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0쪽

태화당 2019. 5. 7. 10:39

咬牙囓齒發狠心 亦形容非常痛恨 西巖了慧語錄下 悼滅翁 咬牙囓齒罵松源 四海五湖洪浪奔 天目山雲梁渚月 就中嘲謗不成冤

교아설치(咬牙囓齒) 사나운 마음을 냄이며 또 비상한 통한을 형용함. 서암요혜어록하. 멸옹을 애도하다. 교아설치(咬牙囓齒)하며 송원을 욕하였고/ 사해와 오호에 큰 물결이 달렸다/ 천목산의 구름과 양저(梁渚)의 달이여/ 그 중의 조방(嘲謗)은 원한을 이루지 않는다.

) --> 

巧安止觀天台宗十種觀法(十乘觀法)之一 又稱善巧安心止觀 使心安住於眞實之本性 宗鏡錄二十三 十種觀法者 (中略)三巧安止觀

교안지관(巧安止觀) 천태종 십종관법(十種觀法; 십승관법)의 하나. 또 명칭이 선교안심지관이니 마음으로 하여금 진실한 본성에 안주하게 함임. 종경록23. 십종관법이란 것은 (중략) 3. 교안지관.

) --> 

驕陽指酷烈的陽光 雜毒海七 滿頭帶得湖山雪 幾度驕陽曬不消

교양(驕陽) 혹렬한 햇빛을 가리킴. 잡독해7. 머리에 가득히 호산(湖山)의 눈을 가졌나니 몇 차례나 교양(驕陽)에 말렸지만 녹지 않는다.

) --> 

交言猶交談 祖堂集八曹山 非其道友 無得交言

교언(交言) 교담(이야기를 교환함)과 같음. 조당집8 조산. 그 도우가 아니면 교언(交言)함을 얻지 못하다.


巧言令色令 猶善也 言乃心之聲 出於口 當出而出 色 心之發 見於面 當見而見 則天理存於內矣 或出諸於外 巧言如簧 甘言若醴 象恭其容 色莊其貌 務以悅人之聽觀 而本心之德全忘矣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一 豈容巧言令色 便僻諂媚而充選者哉

교언령색(巧言令色) ()은 선()과 같음. ()은 곧 마음의 소리가 입에서 나옴이니 나옴을 당해서 나오며 색()은 마음에서 나와 얼굴에 나타남이니 나타남을 당해서 나타남. 곧 천리(天理)는 안에 존재하면서 혹 밖으로 나옴. 교언은 황(; 서 황)과 같고 감언은 단술과 같음. 그 얼굴은 상공(象恭; 공경하는 체함)하고 그 모습은 색장(色莊; 엄숙한 빛을 띰)하면서 타인의 청관(聽觀)을 기쁘게 함에 힘쓴다면 본심의 덕은 전부 망각하였음 [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1. 어찌 교언영색(巧言令色)과 편벽첨미(便僻諂媚)를 용납해 충선(充選; 선출해 임용함의 뜻)하겠는가.


皦如淸晰貌 分明貌 論語八佾 樂其可知也 始作翕如也 從之純如也 皦如也 繹如也以成 宗門拈古彚集三十七 始作翕如也 縱之純如也 皦如也 繹如也以成

교여(皦如) 청석(淸晰; 매우 淸楚)한 모양. 분명한 모양. 논어 팔일. 주악(奏樂)은 그것을 가히 알아야 하나니 시작은 합하는 듯하고 이를 놓으면서 순한 듯하고 교여(皦如)하고 이어지는 듯하면서 이루어진다. 종문염고휘집37. 시작은 흡여(翕如)하고 이를 놓으면서 순여(純如)하고 교여(皦如)하고 역여(繹如)하면서 이루어진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