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9쪽

태화당 2019. 5. 7. 18:41

口實指話柄 談話的資料 五燈會元二嵩嶽元珪 若爲口實 人將妖我

구실(口實) 화병(話柄; 이야깃거리). 담화의 자료. 오등회원2 숭악원규. 만약 구실(口實)이 된다면 사람들이 장차 나를 요사스럽다고 할 것이다.

 

求心求佛求法之心念 禪家認爲自心本來是佛 一切具足 不須特意向外求覓 求心反而是禪悟的障礙 臨濟語錄 道流 爾秖有一箇父母 更求何物 爾自返照看 古人云 演若達多失却頭 求心歇處卽無事 大德 且要平常 莫作模樣

구심(求心) 부처를 구하고 법을 구하는 심념. 선가에서 인식하기를 자심이 본래 이 부처며 일체를 구족했으므로 특수한 뜻으로 밖을 향해 구멱(求覓)함을 쓰지 않음. 구심은 이와 반대인지라 이는 선오(禪悟)의 장애임. 임제어록. 도류여, 너희가 단지 일개의 부모가 있거늘 다시 무슨 물건을 구하느냐. 너희가 스스로 반조하여 보아라. 고인이 이르되 연야달다(演若達多)가 머리를 잃어버렸다가 구하는 마음(求心)을 쉰 곳에 곧 무사하더라. 대덕이여, 다만 평상을 요하나니 모양을 짓지 말아라.

 

九心輪九心次第轉而成輪之意 爲小乘上座部所立 卽謂心隨境轉 有九種之別也 宗鏡錄四 上座部師 立九心輪者 一有分 二能引發 三見 四尋求 五貫徹 六安立 七勢用 八返緣 九有分體

구심륜(九心輪) 9()이 차제로 굴러 륜()을 이룸의 뜻. 소승 상좌부에서 세운 바가 되며 곧 심수경전(心隨境轉; 마음이 경계 따라 구르다)을 말함. 9종의 다름이 있음. 종경록4. 상좌부의 스님이 구심륜(九心輪)을 세웠다는 것은 1은 유분이며 2는 능기발이며 3은 견이며 4는 심구며 5는 관철이며 6은 안립이며 7은 세용이며 8은 반연이며 9는 유분체다.

 

鉤深索隱謂探求內在的深奥隱密之意 林間錄下 香山居士白樂天 醉心內典 與之游者多高人勝士 觀其與濟上人書 鉤深索隱 精確高妙 未甞不置卷長嘆 想見其爲人 恨不見濟公所答耳

구심색은(鉤深索隱) 이르자면 내재한 심오하고 은밀한 뜻을 탐구함. 임간록하. 향산거사 백낙천은 내전에 취심(醉心)하여 그와 더불어 노니는 자는 다분히 고인(高人)이며 승사(勝士)였다. 그가 제상인(濟上人)에게 준 글을 보니 구심색은(鉤深索隱)하매 정확하고 고묘하여 미상불 책을 놓고 장탄하면서 그 사람됨을 생각하고 보았다. 한스러운 것은 제공(濟公)의 소답(所答; 곧 답서)을 보지 못하였음이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