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제일의(第一義)

태화당 2019. 8. 10. 08:27

제일의(第一義)

) --> 

조언급세어(粗言及細語)

개귀제일의(皆歸第一義)

호니일두려(呼你一頭驢)

옥수불추미(阿誰不皺眉)

) --> 

조언(粗言) 및 세어(細語)

다 제일의(第一義)로 돌아가도다

너를 한 마리의 나귀라고 부르매

누가 눈썹을 찌푸리지 않을까.

) --> 

제목 해석 구경(究竟)의 진리를 말함. 이것이 최상이기 때문에 제일(第一)이라 하고 깊은 이치가 있기 때문에 의()라 함.

1~4행 묻되 조언(粗言) 및 세어(細語)가 다 제일의(第一義)로 돌아간다 하니 그렇습니까. 스님(投子大同이니 翠微無學法嗣. 靑原下四世)이 가로되 그러하니라. 가로되 화상을 한 마리의 나귀라고 불러 지어도 옳겠습니까 (喚和尙作頭驢得麽. , 適當의 뜻). 스님이 곧 때렸다 [指月錄卷十五 投子章]. ()는 거칠을 조. ()는 찌푸릴 추. 주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