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보살(大悲菩薩)
) -->
주유황앵야두견(晝有黃鶯夜杜鵑)
일성성대일비원(一聲聲帶一悲願)
보타암아무보살(寶陀巖阿無菩薩)
득도안락불용전(得到安樂不用錢)
낮에는 누런 꾀꼬리가 있고 밤에는 두견새니
한 소리 소리마다 한 비원(悲願)을 띠었네
보타산(寶陀山) 바위 언덕에 보살이 없나니
안락에 이름을 얻는데 돈이 들지 않도다.
) -->
제목 해석 관음보살을 말함. 대비(大悲)는 모든 불보살에 통하나 관음보살이 자비문(慈悲門)의 주(主)가 되기 때문임.
2행 대(帶)는 띨 대. 비원(悲願)은 불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려는 대자비심으로 세운 서원(誓願).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사십팔원(四十八願), 약사여래(藥師如來)의 십이원(十二願) 같은 것 등.
3행 보타(寶陀)는 보타락가(寶陀落伽. 또는 寶陀洛伽)의 준말이니 번역하여 광명(光明), 해도(海島), 소화수(小花樹)니 인도의 남단에 있는 관음보살의 주처(住處)인 팔각형의 산 이름. 또 중국의 절강성(浙江省) 주산열도(舟山列島)의 한 섬에 있는 관음보살의 영지(靈地). 우리나라에는 강원도 낙산(江原道 洛山),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江華郡 三山面 煤音里)라고 함. 아(阿)는 언덕 아.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친교(親交) (0) | 2019.08.06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불란(不亂)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리(鸝)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연자(燕子)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양종병(兩種病)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