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추(賀秋)
) -->
난초견풍취미장(蘭草牽風翠眉長)
함담착우연지락(菡萏著雨臙脂落)
근화소권계하운(槿花笑卷季夏雲)
노위요나무천맥(蘆葦嫋娜舞阡陌)
) -->
난초가 바람을 당기니 푸른 눈썹이 길어지고
함담(菡萏)이 비를 붙이니 연지가 떨어지더라
무궁화가 웃으며 계하(季夏)의 구름을 걷으니
갈대가 한들거리며 밭둑길에 춤추네.
) -->
제목 해석 가을을 축하함.
1~2행 임화(林花)에 비가 붙으니 연지가 떨어지고 수행(水荇. 荇은 마름풀 행)이 바람을 당기니 취대(翠帶)가 길어졌네 (林花著雨臙脂落 水荇牽風翠帶長) [物初大觀禪師語錄]. 함(菡)은 연봉오리 함. 담(萏)은 연봉오리 담.
3~4행 근(槿)은 무궁화 근. 계(季)는 끝 계. 계하(季夏)는 음력 6월. 늦여름. 로(蘆)는 갈대 로. 위(葦)는 갈대 위. 뇨(嫋)는 한들거릴 뇨. 나(娜)는 한들거릴 나. 아름다울 나. 천(阡)은 밭둑길 천. 맥(陌)은 밭둑 길 맥. 동서(東西)를 맥(陌). 남북(南北)을 천(阡)이라 함.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심사(心師) (0) | 2019.08.07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허허(栩栩)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유래(由來)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법화경(法華經)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화엄경(華嚴經) (0) | 2019.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