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4쪽

태화당 2019. 5. 7. 10:41

敎一法華四一之一 見四一 宗鏡錄二十七 法華三昧者 卽是四一 理一 敎一 行一 人一

교일(敎一) 법화 사일의 하나. 사일(四一)을 보라. 종경록27. 법화삼매란 것은 곧 이 사일(四一)이니 이일ㆍ교일(敎一)ㆍ행일ㆍ인일이다.

) --> 

敎一節差一截 相差一段 意指尙未契合禪旨 祖堂集十長慶 因僧擧 雲喦補草鞋次 藥山問 作什摩 喦對云 將敗壞補敗壞 藥山不肯云 卽敗壞非敗壞 師云 藥山與摩道 猶敎一節在 僧問 和尙如何 師云 汝猶敎一節在

교일절(敎一節) 일절이 어긋남. 서로의 차이가 1()이니 뜻은 오히려 선지에 계합하지 못함을 가리킴. 조당집10 장경. 중이 거하되 운암이 짚신을 보수하던 차에 약산이 묻되 무엇 하느냐 운암이 대답해 이르되 패괴(敗壞)를 가지고 패괴를 보수합니다 약산이 긍정하지 않고 이르되 곧 패괴가 패괴가 아니다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약산이 이러히 말함은 오히려 교일절(敎一節)하였다. 중이 묻되 화상은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너도 오히려 교일절했다.


窖子窖穴 子 後綴 五燈全書五十三荊叟如珏 頌曰 如何是佛爛東瓜 齩著氷霜透齒牙 根蔕雖然無窖子 一年一度一開花

교자(窖子) 교혈(窖穴; 땅굴. 땅광. )이니 자는 후철. 오등전서53 형수여각. 송해 가로되 무엇이 이 부처냐, 문드러진 동과니/ 깨물면 빙상(氷霜)이 치아를 투과한다/ 뿌리와 꼭지에 비록 그렇게 교자(窖子)가 없지만/ 1년에 한 차례 한 번 개화한다.

) --> 

咬嚼比喩精心琢磨 反復玩味 五燈會元五石霜慶諸 汝等諸人自有本分事 不用馳求 無你是非處 無你齩嚼處

교작(咬嚼) 정성스런 마음으로 탁마하고 반복하여 완미(玩味)함에 비유. 오등회원5 석상경제. 너희 등 제인은 스스로 본분사가 있으니 치구(馳求)함을 쓰지 말아라. 너희가 시비할 곳이 없고 너희가 교작(齩嚼)할 곳이 없다.

) --> 

巧匠施工不露斤斧技術高明的工匠 運用斤斧而無砍斫的痕迹 五燈會元七大錢從襲 問 閉門造車 出門合轍 如何是閉門造車 師曰 造車卽不問 作麽生是轍 曰 學人不會 乞師指示 師曰 巧匠施工 不露斤斧

교장시공불로근부(巧匠施工不露斤斧) 기술이 고명한 공장(工匠)은 도끼를 운용하면서 자른 흔적이 없음. 오등회원7 대전종습. 묻되 폐문하고 수레를 만들면 출문하매 궤철(軌轍)에 합한다 하니 무엇이 이 폐문하고 수레를 만듦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수레를 만듦은 곧 묻지 않는다, 무엇이 이 궤철인가. 가로되 학인이 알지 못합니다. 스님의 지시를 구걸합니다. 스님이 가로되 교장이 시공하면 도끼가 드러나지 않는다(巧匠施工 不露斤斧).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