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00쪽

태화당 2019. 5. 7. 11:45

究竟佛事理皆圓滿 至究竟位之佛也 圜悟心要下始 保任此無心 究竟佛亦不存

구경불(究竟佛) 사리가 다 원만하여 구경위에 이른 부처. 원오심요하시. 이 무심을 보임(保任)하면 구경불(究竟佛)도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 --> 

九經十七史九經 九部儒家經典的合稱 各個朝代名目稍異 宋以易 書 詩 左傳 禮記 周禮 孝經 論語 孟子爲九經 十七史 舊唐書經籍志乙部正史類 有史記 漢書 後漢書 三國志 晉書 宋書 南齊書 梁書 陳書 後魏書 北齊書 周書 隋書 共十三史 宋人加南史 北史 新唐書 新五代史 遂有十七史之稱 參閱宋史藝文志二 淸 王鳴盛十七史商榷卷九九 [百度漢語] 大慧語錄十六 禪和子 尋常於經論上收拾得底 問著無有不知者 士大夫 向九經十七史上學得底 問著亦無有不知者

구경십칠사(九經十七史) 9경은 9부의 유가 경전의 합칭임. 각개의 조대(朝代)에 명목이 조금씩 다름. 송은 역ㆍ서ㆍ시ㆍ좌전ㆍ예기ㆍ주례ㆍ효경ㆍ논어ㆍ맹자로써 9경을 삼았음. 17사는 구당서 경적지을부(經籍志乙部) 정사류(正史類)에 사기ㆍ한서ㆍ후한서ㆍ삼국지ㆍ진서ㆍ송서ㆍ남제서ㆍ양서ㆍ진서ㆍ후위서ㆍ북제서ㆍ주서ㆍ수서가 있으니 모두 13사인데 송나라 사람이 남사ㆍ북사ㆍ신당서ㆍ신오대사를 더하여 드디어 17사의 명칭이 있음. 송사예문지2ㆍ청 왕명성 십칠사상각(十七史商榷) 99를 참열하라 [백도한어]. 대혜어록16. 선화자(禪和子)는 심상(尋常)에 경론상에서 수습하여 얻은 것을, 물어보매 알지 못하는 것이 있지 않으며 사대부는 구경십칠사상(九經十七史上)을 향해 배워 얻은 것을, 물어보매 또한 알지 못하는 것이 있지 않다.

) --> 

究竟涅槃與大般涅槃同 續傳燈錄十四隱靜守儼 究竟涅槃 常寂滅相 終歸於空

구경열반(究竟涅槃) 대반열반과 같음. 속전등록14 은정수엄. 구경열반(究竟涅槃)은 늘 적멸상이라 마침내 공으로 돌아간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