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

태화당 2019. 8. 7. 08:19

조주종심선사(趙州從諗禪師)

) --> 

견대왕래불하상(見大王來不下床)

칠백갑자노고추(七百甲子老古錐)

생평불용방할래(生平不用棒喝來)

지용언구시전기(只用言句示全機)

일자진언의살인(一字眞言疑殺人)

구자불성무야미(狗子佛性無也未)

문외청산청어람(門外靑山靑於藍)

기조녹수화불취(幾條綠水畵不就)

) --> 

대왕이 옴을 보고도 선상(禪床)에서 내려오지 않은

칠백갑자(七百甲子)의 노고추(老古錐)

생평(生平)에 방할(棒喝)을 써 오지 않고

단지 언구(言句)를 써서 전기(全機)를 보였도다.

일자(一字)의 진언(眞言)이 사람을 너무 의심케 하나니

개의 불성이 없느냐 또는 아니냐

문 밖의 청산이 쪽보다 푸른데

몇 가닥 녹수(綠水)는 그림 그림을 이루지 못하도다.

) --> 

2행 갑자(甲子)의 갑()은 십간(十干.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는 십이지(十二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니 갑자(甲子)1 간지(干支)의 총칭. 육갑(六甲). 2 간지(干支)의 제일(第一)로 해의 제일. 월의 제일. 날의 제일. 3 . 나이. 4 연월(年月). 세월. 5 책력(冊曆). 시절(時節). 절후(節候). 칠백갑자(七百甲子)란 대략 일백이십 년을 말함이니 한 해에 갑자일(甲子日)이 여섯 번 있으므로 한 말. 조주의 향년(享年)120세였음. 고추(古錐)는 송곳처럼 기봉(機鋒)이 날카로운 옛 존숙(尊宿)을 가리키는 말.

5행 진언(眞言)은 참된 말. 불타(佛陀)의 말. 주문(呪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