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아아(呀呀)

태화당 2019. 8. 8. 09:55

아아(呀呀)

) --> 

라집역본금강경(羅什譯本金剛經)

육역본중최단아(六譯本中最端雅)

후인파심행첨삭(後人婆心行添削)

나개정본지아아(那箇正本只呀呀)

근래한국지송용(近來韓國持誦用)

첨자수십요감과(添字數十要勘過)

일견폐형백견성(一犬吠形百犬聲)

자경삼사오성마(字經三寫烏成馬)

) --> 

라집(羅什)의 역본(譯本) 금강경은

육역본(六譯本) 가운데 가장 단아(端雅)하도다

후인(後人)이 노파심(老婆心)으로 첨삭(添削)을 행하니

어느 것이 정본(正本)인지 다만 아아(呀呀)로다.

근래 한국의 수지독송용(受持讀誦用)

첨자(添字)가 수십(數十)이니 감과(勘過)를 요하노라

한 개가 짖을 형상이면 온갖 개가 소리 짖고

글자를 세 번 베낌을 겪으면 오()가 마()로 이루어지도다.


제목 아()는 입 딱 벌릴 하. 그러나 아로 발음함이 보통임. 아아(呀呀)는 입을 벌리는 모양. 맹수가 입을 벌리고 이빨을 드러내는 모양. 웃음소리.

1~4행 라집(羅什)은 구마라집(鳩摩羅什). 육역본(六譯本)은 위(金剛經)에 설명이 있음.

5~8행 한 개가 짖을 형상을 하면 온갖 개가 소리를 짖는다 (一犬吠形 百犬吠聲). 글자를 세 번 베낌을 겪으면 오()와 언()이 마()로 이루어진다 (字經三寫 烏焉成馬) [密菴咸傑錄]. ()은 지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