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수년전(隨年錢)

태화당 2019. 8. 4. 11:20

수년전(隨年錢)

) --> 

행친중승수년전(行䞋衆僧隨年錢)

무인타산성승년(無人打算聖僧年)

천상지하무미륵(天上地下無彌勒)

수여안명세간전 (誰與安名世間傳)

) --> 

중승(衆僧)에게 수년전(隨年錢)의 보시를 행하는데

성승(聖僧)의 나이를 타산(打算)하는 사람이 없도다

천상과 지하에 미륵(彌勒)이 없거늘

누가 안명(安名)해 주어 세간에 전하는가.

) --> 

   제목 해석 나이에 따라 차등(差等)해 보시하는 돈.

   1~2행 어떤 시주(施主)가 입원(入院. 寺院에 들어옴)해 중승(衆僧)에게 수년전(隨年錢)을 행하는데 지사승(知事僧)이 가로되 성승(聖僧. 중국의 禪林에서 僧堂의 중앙에 안치한 聖僧像. 그러나 그 상이 일정치 않으니 文殊菩薩像 憍陳如像 賓頭盧像 大迦葉像 須菩提像 등을 안치함. 食堂에는 賓頭盧尊者像을 안치)의 앞에도 한푼을 놓으십시오. 시주가 가로되 성승의 나이가 얼마입니까. 지사(知事)가 대꾸가 없었다 [宗門拈古彙集卷七]. ()은 범어(梵語) 달친(達䞋. 達嚫이라고도 함)의 준말이니 보시(布施)의 뜻.

   3~4행 스님(雲居道膺이니 洞山良价法嗣), 남천(南泉. 普願이니 馬祖法嗣)이 중에게 묻되 무슨 경을 강()하는가 가로되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입니다 남천이 가로되 미륵이 어느 때에 하생(下生)하시는가 가로되 현재 천궁(天宮)에 계시고 당래(當來)에 하생하십니다 남천이 가로되 천상에 미륵이 없고 지하에 미륵이 없느니라 한 것을 들고는 스님(雲居)이 동산(洞山)에게 묻되 천상에 미륵이 없고 지하에 미륵이 없다면 미심(未審)하외다 누가 안명(安名. 이름을 두는 것)해 주었습니까 [五燈全書卷二十六 雲居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