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2-873쪽

태화당 2019. 5. 8. 10:43

口占謂口授其辭 從容錄序 老眼昏華 多出口占 門人筆受

구점(口占) 이르자면 입으로 그 언사를 전수함. 종용록서. 노안(老眼)이 혼화(昏華)하여 많이 구점(口占)으로 내매 문인이 필수했다.

) --> 

九鼎是中國的代名詞 相傳 夏朝初年 夏王大禹劃分天下爲九州 令九州州牧貢獻青銅 鑄造九鼎 象徵九州 周顯王時 九鼎沒於泗水下 後世帝王非常看重九鼎的權利象徵與意義 亦曾屢次重鑄九鼎 武則天宋徽宗也曾鑄九鼎 [百度百科] 祖庭事苑五 九鼎 左氏(春秋左氏傳 宣公三年)云 昔夏之方有德也 遠方圖物 貢金九枚 鑄鼎象物 百物而爲之備 使民知神姦 故民入川澤山林 不逢不若 魑魅魍魎 莫能逢之 用能協于上下 以承天休 桀有昏德 鼎遷于商 載祀六百 商紂暴虐 鼎遷于周 德之休明 雖小 重也 其姦回昏亂 雖大 輕也 天祚明德 有所底 成王定鼎于郟鄏 卜世三十 卜年七百 天所命也 類合志云 禹鑄九鼎 五者以應陽法 四者以象陰數 使二師以雌金爲陰鼎 以雄金爲陽鼎 鼎中水常滿 以占氣之休否 當夏桀之世 鼎水忽自沸煎 及傳周 周末九鼎咸震 能應亡滅之兆也 楊子曰 或問 周寶九鼎 寶乎 曰 器寶也 器寶待人而後寶 底 音旨 致也 郟鄏 上古洽切 下音辱 郟鄏 今河南 續傳燈錄十大洪報恩 僧問 九鼎澄波卽不問 爲祥爲瑞事如何 師曰 古今不墜 五燈會元十四石門慧徹 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曰 少林澄九鼎 浪動百花新

구정(九鼎) 이는 중국의 대명사임. 서로 전하기를 하조(夏朝) 초년 하왕 대우가 천하를 획분하여 9()로 삼고 9주의 주목에게 청동을 바치게 하여 9()을 주조했는데 9주를 상징했음. 주 현왕 때 9정이 사수(泗水) 아래 잠겼음. 후세의 제왕이 비상으로 9정의 권리, 상징과 의의를 중요하게 보았으므로 또한 일찍이 누차 9정을 중주(重鑄)하였음. 무측천과 송 휘종도 또한 일찍이 9정을 주조했음 [백도백과]. 조정사원오 구정(九鼎) 좌씨(춘추좌씨전. 선공 3)에 이르되 옛적에 하()가 바야흐로 덕이 있자 원방에서 물건을 그려서 금 9매를 바쳤다. 솥을 주조해 물건을 형상했는데 백물을 갖추어 인민으로 하여금 신간(神姦; 鬼神의 간사)을 알게 했다. 고로 인민이 천택이나 산림에 들어가면 불약(不若; 같지 않은 것)을 만나지 않으므로 이매망량(魑魅魍魎)이 능히 그를 만나지 못한다. 써서 능히 상하를 도우고 천휴(天休; 하늘의 아름다운 도리. 하늘의 칭찬)를 승수했다. ()이 혼덕(昏德)이 있어 솥이 상()으로 옮겨가서 해마다 제사하기가 600번이었다. 상의 주()가 포학하여 솥이 주()로 옮겨갔다. 덕이 휴명(休明)하면 비록 작으나 무거우며 그 간회(姦回; 는 간사할 회)하고 혼란하면 비록 크더라도 가볍다. 천조(天祚; 帝位 . 곧 천자의 자리)가 덕을 밝히면 이르는() 바가 있다. 성왕(의 제2대 왕)이 솥을 겹욕(郟鄏)에 정하고 세대를 점치매() 30이며 년()을 점치매 700이었으니 하늘이 명령한 바이다. 유합지(類合志)에 이르되 우()9정을 주조했는데 5(五者; 다섯 개)는 양법에 응하고 4자는 음수(陰數)를 형상했다. 두 사장(師匠)으로 하여금 자금(雌金)으로써 음정(陰鼎)을 만들고 웅금(雄金)으로써 양정(陽鼎)을 만들게 했다. 솥 가운데 물이 늘 가득해 기후의 좋고 나쁨을 점쳤다. 하걸(夏桀; 하의 걸왕)의 세상에 당해서 솥의 물이 홀연히 스스로 비전(沸煎; 는 끓을 비. 은 끓을 전)했다. 및 주()에 전해졌는데 주말(周末)9정이 다 진동하여 능히 망멸(亡滅; 멸망)의 징조에 응했다. 양자(楊子)에 가로되 혹은 묻기를 주나라 보배인 9정이 보배인가. 가로되 기보(器寶)이다. 기보는 사람을 기다린 후에 보배다. ()는 음이 지니 치(). 겹욕(郟鄏)은 상은 고흡절(古洽切)이며 하의 음은 욕임. 겹욕은 지금의 하남임. 속전등록10 대홍보은. 중이 묻되 구정(九鼎)의 파도가 맑음은 곧 묻지 않습니다. ()이 되고 서()가 되는 일이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고금에 떨어지지 않는다. 오등회원14 석문혜철.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소림이 구정(九鼎)을 맑히니 물결에 백화의 신선함이 요동친다.


九條見九條衣 列祖提綱錄三十三弘覺忞 千生未易聞名字 一旦通身服九條

구조(九條) 구조의를 보라. 열조제강록30 홍각민. 천생(千生)에 명자를 듣기가 쉽지 않더니 하루아침에 온몸에 구조(九條)를 입었다.

) --> 

九條衣三種袈裟之一 又名九條袈裟 或單名九條 卽僧伽梨之一種 所謂九品大衣之下下品也 其製兩長一短 條數有九分 故名 錦江禪燈十六無相大師 武則天曾召入宮 賜磨納九條衣

구조의(九條衣) 3종 가사의 하나. 또 이름이 구조가사며 혹은 단명(單名)이 구조(九條). 곧 승가리의 1종이니 이른 바 구품대의(九品大衣)의 하하품임. 그 제작은 둘은 길고 하나는 짧으며 조수(條數)9()이 있으므로 고로 이름함. 금강선등16 무상대사. 무측천이 일찍이 불러 입궁하게 하고 마납 구조의(九條衣)를 주었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