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座邃】 宋代雲門宗僧慧邃 依慈受懷深受法 住泉州九座院 [五燈會元十六 普燈錄十二]
구좌수(九座邃) 송대 운문종승 혜수(慧邃)니 자수회심에게 의지해 법을 받고 천주 구좌원에 주(住)했음 [오등회원16. 보등록12].
) -->
【舊住】 ①又作久住 舊時住者或居處之意 ▲續古尊宿語要六雪堂行 出隊歸云 冒暑入鄽 如親八熱之獄 却回舊住 似登五臺之山 ②多稱久住叢林之老宿爲舊住 ▲聯燈會要十八法石惠光 師因舊住相訪 師問 頃年有一則公案 與儞商量不下 如今作麽生
구주(舊住) ①또 구주(久住)로 지음. 구시(舊時)에 거주한 자, 혹은 거처의 뜻. ▲속고존숙어요6 설당행. 출대(出隊)했다가 돌아와 이르되 더위를 무릅쓰고 시전(市鄽)에 들었다가 팔열의 지옥을 친했는데 구주(舊住)로 돌아오니 마치 오대의 산에 오른 것 같다. ②다분히 오래 총림에 거주한 노숙을 일컬어 구주라 함. ▲연등회요18 법석혜광. 스님이 구주(舊住)가 상방함으로 인해 스님이 묻되 경년(頃年; 近年)에 1칙의 공안이 있었는데 너와 상량하다가 마치지 못했다. 여금엔 어떠한가.
) -->
【衢州】 今浙江省衢州
구주(衢州) 지금의 절강성 구주.
) -->
【九疇】 一疇 類 指傳說中天帝賜給禹治理天下的九類大法 卽洛書 二泛指治理天下的大法 ▲鐔津文集四 皇極於是振之 乃始推行於九疇
구주(九疇) 1. 주(疇)는 류(類)니 전설 중 천제가 우(禹)에게 주어서 천하를 다스리게 한 9류의 대법을 가리킴. 곧 낙서(洛書). 2. 널리 천하를 다스리는 대법을 가리킴. ▲심진문집4. 황극(皇極; 天子가 세운 만민의 법도)이 이에 그것을 떨쳐 이에 비로소 구주(九疇)를 추행(推行; 밀고 나감. 또는 추진하여 감)했다.
) -->
【九洲】 一中國全土 二天下 ▲列祖提綱錄三十一 圓悟勤禪師爲佛眼和尙秉炬 如來涅槃日 娑羅雙樹間 放出三昧火 闍維金色身 有條攀條 無條攀例 故褒山佛眼禪師道播四海名聞九洲 二十年間三據大刹(云云)
구주(九洲) 1. 중국 전토. 2. 천하. ▲열조제강록31. 원오근선사가 불안화상을 위해 병거(秉炬)하다. 여래가 열반일에 사라쌍수 사이에서 삼매광을 방출해 금색신을 사유(闍維; 화장)했다. 조문이 있으면 조문을 당기고 조문이 없으면 예문을 당긴다. 고포산불안선사(故褒山佛眼禪師)의 도가 사해에 퍼지고 명성이 구주(九洲)에 알려졌다. 20년 간 세 번 대찰에 의거했다 (운운).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7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6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4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2-873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1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