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俱尸城】 卽俱尸那城 又作拘尸那城 古印度城名 是釋迦牟尼佛 入滅之處 ▲僧寶正續傳二開福寧 俱尸城畔 槨示雙趺 熊耳峰前 親遺隻履
구시성(俱尸城) 곧 구시나성(俱尸那城)이니 또 구시나성(拘尸那城)으로 지음. 고인도의 성 이름이니 이는 석가모니불이 입멸한 곳. ▲승보정속전2 개복녕. 구시성(俱尸城) 가에서 곽시쌍부(槨示雙趺; 곽 밖으로 두 발을 보임)하고 웅이봉 앞에서 몸소 외짝 신을 남겼다.
【俱尸入滅】 指釋迦牟尼佛在俱尸那城逝世 參俱尸那 ▲傳燈錄三十法燈禪師古鏡歌 蓮華千朵萬朵 朵朵端然釋迦 誰云俱尸入滅 誰云穿膝蘆芽
구시입멸(俱尸入滅) 석가모니불이 구시나성에 있으면서 서세했으니 구시나(俱尸那)를 참조하라. ▲전등록30 법등선사 고경가. 연화가 천 떨기 만 떨기며/ 떨기마다 단연한 석가다/ 누가 구시에서 입멸(俱尸入滅)했다고 이르느냐/ 누가 갈대 싹이 무릎을 뚫었다고 이르느냐.
【口是禍門】 義同口能招禍 指言語能招禍患 誡人說話謹愼 ▲五燈會元十九五祖法演 問 如何是佛 師曰 口是禍門
구시화문(口是禍門) 뜻은 입이 능히 화를 부른다 함과 같음. 언어가 능히 화환을 부름을 가리킴. 사람에게 훈계하여 설화하면서 근신하라 함임. ▲오등회원19 오조법연.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입은 이 화환의 문이다(口是禍門).
【九識】 識有九種之意 卽眼 耳 鼻 舌 身 意等六識 再加末那識 阿梨耶識(阿賴耶識) 阿摩羅識等 合爲九識 小乘佛敎立六識 大乘佛敎地論宗 唯識宗立八識 眞諦系之攝論宗復擧第九阿摩羅識(無垢識 眞如識) 成立九識義 ▲宗鏡錄五十七 經中有明九識 於八識外 立九識名 卽是眞識
구식(九識) 식에 9종이 있다는 뜻임. 곧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의 등의 6식에 다시 말나식ㆍ아리야식(阿摩羅識; 아뢰야식)ㆍ아마라식 등을 가하면 합이 9식이 됨. 소승불교는 6식을 세우고 대승불교의 지론종과 유식종은 8식을 세우고 진제계(眞諦系)의 섭론종은 다시 제9 아마라식(阿摩羅識; 무구식. 진여식)을 들어 9식의 뜻을 성립했음. ▲종경록57. 경중에 9식(識)을 밝힘이 있다. 8식 밖에 9식의 이름을 세웠으니 곧 이 진식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9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8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6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4-845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3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