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타심통(他心通)

태화당 2019. 8. 8. 11:08

타심통(他心通)

) --> 

대이삼장타심통(大耳三藏他心通)

간롱호손간경도(看弄猢孫看競渡)

막도재비재안정(莫道在鼻在眼睛)

자타불격일사호(自他不隔一絲毫)

) --> 

대이삼장(大耳三藏)의 타심통이여

원숭이의 희롱을 보고 배 경주(競走)를 보도다

코에 있다거나 눈동자에 있다고 말하지 말아라

자타가 한 실터럭만큼도 막히지 않았도다.

) --> 

1~2행 서역대이삼장(西域大耳三藏)이 경사(京師)에 이르렀다. 스스로 이르기를 타심혜안(他心慧眼)을 얻었다 하므로 황제(唐代宗)가 광택사(光宅寺)에 들게 해 국사혜충(國師慧忠)을 청하여 시험케 했다. 혜충이 묻되 네가 타심통(他心通)을 얻었느냐. 대답해 가로되 불감(不敢. 謙辭니 그렇다는 말)입니다. 혜충이 가로되 네가 말해라, 노승(老僧)이 즉금(卽今) 어느 곳에 있느냐. 삼장(三藏)이 이르되 화상(和上. 和尙과 같은 말)은 이 일국지사(一國之師)시거늘 어찌하여 천진교(天津橋)로 가서 원숭이의 희롱 보심을 얻습니까. 또 묻되 노승이 즉금 어느 곳에 있느냐. 삼장이 가로되 화상(和上)은 이 일국지사(一國之師)시거늘 어찌하여 서천(西川)으로 가서 배 경주(競渡) 봄을 얻습니까. 혜충이 세 번째에 묻는 말도 또한 앞과 같았는데 삼장이 양구(良久)하며 거처(去處)를 알지 못했다. 혜충이 꾸짖으며 가로되 이 야호정(野狐精), 타심통이 어느 곳에 있느냐. 삼장이 대꾸가 없었다 [佛祖歷代通載卷十八]. ()는 원숭이 호. 호손(猢孫)은 원숭이. 정자(正字)가 호손(猢猻). 호손(胡孫)으로 표기하기도 함. ()는 건널 도. 나루 도.

3행 중이 묻되 세 번째엔 국사를 보지 못했는데 미심(未審)하외다 국사가 어느 곳에 있습니까. 조주(趙州)가 이르되 삼장의 콧구멍 속에 있느니라 [宗鑑法林卷七]. 백운단(白雲端)이 이르되 국사가 삼장의 콧구멍 속에 있다면 무슨 보기 어려움이 있으리오, 너무 알지 못하나니 국사가 삼장의 눈동자 속에 있느니라 [宗鑑法林卷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