈 달 바람 꽃은 귀와 눈의 손님이요
막걸리와 향기로운 먹은 코와 입의 벗이로다.
컴퓨터로 시와 서간(書簡)을 보내고 받으니
컴퓨터가 곧 이 당(堂) 가운데의 당(堂)이며
당주(堂主)가 사람들의 내왕(來往)을 좋아하지 않지만
마침내 대매산(大梅山)의 법상(法常)과는 같지 않더라.
일좌(一座)의 곡록(曲錄)에 몸을 기탁하면서
도리어 유마(維摩)의 넓은 방장(方丈)을 추억하고
항상 백탕(白湯)을 준비해 목마르면 차를 마시면서
차 마시러 가라고 한 조주(趙州)를 늘 잊지 않노라.
초지(初志)를 바꾸지 않은 지 이십 성상(星霜)이거늘
어찌 다른 마음이 여생(餘生)에 섞임이 있으랴
바쁜 자는 알지 못하고 알면 바쁘지 않나니
바쁨이 바쁨 없음에 이르러야 바쁨을 잊을 줄 아느니라.
) -->
제목 태화당(泰華堂)은 내가 사는 집 이름.
1~4행 차(遮)는 가릴 차. 란(闌)은 막을 란. 료(醪)는 막걸리 료.
5~8행 전뇌(電腦)는 컴퓨터. 이(以)는 써 이. 왕(往)은 갈 왕. 도두(到頭)는 드디어, 마침내의 뜻. 대매법상(大梅法常. 마조의 法嗣)의 게에 이르되 최잔(摧殘)한 고목이 한림(寒林)에 기댄 듯하여/ 몇 번이나 봄을 만났으나 변심하지 않았네/ 나무꾼이 이를 만나도 오히려 돌아보지 않거늘/ 영인(郢人)이 어찌 애써 추심(追尋)함을 얻는가./ 일지(一池)의 하엽(荷葉)은 옷으로서 다함이 없고/ 몇 그루의 송화(松花)는 식량으로서 남음이 있도다/ 단지 세인이 주처(住處)를 알게 됨을 입어/ 또 띠집을 옮겨 깊이 들어가 거주할까 하노라 (摧殘枯木倚寒林 幾度逢春不變心 樵客遇之猶不顧 郢人那得苦追尋 一池荷葉衣無盡 數樹松花食有餘 剛被世人知住處 又移茅舍入深居) [五燈全書卷五 大梅章] 했는데 나의 생활이 그 정도로 고상(高尙)하지는 않다는 뜻.
9~12행 좌(座)는 양사(量詞). 곡록(曲錄)은 곡록(曲祿) 곡록(曲彔)으로도 표기하나니 등받이가 휜 의자. 기(寄)는 맡길 기. 탁(託)은 맡길 탁. 각(却)은 도리어 각. 유마거사의 방이 사방 열 자였는데 방장(方丈)이란 말은 여기에서 유래함. 장(丈)은 열 자 장. 유마거사의 방장에 삼만이천사자좌(三萬二千師子座)를 수용했다는 말이 유마경부사의품(維摩經不思議品)에 나옴. 활(闊)은 넓을 활. 백탕(白湯)은 끓인 맹물. 갈(渴)은 목마를 갈. 신도승(新到僧. 처음 온 중)에게 스님(趙州니 南泉의 法嗣)이 묻되 일찍이 이곳에 이르렀는가. 일찍이 이르렀습니다. 차 마시러 가게(喫茶去). 또 중에게 물으매 중이 가로되 일찍이 이르지 않았습니다. 차 마시러 가게. 뒤에 원주(院主)가 물어 가로되 무엇 때문에 일찍이 이르렀다고 해도 차 마시러 가게 라고 말씀하시고 일찍이 이르지 않았다고 해도 차 마시러 가게 라고 말씀하셨습니까. 스님이 원주를 부르매 원주가 대답하자 스님이 가로되 차 마시러 가게 [五燈會元卷四 趙州章]. 장(長)은 늘 장.
13~16행 입(卄)은 스물 입. 성(星)은 세월 성. 상(霜)은 세월 상. 간(間)은 섞일 간. 회(會)는 알 회. 해(解)와 같은 뜻.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효와(誵訛) (0) | 2019.08.03 |
---|---|
태근(太近)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태분명(太分明)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실오(實悟) (0) | 2019.08.02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실참(實參)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