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월(畵月)
) -->
약불투득뢰일관(若不透得牢一關)
미면옹리척강하(未免瓮裏陟降蝦)
고금다소참학인(古今多少參學人)
화월인소지월다(畵月人少指月多)
) -->
만약 견고한 한 관문을 투득(透得)하지 못하면
독 속에 오르내리는 두꺼비를 면하지 못하나니
고금의 다소의 참학인(參學人)에
달을 그리는 사람은 적고 달을 가리키는 이는 많더라.
) -->
제목 해석 달을 그리다.
1행 말후(末後)의 일구(一句)라야 비로소 견고한 관문에 도달하나니 요진(要津. 要衝地)을 잡아 끊어 범성(凡聖)이 통하지 못하느니라 (末後一句 始到牢關 把斷要津 不通凡聖) [聯燈會要卷二十三 洛浦章 洛浦元安語]. 투(透)는 뚫을 투. 득(得)은 어조사. 뢰(牢)는 견고할 뢰. 관(關)은 빗장 관.
2~4행 옹(瓮)은 독 옹. 척(陟)은 오를 척. 강(降)은 내릴 강. 하(蝦)는 두꺼비 하. 새우 하. 흔히 영산(靈山)에선 달을 말했고 조계(曹溪)에선 달을 가리켰다 (靈山話月 曹溪指月) 라고 말하나 영산(靈山)에선 달을 가리킴과 같고 조계(曹溪)에선 달을 그림과 같다 (靈山如指月 曹溪如畵月) [法昌倚遇錄 法昌語] 란 말도 있음.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고락쌍쌍(苦樂雙雙) (0) | 2019.08.03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칭(秤)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여장부(女丈夫)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면불월면불(日面佛月面佛)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기우(杞憂)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