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50쪽

태화당 2019. 5. 7. 18:44

九十六箇指西天外道九十六宗 見九十六種外道 宋高僧傳二善無畏傳 五天之境自佛滅後外道崢嶸 九十六宗各專其見 碧巖錄第十三則種電鈔 九十六箇應自知 西天九十六術外道 各立異見爲本宗 禪門拈頌集第一二一九則 雪竇顯頌 老新開端的別 解道銀椀裏盛雪 九十六个應自知 不知却問天邊月 提婆宗提婆宗 赤幡之下起淸風

구십륙개(九十六箇) 서천의 외도 96종을 가리킴. 구십육종외도(九十六種外道)를 보라. 송고승전2 선무외전. 오천(五天; 5천축)의 지경에 불타가 멸도함으로부터 외도가 쟁영했으며 96종이 각자 그들의 견해에 전일(專一)했다. 벽암록 제13칙 종전초. 구십육개응자지(九十六箇應自知) 서천의 96() 외도가 각기 이견을 세워 본종을 삼았다. 선문염송집 제1219. 설두현이 송하되 노신개(老新開)는 단적(端的)이 특별하여/ 해석해 말하되 은완 속의 성설이라 했다/ 구십육개(九十六个)가 응당 스스로 알지니/ 알지 못하거든 도리어 하늘 가의 달에게 물어라/ 제바종, 제바종이여/ 붉은 깃발 아래 청풍을 일으킨다.

) --> 

九十六宗指九十六種外道 禪門拈頌集第八九則 法眞一頌 六師叛正起干戈 自謂無能奈我何 九十六宗令結舌 不消一曲大平歌

구십륙종(九十六宗) 96종의 외도를 가리킴. 선문염송집 제89. 법진일이 송하되 육사(六師)가 반정(叛正)하여 간과(干戈)를 일으켜/ 스스로 이르기를 능히 나를 어찌하지 못한다 하였다/ 구십육종(九十六宗)을 결설(結舌)하게 함엔/ 한 곡조 태평가도 쓰이지 않는다.

) --> 

九十六種外道九十六種 佛世前後出現於印度而異於佛敎之流派 又作九十六術 有關外道之數 雖有多種異說 然以九十六種 九十五種外道二說爲最多 九十六及九十五此二數之算定 依諸經論有數說 一六師外道 卽富蘭那迦葉 末伽梨拘賖梨子 刪闍夜毘羅胝子 阿耆多翅舍欽婆羅 迦羅鳩馱迦旃延 尼犍陀若提子 六師各有十五弟子 總計爲九十六人 亦卽外道之六師各有十六種之所學法 一法自學 餘之十五種各敎十五弟子 師徒合論爲九十六種 二五大外道 卽數論 勝論 離繫 獸出 遍出 各有十八部之末派 本末總計爲九十五種 [薩婆多論五 華嚴經疏二十八 義林章纂註 百論疏] 無異廣錄一 所以一箇計字 出九十六種外道 一箇著字 出五十蘊魔 及魔王眷屬等

구십륙종외도(九十六種外道) 96종은 불세(佛世; 부처 스스로가 교화하는 시대) 전후로 인도에 출현하였으며 불교와 다른 유파임. 96()로 지음. 외도와 유관한 수에 비록 여러 가지의 이설이 있지만 그러나 96종과 95종의 2설로써 가장 많음을 삼음. 96 95 2수의 산정은 여러 경론에 의거하자면 몇 가지 설이 있음. 1. 육사외도(六師外道) 즉 부란나가섭ㆍ말가리구사리자ㆍ산사야비라지자ㆍ아기다시사흠바라ㆍ가라구타가전연ㆍ니건타야제자의 6사에 각기 15제자가 있어 총계가 96인이 됨. 또한 곧 외도의 6사에 각기 16종의 배우는 바 법이 있으며 1법은 스스로 배우고 나머지 15종은 각기 15제자를 가르치므로 사도(師徒)의 합론이 96종이 됨. 2. 오대외교(五大外道) 즉 수론ㆍ승론ㆍ이계ㆍ수출ㆍ편출에 각기 18부의 말파가 있으며 본말의 총계가 95종이 됨 [살바다론5. 화엄경소28. 의림장찬주. 백론소]. 무이광록1. 소이로 1개의 계자(計字)96종의 외도(九十六種外道)를 내며 1개의 착자(著字)50온마(蘊魔) 및 마왕과 권속 등을 낸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