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迹】 同敎跡 指敎法之蹤迹 卽聖人布敎 各有歸從 △行事鈔資持記上 聖人出現 爲物垂範 謂之敎跡 ▲臨濟語錄 秖如有祖有佛 皆是敎迹中事 ▲臨濟語錄 道流 無佛可得 乃至三乘五性圓頓敎迹 皆是一期藥病相治 並無實法
교적(敎迹) 교적(敎跡)과 같음. 교법의 종적을 가리킴. 곧 성인이 포교하매 각기 귀종(歸從)함이 있음. △행사초자지기상. 성인이 출현하여 사람을 위해 모범을 드리우나니 이를 일러 교적(敎跡)이라 한다. ▲임제어록. 지여(秖如) 조사가 있고 부처가 있음은 다 이 교적(敎迹) 중의 일이다. ▲임제어록. 도류여, 가히 얻을 부처가 없나니 내지 3승(乘)의 5성과 원돈의 교적(敎迹)이 모두 이 일기(一期)의 약병상치며 모두 실법이 없다.
) -->
【郊廛】 同郊鄽 ▲圓悟語錄二十 以此入郊廛 大奮姜維膽
교전(郊廛) 교전(郊鄽)과 같음. ▲원오어록20. 이로써 교전(郊廛)에 들어 강유(姜維)의 간담을 크게 떨치다.
) -->
【郊鄽】 亦作郊廛 郊野與市廛 統指城內外 ▲五燈會元二福先仁儉 自嵩山罷問 放曠郊鄽 謂之騰騰和尙
교전(郊鄽) 또 교전(郊廛)으로 지음. 교외의 들과 시전(市廛; 시장)이니 합쳐 성의 안팎을 가리킴. ▲오등회원2 복선인검. 숭산에서 물음을 마침으로부터 교전(郊鄽)에 방광(放曠)했는데 그를 일러 등등화상(騰騰和尙)이라 했다.
【敎典】 宗敎上之典籍 經典也 ▲萬善同歸集上 諸佛如來三乘敎典 惟有一味解脫法門
교전(敎典) 종교상의 전적이니 경전임. ▲만선동귀집상. 제불여래의 3승(乘)의 교전(敎典)은 오직 한 맛의 해탈법문만 있다.
) -->
【交點】 彼此相共交接而點檢也 [象器箋十二] ▲敕修淸規四寮主副寮 交點本寮什物 ▲敕修淸規四聖僧侍者 朝夕交點被位 中夜剔燈
교점(交點) 피차 서로 함께 교접하여 점검함임 [상기전12]. ▲칙수청규4 요주부료. 본료의 집물을 교점(交點)한다. ▲칙수청규4 성승시자. 조석으로 피위(被位)를 교점(交點)하고 중야에 등을 돋운다.
) -->
【鉸釘膠粘】 鉸釘打著 膠固粘著 喩指執著言句智解 鉸 金屬裝飾 集韻 鉸 以金飾器 ▲碧巖錄第二則 鉸釘膠粘 堪作何用
교정교점(鉸釘膠粘) 교(鉸)를 못으로 때려 박고 아교로 견고하게 붙임. 언구와 지해에 집착함을 비유로 가리킴. 교(鉸)는 금속의 장식. 집운 교(鉸) 금으로 기물을 장식함이다. ▲벽암록 제2칙. 교정교점(鉸釘膠粘) 하여 가히 어디에 씀을 짓겠는가.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8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7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5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4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83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