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행선(行禪)

태화당 2019. 8. 7. 10:51

행선(行禪)

) --> 

장자장법신(長者長法身)

단자단법신(短者短法身)

곡불대분백(鵠不待粉白)

오불가묵현(烏不假墨玄)

설선자다행선소(說禪者多行禪少)

니남불치반분전(呢喃不直半分錢)

) --> 

긴 자는 긴 대로 법신이요

짧은 자는 짧은 대로 법신이니

고니는 분()을 기다리지 않고도 희며

까마귀는 먹을 빌리지 않아도 검거니와

()을 말하는 자는 많고 선을 행하는 이는 적나니

니남(呢喃)은 반 푼의 돈 가치도 않되느니라.

) --> 

1~2행은 굉지록권이(宏智錄卷二)에 나오는 구절.

3~4행 고니는 분()을 기다린 이후(而後)에 흰 것이 아니며 까마귀는 먹을 빌린 이후에 검은 게 아니니라 (鵠不待粉而後白 烏不假墨而後玄) [環溪惟一禪師語錄卷下. 惟一竺元妙道法嗣. 密庵咸傑下五世]. ()은 고니 곡. ()은 분가루를 가리킴. ()은 검을 현.

5~6행 니()는 제비 지저귈 니. ()은 재잘거릴 남. 제비 소리 남. 니남(呢喃)은 재잘거리는 소리. 제비 소리. ()는 값 치. ()와 통함. ()은 한푼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