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似)
) -->
유가유무가무(有假有無假無)
주어무주시진주(住於無住是眞住)
요료견무일물(了了見無一物)
금일중추사중추(今日中秋似中秋)
) -->
유(有)가 거짓 유(有)요 무(無)가 거짓 무(無)니
머묾 없음에 머물어야 이 참 머묾이로다
또렷또렷이 보지만 한 물건도 없나니
오늘이 중추(中秋)라 중추 같구나.
) -->
1행 장사(長沙. 景岑이니 南泉의 法嗣)가 중이 묻되 깨친 즉 업장이 본래 공(空)이지만 깨치지 못하면 도리어 반드시 묵은 빚을 갚아야 한다 (了卽業障本來空 未了還須償宿債) (以上二句는 永嘉證道歌에 있는 말)하니 지여(祇如. 如는 例擧를 표시) 이조(二祖)는 이 깨쳤습니까 깨치지 못했습니까(二祖는 피살당했으므로 한 말)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공(空)이니라 [禪門拈頌卷十三 四百九十八則]. 가유(假有)는 원래 유(有)가 아니며/ 가멸(假滅)도 또한 무(無)가 아니로다/ 열반과 상채(償債. 빚을 갚음)의 뜻도/ 일성(一性)이라서 본래 다름이 없도다 (假有元非有 假滅亦非無 涅槃償債意 一性本無殊) [拈頌說話卷十三 了則 長沙景岑偈].
4행 중추(中秋)는 한가위. 추석. 중추(仲秋)는 음력 8월임.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하(諕) (0) | 2019.08.03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가(訶)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몽교일여(夢覺一如)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금기(禁忌) (0) | 2019.08.03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앵무(鸚鵡)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