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一喝)
) -->
박학상설반위약(博學詳說反爲約)
수지일할의무진(誰知一喝意無盡)
상지부재천배주(相知不在千杯酒)
일잔청다야취인(一盞淸茶也醉人)
) -->
널리 배우고 상세히 설함은 도리어 간약(簡約)을 위함이니
누가 일할(一喝)의 뜻이 다함 없는 줄 아는가
서로 아는 데는 천배(千杯)의 술에 있지 않나니
한 잔의 청다(淸茶)가 또한 사람을 취하게 하느니라.
) -->
1행 널리 배워 그것을 상세히 설함은 장차 돌이켜 간약(簡約)을 설하려 하기 때문이니라 (博學而詳說之 將以反說約也) [孟子卷之七 離婁章句]. 약(約)은 간략(簡略) 약.
3~4행은 염팔방주옥집권중(拈八方珠玉集卷中)에 나오는 말.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유아독존(唯我獨尊) (0) | 2019.08.06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도솔삼관(兜率三關)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향적세계(香積世界)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상사구(相似句) (0) | 2019.08.06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문예(蚊蚋)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