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독존(唯我獨尊)
) -->
인약오심득보장(人若悟心得寶藏)
취지불갈용무한(取之不竭用無限)
태산미고창해미심(泰山未高滄海未深)
허공불구우주불관(虛空不久宇宙不寬)
출두천외간(出頭天外看)
하처갱유아반한(何處更有我般漢)
) -->
사람이 만약 마음을 깨쳐 보장(寶藏)을 얻으면
그것을 취하매 다하지 않고 쓰매 무한하나니
태산이 높지 않고 창해가 깊지 않으며
허공이 장구(長久)하지 않고 우주가 넓지 않도다.
하늘 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보아라
어느 곳에 다시 나와 같은 놈이 있으랴.
) -->
제목 해석 오직 내가 홀로 존귀(尊貴)하다.
1~4행 장(藏)은 곳집 장. 광 장. 보장(寶藏)은 보배 곳집. 갈(竭)은 다할 갈. 마를 갈. 관(寬)은 너그러울 관. 넓을 관.
5~6행 하늘 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보아라 누가 이 나와 같은 사람인가 (出頭天外看 誰是我般人) [五燈全書卷五十三 徑山行端章 行端語].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선미(眞善美) (0) | 2019.08.07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감(無憾)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도솔삼관(兜率三關)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할(一喝)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향적세계(香積世界)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