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識十名】 第九阿摩羅識之異名有十 一眞識 二無相識 三法性識 四佛性眞識 五實際識 六法身識 七自性淸淨識 八無垢識 九眞如識 十不可名目識 ▲宗鏡錄五十 第九識十名者 一自體非僞 名爲眞識 二體非有無 名無相識 三軌用不改 名法性識 四眞覺常存 體非隱顯 名佛性眞識 五性絶虛假 名實際識 六大用無方 名法身識 七隨流不染 名自性淸淨識 八阿摩羅識 此翻名無垢識 九體非一異 名眞如識 十勝妙絶待 號不可名目識
구식십명(九識十名) 제9 아마라식(阿摩羅識)의 다른 이름이 10이 있음. 1. 진식. 2. 무상식. 3. 법성식. 4. 불성진식. 5. 실제식. 6. 법신식. 7. 자성청정식. 8. 무구식. 9. 진여식. 10. 불가명목식. ▲종경록50. 제9식의 10명(名)이란 것은 1. 자체가 거짓이 없음을 이름해 진식이며 2. 체가 유무가 아님을 이름해 무상식이며 3. 궤용(軌用)을 바꾸지 않음을 이름해 법성식이며 4. 진각이 상존하여 체가 은현(隱顯)이 아님을 이름해 불성진식(佛性眞識)이며 5. 자성에 허가(虛假)가 끊겼음을 이름해 실제식이며 6. 대용이 방소가 없음을 이름해 법신식이며 7. 흐름을 따르되 물들지 않음을 이름해 자성청정식이며 8. 아마라식이니 여기에선 번역해 이름이 무구식이며 9. 체가 일이(一異)가 아님을 이름해 진여식이며 10. 승묘하여 절대(絶待)를 호해 불가명목식(不可名目識)이다.
【句身】 句 乃詮表事物之義理者 身 集合之義 若集合諸句 構成一完整思想 卽稱爲句身 如諸行無常 諸法無我 涅槃寂靜等句 乃表達完整思想 故稱句身 又有一說 謂若僅集合二句以上者 亦稱句身 如單云諸行諸法等 稱爲句 然若云諸行無常諸法無我 則是二句之集合 故稱句身 又一句亦稱句身 如楞伽經二云 句身者 謂句有義身 自性決定究竟 是名句身 ▲五宗錄三雲門 直得觸目無滯 達得名身句身一切法空
구신(句身) 구(句)는 곧 사물의 의리를 전표(詮表; 해석하여 표시함)하는 것이며 신(身)은 집합의 뜻임. 만약 여러 구를 집합하여 하나의 완정(完整)한 사상을 구성하면 곧 구신(句身)이라고 일컬음. 예컨대(如) 제행무상ㆍ제법무아ㆍ열반적정 등의 구는 곧 완정(完整)한 사상을 표달(表達; 표현)하나니 고로 구신이라고 일컬음. 또 일설이 있으니 이르자면 만약 이에 겨우 2구 이상이 집합한 것도 또한 구신이라고 일컬음. 예컨대(如) 홑으로 이르되 제행이나 제법 등은 구라고 일컫지만 그러나 만약 이르되 제행무상제법무아 라고 하면 곧 이는 2구의 집합이므로 고로 구신이라고 일컬음. 1구도 또한 구신이라 일컬음. 예컨대(如) 릉가경2에 이르되 구신이란 것은 이르자면 구에 의신(義身)이 있으니 자성의 결정(決定)인 구경이니 이 이름이 구신이다. ▲오종록3 운문. 바로 눈에 부딪히는 대로 걸림 없음을 얻으면 명신(名身)과 구신(句身)의 일체법이 공했음을 통달했다.
) -->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50쪽 (0) | 2019.05.0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9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7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6쪽 (0) | 2019.05.0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44-845쪽 (0) | 201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