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공(無功)

태화당 2019. 8. 5. 16:16

무공(無功)

) --> 

막향성전구후멱(莫向聲前句後覓)

거무처소무종적(渠無處所無踪跡)

득처단능망소친(得處但能忘疎親)

용시전불비공력(用時全不費功力)

) --> 

소리 앞과 구절 뒤를 향해 찾지 말지니

그는 처소가 없고 종적도 없도다

얻는 곳이 단지 능히 소친(疎親)을 잊는다면

쓸 때에 온전히 공력(功力)을 허비치 않느니라.

) --> 

   1~2행 거()는 그(三人稱) 거니 여기에선 법신(法身)을 가리킴.

   3~4행 얻는 곳이 단지 능히 계교(計較)를 잊는다면 쓸 때에 온전히 공부를 허비치 않는다 (得處但能忘計較 用時全不費功夫) [空谷集卷四 五十九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