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791쪽

태화당 2019. 5. 7. 11:23

狡兔三穴狡猾兔子 掘鑿三穴 以對非常 從容錄第九十九則 棊有別智 酒有別腸 狡兔三穴 猾胥萬倖

교토삼혈(狡兔三穴) 교활한 토끼가 세 굴을 파서 비상에 대비함. 종용록 제99. 바둑에 특별한 지혜가 있고 술에 특별한 창자가 있고 교활한 토끼는 세 굴이고(狡兔三穴) 활서(猾胥)는 만행(萬倖)이다.

) --> 

巧便善巧的方便法門 了菴淸欲語錄九 大慧和尙墨蹟 今妙喜帖中後語勿使天魔知之 又設巧便矣

교편(巧便) 선교한 방편법문. 요암청욕어록9. 대혜화상묵적 여금의 묘희의 첩() 가운데 후어(後語)는 천마(天魔)로 하여금 이를 알지 못하게 했으니 또 교편(巧便)을 시설했음이다.

) --> 

交割更換新舊職務時 新舊執事相互査點公私器物 竝將之分割處理 稱爲交割 百丈淸規三 交割砧基什物 入院後須會兩序勤舊茶 詳細詢問山門事務砧基契書什物 逐一點對交割 計算財穀 簿書分明關防作幣 務在詳審

교할(交割) 신구의 직무를 바꿀 때 신구의 집사가 상호 공사(公私)의 기물을 검사 점검하고 아울러 이를 가지고 분할하고 처리함을 일컬어 교할이라 함. 백장청규3. 교할침기집물(交割砧基什物; 침기의 집물을 교할하다). 입원한 후에 반드시 양서(兩序)의 근구(勤舊)를 모아 차를 마시면서 산문의 사무와 침기의 계서(契書)와 집물을 상세히 묻는다. 축일(逐一; 하나하나 쫓음. 빼지 않고 하나씩 하나씩)하여 점대(點對; 점검 대조)하고 교할(交割)한다. 재물과 곡식을 계산하고 부서(簿書)는 분명해야 하며 관방(關防; 방비)하여 작폐(作幣)한다. 임무는 상세히 살핌에 있다.


敎行敎法與修行 隨敎法而爲修行也 宗鏡錄四十三 故知但遵敎行者 依法不依人 無不證果

교행(敎行) 교법과 수행. 교법을 따라 수행함. 종경록43. 고로 알지니 다만 교행(敎行)을 따르는 자는 법에 의지하고 사람에 의지하지 않으므로 증과(證果)하지 않음이 없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