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청몽(請夢)

태화당 2019. 8. 3. 08:52

청몽(請夢)

) --> 

왕년의기충(往年意氣充)

통야전사경(通夜轉寫經)

요도공야장(潦倒恐夜長)

지위몽난성(只爲夢難成)

서색미분서(曙色未分瑞)

영화개전영(英華開前嬴)

막위교몽후(莫謂覺夢後)

호어대몽경(好於大夢景)

) --> 

왕년(往年)엔 의기가 충만(充滿)하여

밤새워 전경사경(轉經寫經)했는데

요도(潦倒)엔 밤이 긴 것이 두렵나니

단지 꿈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이로다.

서색(曙色)이 나누어지지 아니하매 상서롭고

영화(英華)가 피기 전에 아름답나니

꿈을 깬 후가

대몽경(大夢景)보다 아름답다고 이르지 말아라.

) --> 

   제목 해석 꿈을 청하다.

   1~2행 충()은 가득할 충. 통야(通夜)는 밤을 새움. 밤새도록.

   3~4행 료()는 헛늙을 료. 요도(潦倒)는 노쇠(老衰)하여 아무 것도 못하게 생긴 모양. ()는 때문 위. 밤은 긴데 잠을 이루지 못함이 두렵다는 뜻.

   5~6행 영화(英華)는 꽃. ()은 아름다울 영.

   7~8행 차라리 가히 영겁(永劫)토록 침륜(沈淪)할지언정 제성(諸聖)의 해탈(解脫)을 구하지 않겠노라 (寧可永劫沈淪 不求諸聖解脫) [碧巖錄卷十 九十六則]. ()는 꿈 깰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