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쪽

태화당 2019. 4. 28. 16:08

可授(1307-1375) 元末明初臨濟宗僧 俗姓李 字無旨 號休庵 臨海(今屬浙江)人 十二歲于石門寺出家 十九歲 受具足戒 參杭州靈隱寺普覺禪師(楊岐下十一世)得法 元至正六年(134 6) 出主臨海安聖寺 後歷主隆恩 眞如 龍華諸寺 明洪武六年(1373) 住持杭州淨慈寺 晩年退居竹下院 泊然而寂 [五燈全書五十八 補續高僧傳十五]

가수(可授) (1307-1375) 원말명초의 임제종승. 속성은 이(), 자는 무지(無旨), 호는 휴암. 임해(지금 절강에 속함) 사람. 12세에 석문사에서 출가했고 19세에 구족계를 받았음. 항주 영은사의 보각선사(普覺禪師; 양기하11)를 참해 득법했음. () 지정 6(1346) 출세해 임해 안성사를 주지(主持)했고 후에 융은ㆍ진여ㆍ용화의 여러 절을 역주(歷主)했음. 명 홍무 6(1373) 항주 정자에주지했고 만년에 죽하원에 퇴거하다가 박연(泊然)히 입적했음 [오등전서58. 보속고승전15].

 

可睡齋日本曹洞宗寺 位於靜岡縣袋井市 應永十四年(1407) 如仲天誾開山建立 其弟子一遵又建東陽軒 德川家康被武田信玄追討時 曾一度隱居此地 相傳德川曾酣睡於禮盤上 故改寺名爲可睡齋 其後寺運騰達 名僧雲集 爲東海道首屈一指之曹洞宗名刹

가수재(可睡齋) 일본 조동종 사원. 정강현 대정시에 위치. 응영 14(14 07) 여중천은(如仲天誾)이 개산하여 건립했는데 그의 제자 일준(一遵)이 또 동양헌을 건립했음. 덕천가강이 무전신현(武田信玄)의 추토(追討; 추격해 찾음)를 입었을 때 일찍이 한 차례 이 땅에 은거했음. 상전하기를 덕천이 일찍이 예반(禮盤) 위에서 달게 잤다 하여 고로 절 이름을 고쳐 가수재라 했다 함. 그 후에 사운(寺運)이 등달(騰達)하고 명승이 운집해 동해도에서 으뜸으로 일지(一指)를 꼽는 조동종의 명찰이 되었음.

 

可嵩宋代法眼宗僧 居婺州淨土寺 智者嗣如法嗣 [續燈錄二十六 續傳燈錄二十]

가숭(可嵩) 송대 법안종승. 무주 정토사에 거주했음. 지자사여의 법사 [속등록26. 속전등록20].

 

迦濕彌羅國<> Kaśmīra 翻譯名義集三 罽賓 此云賤種 西域記云 迦濕彌羅 舊曰罽賓 訛也 北印度境 祖庭事苑一 迦尼色迦王與脇尊者 招集五百賢聖 於迦濕彌羅國作毘婆沙論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 <> Kaśmī ra. 번역명의집3 계빈(罽賓) 여기에선 이르되 천종(賤種)이다. 서역기에 이르되 가습미라(迦濕彌羅) 구역에 가로되 계빈(罽賓)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북인도의 지경이다. 조정사원1. 가니색가왕이 협존자와 함께 5백의 현성을 초집(招集)해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에서 비바사론을 지었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