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修)
) -->
미도무심수요궁(未到無心須要窮)
궁도무심무야망(窮到無心無也忘)
막위수여불수시(莫謂修如不修時)
답설고래주배향(踏雪沽來酒倍香)
) -->
무심에 이르지 않았거든 모름지기 궁구(窮究)함을 요하나니
궁구해 무심에 이르면 무(無)도 또한 잊어야 하느니라
수행함이 수행하지 않을 때와 같다고 이르지 말지니
눈을 밟고 사온 술은 갑절로 향기롭느니라.
) -->
1~2행 무심에 이르지 않았다면 모름지기 궁구(窮究)함을 요하거니와 무심에 이름에 미쳤다면 무(無)도 또한 쉬어야 하느니라 (未到無心須要窮 及到無心無也休) [空谷集卷三 三十四則].
4행 배에 나아가 매득(買得)한 물고기는 특별히 맛이 있고 눈을 밟고 사온 술은 갑절로 향기롭다 (就船買得魚偏美 踏雪沽來酒倍香. 偏은 副詞로서 특별의 뜻. 美는 맛날 미) [空谷集卷四 五十二則]. 고(沽)는 살 고. 팔 고.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산거(山居) (0) | 2019.08.05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경(眞經)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공(無功)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탄지(彈指)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요원(遙遠) (0) | 2019.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