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주(莫住)
) -->
상견이득호(相見易得好)
공주난위인(共住難爲人)
약주부득주(約住不得住)
주빈상안인(主賓相安忍)
화개엽락신(花開葉落新)
오비토주연(烏飛兎走姸)
막위공상주(莫謂空常住)
유여뢰천천(流如瀨淺淺)
) -->
서로 만나서는 좋음을 얻기 쉽지만
함께 머물면 사람을 위하기 어렵도다
잡아 머물게 하더라도 머묾을 얻지 말아야
주빈(主賓)이 서로 안인(安忍)하도다.
꽃 피고 잎 져야 새롭고
까마귀 날고 토끼 달려야 예쁘나니
허공은 상주(常主)한다고 말하지 말아라
유전(流轉)하기가 물결이 천천(淺淺)함과 같도다.
) -->
1~2행은 석전법훈선사어록권삼(石田法薰禪師語錄卷三. 法薰은 臥龍祖 先의 法嗣. 密庵咸傑下二世)에 나오는 구절. 약(約)은 저지(沮止)할 약.
5~8행 까마귀는 해. 토끼는 달. 연(姸)은 예쁠 연. 뢰(瀨)는 물결 뢰. 천(淺)은 천(濺. 쏟아져 흐를 천)과 통함. 천천(淺淺)은 물이 빠르게 흐르는 모양.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선자덕성선사(船子德誠禪師) (0) | 2019.08.07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형(螢)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지미(知味)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세소편의(世少便宜) (0) | 2019.08.07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법기(法器) (0) | 2019.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