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청세종(淸世宗)

태화당 2019. 8. 7. 08:19

청세종(淸世宗)

 

구오위상무염족(九五位上無厭足)

박학군서참향상(博學群書參向上)

자선선록반천하(自選禪錄頒天下)

불시범왕시법왕(不是凡王是法王)

서축동토법왕다(西竺東土法王多)

수감정안사원명(誰敢正眼似圓明)

왕왕(王王)

선자수신천하평(先自修身天下平)

 

구오(九五)의 자리 위에 염족(厭足)하지 않고

군서(群書)를 널리 배우고 향상사(向上事)를 참구(參究)

스스로 선록(禪錄)을 선집(選集)해 천하에 반포(頒布)하니

이 범왕(凡王)이 아니라 이 법왕(法王)이로다.

서축(西竺)과 동토(東土)에 법왕이 많지만

누가 감히 정안(正眼)이 원명(圓明)과 같으랴

왕이여 왕이여

먼저 스스로 수신(修身)해야 천하가 태평하니라.

 

제목 옹친왕원명거사(雍親王圓明居士) 청세종(淸世宗)은 간마변이록(揀魔辨異錄) 팔권(八卷)을 저술(著述)하고 어선어록(御選語錄) 십구권(十九卷)을 선집(選集)해 천하에 반포했는데 그 분량이 방대(尨大. 방은 클 방. 삽살개 방).

1~7행 구오(九五)1 역괘(易卦)의 육효(六爻) 중 밑에서부터 다섯 번째의 양효(陽爻)의 이름. 2 임금의 자리니 구오(九五)의 효()는 임금의 자리에 해당하는 상(). () 건괘(乾卦) 구오(九五)의 효사(爻辭)에 이르되 비룡재천 이견대인(飛龍在天 利見大人). ()은 싫어할 염. 만족할 염. 염족(厭足)은 만족(滿足)과 같은 뜻. ()는 없을 무. 아닐 무. 종승(宗乘)은 각 종파(宗派)에서 세우는 종지(宗旨)와 교전(敎典). 흔히 선문(禪門)에서 자기 종()을 표시하여 일컫는 말. ()은 반포(頒布. 布也賜也)할 반. 법왕(法王)1 부처님의 다른 이름. 2 염라대왕의 다른 이름. 3 불법을 숭상(崇尙)하고 옹호(擁護)하는 국왕. 서축(西竺)은 서쪽 천축국. 동토(東土)는 동쪽의 국토.

8행 옛의 명덕(明德)을 천하에 밝히고자() 한 자는 먼저 그 나라를 다스리고() 그 나라를 다스리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집을 정제(整齊. )하고 그 집을 정제코자 한 자는 먼저 그 몸을 닦고() 그 몸을 닦고자 한 자는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자 한 자는 먼저 그 뜻을 정성(精誠. )되게 하고 그 뜻을 정성되게 하고자 한 자는 먼저 그 지()를 치()하나니 치지(致知)는 격물(格物)에 있느니라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 [大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