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7쪽

태화당 2019. 5. 8. 11:05

구주지복(龜疇之福) 귀주지복(龜疇之福).

) --> 

九重指宮門 指帝王 禪林寶訓音義 九重 天子之門有九重也 禪林寶訓四 名達九重 談禪選德 龍顔大悅 賜以金帛(選德 內宮殿名)

구중(九重) 궁문을 가리킴. 제왕을 가리킴. 선림보훈음의. 구중(九重) 천자의 문은 아홉 겹이 있다. 선림보훈4. 명성이 구중(九重)에 도달하여 선덕(選德)에서 담선했다. 용안이 매우 기뻐하며 금백을 주었다(선덕은 내궁전의 이름).

) --> 

句中有機言句中含有機鋒 碧巖錄第九則 這僧也敢捋虎鬚 致箇問頭 大似無事生事 爭奈句中有機 他旣呈機來 趙州也不辜負他問頭 所以亦呈機答

구중유기(句中有機) 언구 중에 기봉을 함유함. 벽암록 제9. 이 중이 또한 감히 범의 수염을 만지면서 문두(問頭; 질문)를 불러오니 일 없음에서 일을 냄과 매우 흡사하여 구중에 기가 있음을(句中有機) 어찌하리오. 그가 이미 기봉을 보이매 조주도 또한 그의 문두를 저버리지 않은지라 소이로 또한 기봉을 보여 답했다.

) --> 

句中玄濟宗三玄要之一 五家宗旨纂要上濟宗三玄要 第二句中玄 如張公喫酒李公醉 前三三後三三 六六三十六 其言無意路 雖是體上發 此一句不拘於體故

구중현(句中玄) 제종 3현요의 하나. 오가종지찬요상 제종삼현요. 2 구중현(句中玄) 예컨대() 장공이 끽주하매 이공이 취한다, 전삼삼후삼삼, 육육삼십육은 그 언사에 의로(意路)가 없다. 비록 이 체상(體上)에서 내지만 이 1구는 체에 구애되지 않는 연고이다.

) --> 

求證】 ①求得省悟 梵琦語錄十八 斷除煩惱轉遠 求證菩提卽難 有念便沈生死 無爲自契涅槃 請求印證 續傳燈錄三雪竇智鑒 後遯象山 百怪不能惑 深夜開悟 求證於延壽

구증(求證) 성오를 구득함. 범기어록18. 번뇌를 단제하면 더욱 멀어지고 보리를 구증(求證)하면 곧 어렵다. 생각이 있으면 곧 생사에 빠지고 무위라야 스스로 열반에 계합한다. 인증을 청구함. 속전등록3 설두지감. 후에 상산으로 피했다. 백괴(百怪)가 능히 혹란하지 못했다. 심야에 개오했으며 연수에게 구증(求證)했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