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伽耶】 <梵> gayā 伽耶迦葉之略 佛陀之弟子 三迦葉之一 卽優樓頻螺迦葉及那提迦葉之弟 生於印度摩揭陀國之伽耶近郊 爲事火外道(拜火敎徒)之師 有二百五十名弟子 後皆歸依佛陀 成爲佛弟子 [增一阿含經十五 佛所行讚四] △翻譯名義集一 伽耶迦葉 孤山云 伽耶 山名 卽象頭山也 文句翻城 近此山故 家在王舍城南七由旬 ▲請益錄第一則 梵語迦葉 此云飮光 一曰大龜氏 或號摩訶迦葉 揀異優樓頻螺 伽耶 那提三迦葉波
가야(伽耶) <범> gayā. 가야가섭(伽耶迦葉)의 약칭. 불타의 제자. 3가섭의 하나. 곧 우루빈라가섭 및 나제가섭의 동생임. 인도 마갈타국의 가야(伽耶) 근교에서 태어났음. 불을 모시는 외도(拜火敎徒)의 스승이었는데 250명의 제자가 있었음. 후에 다 불타에게 귀의하여 불제자가 되었음 [증일아함경15. 불소행찬4]. △번역명의집1 가야가섭(伽耶迦葉) 고산(孤山)이 이르되 가야는 산 이름이니 곧 상두산(象頭山)이다. 문구(文句; 법화문구)에선 성(城)으로 번역했는데 이 산과 가까운 연고다. 집이 왕사성 남쪽 7유순에 있다. ▲청익록 제1칙. 범어 가섭은 여기에선 이르되 음광이며 한편으론 가로되 대귀씨(大龜氏)다. 혹 마하가섭으로 호칭함은 우루빈라ㆍ가야(伽耶)ㆍ나제의 3가섭파와 다름을 간택하였다.
【伽耶舍多】 或稱迦耶舍多 又稱僧佉耶舍 禪宗第十八祖 摩提國人 姓鬱頭藍 父天蓋 母方聖 一日 手持圓鏡出遊 遇十七祖難提尊者得度 受具足戒 [傳燈錄二 寶林傳四]
가야사다(伽耶舍多) 혹은 가야사다(迦耶舍多)로 명칭하며 또 승가야사로 명칭함. 선종 제18조임. 마제국 사람이며 성은 울두람이며 아버지는 천개며 어머니는 방성임. 어느 날 손에 둥근 거울을 가지고 나가 노닐다가 17조 난제존자(難提尊者)를 만나 득도(得度)했고 구족계를 받았음 [전등록2. 보림전4].
【伽耶城】 古代中印度摩竭陀國之都城 卽今孟加拉巴特那市西南九十六公里處之伽耶市 臨恆河支流之尼連禪河 伽耶附近有三迦葉事火處 前正覺山 菩提樹 金剛座等遺蹟 ▲祖庭事苑四 伽耶城 吾佛降誕於迦毘羅城 成道於伽耶城 轉法輪度五比丘已 入滅拘尸那城 ▲明覺語錄六 送仲卿禪德 高兮竺卿 秋水虛明 夫何之象 堪云指程 知吾不知 笑伽耶城
가야성(伽耶城) 고대 인도 마갈타국의 도성. 즉금의 맹가랍(孟加拉; Begnal) 파특나시(巴特那市; Patna) 서남 96㎞ 곳의 가야시(伽耶市). 항하의 지류 니련선하(尼連禪河; 梵 Nairañjanā)에 임했음. 가야 부근에 3가섭이 불을 모시던 곳ㆍ전정각산ㆍ보리수ㆍ금강좌 등의 유적이 있음. ▲조정사원4. 가야성(伽耶城) 우리 불타가 가비라성에서 강탄하고 가야성에서 성도하고 법륜을 굴려 5비구를 제도하고는 구시나성에서 입멸하였음. ▲명각어록6. 송중경선덕(送仲卿禪德; 중경선덕을 전송하다). 높도다 축경(竺卿)이여/ 추수처럼 허명(虛明)하네/ 무릇 어떤 상(象)으로/ 가히 지정(指程)을 이르리오/ 나를 아느냐 알지 못하느냐/ 가야성(伽耶城)을 웃노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4쪽 (0) | 2019.04.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3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쪽 (0) | 2019.04.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49쪽 (0) | 201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